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3) 제3건축면

제47구역에서 제3건축면은 이웃하는 섹터 3에서는 층위적으로 도랑을 채우고 있던 밝은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로 된 모래 ‘뿌림’에 의해 확인되었다. 발굴구역의 상면에서는 도로 위의 돌들에 대해 정리 조사를 하였다. 섹터 2에서는 제8인공층과 제9인공층이 이 건축면에 해당되었다.
제8인공층은 7~12cm 두께로 제토 조사하였다(도면 366). 발굴구역의 남동쪽과 북서쪽 부분 사이의 레벨 차이는 부분적으로 줄어들었는데 이 깊이에서는 그 차이가 10~12cm였다(도면 366~369). 발굴구역의 북쪽 모서리(아(А)-12방안)에서는 노르스름한 갈색의 밝은 거친 입자 모래가 갈색의 다양한 크기 입자 모래로 교체되었고, 그 외에도 얼룩이 1×0.5m 크기로 크게 줄어들었다. 그 얼룩 안에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다른 갈색 사질토 얼룩(크기 0.5×0.4m)이 들어 있었는데 발굴구역의 북벽 부분에 위치한다. 발굴구역의 북서쪽 부분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에서 크기가 2×2m이고 준장방형 모양을 한 노르스름한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이 구분되었다(도면 367). 이 얼룩의 북쪽과 서쪽 경계가 잘 확인되었다. 이 얼룩의 남쪽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암갈색 사질토 띠가 경계하고 있었다(아(А), 게(Г)-15, 16방안). 아(А)-17방안에서는 크지 않은 동물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개의 것일 가능성이 있다(도면 371). 노르스름한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 범위 내에서 직경이 0.6m인 연갈색 사질토 얼룩(베(Б), 붸(В)-15방안)(도면 368), 길이가 2m이고 너비가 0.2~0.4m인 암갈색 사질토 띠(베(Б), 붸(В)-15-16방안),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둥그스름한 갈색 사질토 얼룩(직경 0.4m)(붸(В)-14방안) 등이 정리 조사되었다.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서는 갈색의 알록달록한 무른 사질토층이 아(А)-게(Г)-16-20방안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아(А)-붸(В)-18-20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가 크기가 3×1.9m인 길쭉한 갈색의 얼룩을 이루고 있다.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에는, 특히 아(А)-게(Г)-17-19방안에는 제8인공층 레벨에서 다수의 모래 얼룩들과 띠들이 분포하고 있었다(도면 371). 남서벽 밖으로는 회갈색의 짙은 모래 얼룩, 노르스름한 갈색의 다양한 입자 모래 얼룩,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 등과 같은 작은 얼룩들이 포함된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꽤 넓은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이 이어지고 있었다(게(Г)-16-18방안)(도면 372). 그 외에도 이 토층에는 토기편도 많이 섞여 있었고, 숯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남동벽과 남서벽으로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층이 인접한다.
제8인공층 레벨에서는 큰 돌들이 붸(В)-13방안(12×10cm), 붸(В), 게(Г)-15-16방안(8×6cm부터 10×20cm까지, 레벨 -250/ -253cm), 게(Г)-18방안(20×20cm, 레벨 -266cm)의 것들을 제외하면 사실상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제8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다음의 철제 및 주철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 철제 못편(No. 12, 아(А)-16방안, 레벨 -257cm)(도면 373)
- 주철제 바퀴 비녀못(No. 13, 베(Б)-16방안, 레벨 -258cm)(도면 374~376)
- 철제 유물편(No. 14, 게(Г)-12방안, 레벨 -259cm)(도면 377)
- 철제 유물편, 못일 가능성 있음(No. 15, 게(Г)-12방안, 레벨 -259cm)(도면 378)
- 부정형 철편(아(А)-17방안)
 
그 외에도 16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는데 토기 기벽과 바닥으로 만든 것들(아(А)-12, 16방안, 베(Б)-13, 15, 16방안, 게(Г)-16, 18, 20방안)과 기와로 만든 것들(아(А)-17방안, 붸(В)-12방안, 게(Г)-16, 17방안, 게(Г)-19방안) 그리고 사암으로 만든 것(게(Г)-16방안)이 있다.
제8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521점(10.87kg)의 토기편과 수점의 기와편이 수습되었다(도면 379~391).
다음 제9인공층에 대한 조사 시에 베(Б)-게(Г)-13-16방안의 황갈색 사질토층은 모두 정리 조사되었다. 이 황갈색 사질토층 아래에는 북동쪽에서 남서쪽 방향으로 거친 입자의 모래가 깨진 잔돌이 섞여있는 단단한 갈색 사질토로 된 길쭉한 띠(아(А)-13, 14-게(Г)-16방안)가 형성되어 있었다(도면 392~394). 제9인공층은 10cm 이내의 두께로 제토 조사하였다. 발굴구역의 북서쪽과 남동쪽 부분의 레벨 차이는 8cm 이내였다. 제8인공층 제토 시에 이미 노출된 바 있는 갈색의 무르고 알록달록한 사질토층은 아(А)-15-20-붸(В)-15방안에서 발굴구역의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아직 남아있었다. 발굴구역의 북서쪽 부분에서는 아(А)-12-게(Г)-12, 13방안에서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이 분포하였다(도면 395). 이전과 마찬가지로 게(Г)-14-16방안 일대에서 매우 ‘잡다한’ 광경이 관찰되었다. 이곳에는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게(Г)-14방안)과 암갈색 사질토 얼룩이 아직 남아 있었고 그리고 작은 입자 및 다양한 입자의 노르스름한 갈색 모래들로 된 얼룩(게(Г)-17, 18방안)이 노출되었다. 아(А)-게(Г)-16-18방안에서는 꽤 넓은 단단한 갈색의 알록달록한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는데 남동쪽이 큰 입자의 노르스름한 갈색의 무른 모래 띠 및 다양한 입자의 노르스름한 갈색의 단단한 모래 띠(아(А)-붸(В)-18-19방안)에 의해 서로 구분되었다(도면 396). 다양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가 기본 토층인 발굴구역의 일부에는 올리브-갈색의 밝은 모래(아(А), 베(Б)-18-19방안),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베(Б)-게(Г)-19-20방안) 등으로 된 모래 띠들과 얼룩들이 많이 들어 있었다(도면 397).
제9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다수의 금속제 및 토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주철제 차관(No. 16, 베(Б)-18방안, 레벨 -278cm)(도면 398, 399)
- 철제 화살촉(No. 17, 게(Г)-14방안, 레벨 -266cm)(도면 400, 401)
- 철제 못(No. 18, 아(А)-19방안, 레벨 -268cm)(도면 402, 403)
- 용도 불명의 철제 유물편(No. 19, 게(Г)-16방안, 레벨 -267cm)
- 주철제 유물편(No. 20, 붸(В)-16방안, 레벨 -267cm)
- 철제 칼편(No. 21, 베(Б)-16방안, 레벨 -268cm)(도면 404, 405)
- 철제 화살촉(No. 22, 아(А)-19방안, 레벨 -274cm)(도면 405, 407)
- 십자 기호가 있는 토기 기벽편( 붸( В ) -12방안, 레벨 -267cm)(도면 408)
 
