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신빈 영릉진고성

新賓 永陵鎭古城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작성자
    撫順博物館
  • 날짜
    1975
  • 시대
    전한~삼국시기(위)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무순시 신빈만족자치현 영릉진
  • 시대
    상고사
  • 유형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신빈현(新賓縣) 영릉진(永陵鎭)에 위치함.
* 소자하(蘇子河) 남안, 약 1m 높이의 구릉위에 입지함. 주위에 여러 산들이 둘러싸고 있음.
* 성은 요동과 중원이 통하는 교통로에 위치한 요충지임.
* 1975년 무순박물관(撫順博物館)에서 여러 차례 답사 후, 1979년 9월 ~ 10월 성벽을 조사하였고, 1983년 4월 문지(門址)와 성벽을 조사하여 성의 범위와 형식을 확인함.
* 유적은 한대(漢代) 유적임.
유구개관
* 남벽의 잔존 높이는 215m, 동벽은 455m, 서벽은 375m임. 북벽은 이도하자(二道河子)의 수해로 인해 파괴됨.
* 평면형태는 동서의 장방형으로 추측됨.
* 방향은 140°
* 남벽 가운데에 길이 29m, 폭8m의 문지(門址)가 확인 되었고, 5cm의 토층도 확인됨.
* 성벽은 갈색토를 다져서 지음.
* 성의 남부는 벽돌 공장에서 흙을 채취하여 파괴됨.
* 성의 중간부에는 논을 개간하여 210m정도가 끊김.
* 북부의 동서쪽 성병은 비교적 잘 남아 있지만, 끊어진 곳이 많음. 그리고 성벽의 기초가 남아있음. 북부 동벽의 잔존 길이는 100m, 서벽의 잔존 길이는 147m임. 동서벽은 지면에서 1.7m~2.3m로 고르지 않게 튀어나옴.
* 토층은 3층으로 나뉨. 1층은 경작층으로 두깨는 25~30cm로 황갈색이며 흙이 부드러움. 2층은 갈색토로 단단하며 두께는 30~35cm임. 3층은 회갈색이며 단단하고 두께는 30~37cm임.
유물개관
* 토기 및 와당을 비롯한 다수의 유물이 출토됨.
참고문헌
徐家國, 「遼寧新賓縣永陵鎭漢城址調査」, 『考古』 第11期, 1989
해설
유적은 소자하(蘇子河)와 이도하(二道河)가 합수되는 지점의 남서변 충적대지에 위치한다. 1975년 이래 무순시 박물관 등에 의해 수차례 조사되어 북성(北城)과 남성(南城)이 확인되었다. 1979년에는 남성 성벽 추정지점이 조사되었고, 1983년에는 남성 문지가 각각 조사되었다. 2004~2008년에는 요령성문물고고연구소에 의해 남성 내부가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2000년대 이전 조사에서는 남성은 평면 장방형 토성으로 성벽의 규모는 남벽 약 215m, 서벽 약 375m, 동벽 약 455m이며, 북벽은 유실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벽 중앙부에서는 문도(門道)를, 동벽 북단과 서벽 남단에서 문지(門址)를 각각 확인하였다. 출토유물은 한대 토기류와 기와류가 많았으며 오수전(五銖錢)도 수습되었다.
2000년대 이후 조사에서는 남성은 성벽의 잔존 규모가 남북 길이 150m, 동서 너비 110m로 확인되었고, 총 5개의 문화층에 속한 다량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문화층의 경우 제1기층은 청동기시대층, 제2기층은 전한시기층, 제3기층은 후한시기층, 제4기층은 후한말~삼국시기[위(魏)]층, 제5기문화층은 요금시기층으로 각각 구분되었다.
특히 2기층에서는 대형건물지와 저장구덩이[수혈(竪穴)] 등이 확인되었고, 한대 토기류와 수막새[원와당(圓瓦當)], 평기와, 봉니(封泥), 동촉(銅鏃), 동전 형틀[주형(鑄型)] 등이 수습되었다. 제3기문화층에서는 성내 중북부에서 대형건물지가 확인되었고, 다량의 토기편과 기와편 등이 수습되었다. 제4기층에서는 역시 성내 중북부에서 대형건물지가 확인되었고, 동남부에서 부뚜막 또는 구들시설이 마련된 소형주거지와 저장구덩이가 다수 조사되었다.
영릉진고성의 북성과 남성은 서로 다른 시기의 토성인데, 이 가운데 남성은 평면 장방형의 판죽(版築) 토성으로 여러 차례에 걸친 조사결과 성벽과 성문, 성내 건물지와 집자리 등을 확인되었다. 또한 오수전을 비롯하여 전한 중기(또는 기원전 2세기 후반) 이후의 유물들이 주로 출토되고 있어 이 무렵에 축조되어 약 350년간 사용되었음도 확인하였다. 영릉진남성(永陵鎭南城)은 한대 현도군(玄菟郡)이 옮겨 온 2번째 또는 3번째 소재지로 추정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빈 영릉진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30_005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