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彎弧縱毒 帶臣壑以偸安 禦吹塗膏 穴幽嚴而自逸

彎弧縱毒 帶臣壑以偸安 禦吹塗膏 穴幽嚴而自逸
後漢書曰 挹婁 古肅愼之國也 在夫餘東北千餘里 濱大海 種衆雖少而多象力 處力處주 001
각주 001)
죽내본 「處」, 길림본 「豦」. 「豦」로도 판독될 수 있지만,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處」로 판독. 당초본도 「處」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中岳嵩高靈廟碑
신출자

唐 歐陽詢 皇甫誕碑
닫기
山險 又善射發能入人因주 002
각주 002)
죽내본 「因」, 길림본 「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因」으로 판독. 당초본도 「因」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柳公權 金剛經刻石
닫기
弓長四尺 力如弩 矢用楛 長一尺八寸 靑石爲▼{金+矢}주 003
각주 003)
죽내본 「鉄」, 길림본 「鈇」. 자형에 따라 「▼{金+矢}」로 판독. 당초본은 「鏃」으로 판독했지만, 우변을 「族」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닫기
〻皆施毒 中人卽死 便乘船 好冠盜鄰國畏患 而卒不能服 東夷飮食類 皆用俎豆 唯患주 004
각주 004)
죽내본 「患」, 길림본 누락.
닫기
婁挹주 005
각주 005)
죽내본 「신출자」, 길림본 「挹」. 아래의 용례를 통해 「挹」으로 판독. 당초본도 「挹」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勰墓誌
신출자

唐 歐陽詢 九成宮醴泉銘
닫기
獨無 法溚주 006
각주 006)
죽내본 「俗」, 길림본 「溚」. 자형에 따라 「溚」으로 판독. 당초본은 「俗」으로 판독했지만, 우변을 「谷」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닫기
最無綱紀 人形似夫餘 而言語各異 有五穀麻布 出赤玉好貂 無居長 其邑落各有大人 處於林之間 土氣極塞 無城郭 衣山林穴居好養𧳯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豬」. 자형에 따라 「𧳯」로 판독. 당초본은 「豬」로 판독했지만, 좌변을 「豕」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닫기
食其肉衣其皮 冬月 以膏塗身 以扞風寒 夏則裸祖주 008
각주 008)
죽내본 「袒」, 길림본 「祖」. 아래의 용례를 통해 「祖」으로 판독. 당초본은 「袒」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平安 道澄寺鐘銘
닫기
以尺布敬其前後 穴以深爲貴 犬주 009
각주 009)
죽내본 「犬」, 길림본 「大」. 자형에 따라 「犬」으로 판독. 당초본도 「犬」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家至接주 010
각주 010)
죽내본 「接」, 길림본 「楼」. 아래의 용례를 통해 「接」으로 판독. 당초본도 「接」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신출자

奈良 光明皇后 杜家立成雜書要略
닫기
九梯之也

  • 각주 001)
    죽내본 「處」, 길림본 「豦」. 「豦」로도 판독될 수 있지만,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處」로 판독. 당초본도 「處」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中岳嵩高靈廟碑
    신출자

    唐 歐陽詢 皇甫誕碑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因」, 길림본 「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因」으로 판독. 당초본도 「因」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柳公權 金剛經刻石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鉄」, 길림본 「鈇」. 자형에 따라 「▼{金+矢}」로 판독. 당초본은 「鏃」으로 판독했지만, 우변을 「族」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 「患」, 길림본 누락.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 「신출자」, 길림본 「挹」. 아래의 용례를 통해 「挹」으로 판독. 당초본도 「挹」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勰墓誌
    신출자

    唐 歐陽詢 九成宮醴泉銘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 「俗」, 길림본 「溚」. 자형에 따라 「溚」으로 판독. 당초본은 「俗」으로 판독했지만, 우변을 「谷」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豬」. 자형에 따라 「𧳯」로 판독. 당초본은 「豬」로 판독했지만, 좌변을 「豕」의 이체로 보기는 어렵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 「袒」, 길림본 「祖」. 아래의 용례를 통해 「祖」으로 판독. 당초본은 「袒」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平安 道澄寺鐘銘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 「犬」, 길림본 「大」. 자형에 따라 「犬」으로 판독. 당초본도 「犬」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 「接」, 길림본 「楼」. 아래의 용례를 통해 「接」으로 판독. 당초본도 「接」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신출자

    奈良 光明皇后 杜家立成雜書要略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彎弧縱毒 帶臣壑以偸安 禦吹塗膏 穴幽嚴而自逸 자료번호 : hw.d_0002_009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