그 외에도 18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는데 윤제 토기 기벽편으로 만든 것(아(А)-13, 14, 16, 20방안, 붸(В)-12, 15방안, 게(Г)-20방안)과 기와로 만든 것(아(А)-15방안, 베(Б)-13, 18방안, 붸(В)-12방안, 게(Г)-12, 18-20방안)이 있다(도면 409).
제9인공층에 대한 정리 조사 시에 577점(10.991kg)의 토기편과 여러 점의 기와편이 출토되었다.
제10인공층을 5~7cm 두께로 제토 조사한 다음에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은 더 남쪽으로 확장되어 아(А)-게(Г)-12-15방안에 분포하였다. 이 토층의 범위 내인 아(А)-12-14방안, 베(Б)-12, 13방안에서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 얼룩(도면 427), 점토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 그리고 갈색의 단단한 알록달록한 사질토 얼룩 등과 같은 크기가 작고 둥그스름한 얼룩들이 몇 개 노출되었다. 아(А)-13, 14방안에서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층 내의 크기가 15×15cm인 둥그스름한 돌 주변에서 불에 탄 나뭇가지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북동-남서 및 남동-북서 방향으로 분포하였다(도면 428, 429). 발굴구역의 남서벽(게(Г)-13-18방안) 밖으로는 토기편과 뼈가 많이 섞여있는 갈색 사질토층이 이어졌다. 이 층은 두께가 5~7c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갈색의 알록달록한 무른 사질토층의 크기와 위치는 거의 변동을 보이지 않았지만, 제10인공층의 레벨에서 이 층에는 토기편과 동물의 뼈들이 더 많이 섞여 있었다. 게다가 뼈들은 꽤 크고 보존상태가 나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아(А), 베(Б)-15방안에서는 개의 턱뼈가 위치하였고, 베(Б)-16방안에서는 작지 않은 길쭉한 암갈색의 사질토 얼룩 가장자리에서 큰 뼈들이 발견되었다(도면 430, 431, 432). 아(А)-붸(В)-17-19방안에는 직경이 2.2~2.6m인 둥근 얼룩이 하나 위치하였는데 그 안에는 밝은 올리브-갈색 모래 얼룩,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 얼룩, 암갈색 사질토 얼룩 등 작은 얼룩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층에서는 꽤 많은 수의 토기편과 동물 뼈가 섞여 있었다. 발굴구역의 남동쪽 부분은 모두 상당히 알록달록한 모습이었는데 이곳에는 대부분이 모래로 된 수많은 얼룩들이 위치하였다(도면 433). 남동벽 밖으로는 노르스름한 갈색의 큰 입자 모래 얼룩이 이어졌다(베(Б)-게(Г)-19-20방안). 아(А), 베(Б)-20방안에는 작은 돌들이 위치하였다. 이 돌들은 무질서하게 놓여 있었고 크기는 8×6cm부터 10×18cm까지였으며 레벨은 -272cm부터 -283cm까지였다. 이 레벨의 붸(В)-16방안과 게(Г)-15방안에서 토기편 무지들이 발견되었는데 기본적으로 작은 깨어진 편들이었다(도면 434). 이 토기편들은 도로에 일부러 깐 것일 수도 있다.
제10인공층에 대한 제토 조사 시에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청동 띠꾸미개(No. 23, 붸(В)-13방안, 레벨 -271cm)(도면 435~437), 수레 차관일 가능성이 있는 주철제 유물(No. 24, 게(Г)-12방안, 레벨 -280cm)(도면 438), 철제 유물편(No. 25, 붸(В)-19방안, 레벨 -280cm)(도면 439), 기호가 새겨진 토기 저부편(No. 25a, 베(Б)-19방안, 레벨 -281cm)(도면 440, 441). 그 외에도 토기 기벽으로 만든 놀이 날(베(Б)-12-14, 17, 19방안, 붸(В)-12, 17방안, 게(Г)-14, 18, 19방안)과 기와로 만든 놀이 알(아(А)-15, 20방안, 붸(В)-18, 20방안)이 출토되었다(도면 442~445).
제10인공층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다량의 윤제 토기편(664점 혹은 12.49kg)과 기와편이 출토되었다(도면 446~460).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제3건축면 자료번호 : kr.d_0013_003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