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귀갑총

龜甲墓/JSM1304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산성하고분군(吉林省 通化市, 集安市)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산성하고분군의 통구하 동쪽 기슭의 충적평원 가운데 위치한다.
유적개관
1909년 일본 학자들에 의해 처음 조사되고, 귀갑총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석실봉토분으로, 한 변의 길이가 18m, 높이가 7m이다. 단실묘이며, 평행삼각고임 천정이다. 현실의 길이는 2.75m, 너비는 2.69m, 높이는 3.17m이다. 석축 벽면에 회칠을 하고, 벽화를 그렸다. 현실의 모든 벽에 연꽃으로 장식된 거북등무늬가 배치되어 있다.
참고문헌
耿鐵華, 「高句麗古墓壁畵硏究」, 2008
해설
귀갑총은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산성하고분군의 북부에 위치한다. 산성자산성의 동쪽 통구하를 바라보는 곳에 있다. 무덤의 형태는 돌방봉토무덤이며 벽화가 있다. 1909년~1910년에 최초로 조사되었다. 1913년에 일본 건축학자가 재조사 한 뒤 간략한 보고서를 작성했으나 그 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알기 어렵다. 1913년 조사 당시에는 현실 천정이 파괴된 지점에 사다리를 놓고 출입했다고 한다. 1909년 발견 당시 돌방의 네 벽면에 거북등무늬가 발견되면서 귀갑총이라고 하였다. 중국에서는 귀갑연화묘, 우산하 1304호묘라고 하며, 북한에서는 거북잔등무늬 무덤이다. 1965년에는 실측조사가 실시되었다. 1993년에는 귀갑총을 보수하고 무덤을 재실측한 뒤에 이에 대한 기록을 진행하였다.
무덤의 남쪽으로 30m 떨어진 지점에 절천정묘가 있다. 돌방봉토무덤의 크기는 상당히 큰 편으로 길이 18m, 높이 7m에 달하며 무덤칸의 방향은 서남향이다. 봉토의 바닥은 네모형이고 천정의 구조는 아치형으로 삼실총과 유사하다. 보고서에 의하면 무덤의 구조는 널길과 널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널방의 네 벽과 천정에 벽회가 발라져 있고, 그 윗면에 벽화를 그렸다. 벽과 천장에 목조가옥의 뼈대에 해당하는 기둥과 들보, 도리를 그려 넣은 뒤 거북 등 속에 연꽃이 있는 무늬[연속귀갑연화문]로 벽을 장식하였다. 기둥과 들보, 도리의 내부는 돌기구름 무늬 등을 채워 넣었다. 벽면에 그려 놓은 거북등 속의 연꽃무늬는 천왕지신총(天王地神塚)과 흡사하고 널방 입구 둘레에 표현된 당초(唐草)무늬는 운강(雲崗)·용문(龍門) 등 중국 북위시대의 유적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기둥이 볼록하게 나온 점과 두공의 접시무늬는 북위시대와 아스카 시대의 것과 유사하다. 무덤 입구의 가장자리에 있는 구름무늬는 한나라의 양식에서 벗어난 구름무늬이다. 널방의 모든 벽에 연꽃으로 장식된 거북등무늬를 확인할 수 있고, 천정 고임에는 도리, 보 등이 그려져 있다. 널방 입구 둘레의 도리부분에는 일종의 당초무늬를 배치했는데, 당초무늬 역시 북위의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귀갑총의 축조 연대에 대해서는 거북등무늬를 통해 고구려 벽화 가운데 앞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산연화묘, 장천 1호묘, 장천 4호묘, 모두루묘, 삼실총 등과 더불어 5세기 말~6세기 초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이에 대해 집안에서 발견된 벽화묘를 분석하여 귀갑총은 장천 1호묘, 삼실묘, 환문묘, 모두루묘와 연대가 비슷하므로 5세기 중엽~6세기 초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귀갑총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60_0040_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