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의 조공이 빈번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는 지항주(知杭州) 소식(蘇軾)의 상언

  • 날짜
    1089년 11월 (음)(元祐 4年(1089) 11月 甲午)
  • 출전
    卷431, 元祐 4年(1089) 11月 甲午
杭僧有凈源者, 舊居海濱, 與舶客交通牟利, 舶客至高麗, 交譽之. 元豐末, 其王子義天來朝, 因往拜焉. 至是, 源死, 其徒竊其畫像, 附舶客往告, 義天亦使其徒壽介等附舶來祭, 祭訖, 乃言國母使以金塔二祝皇帝·太皇太后壽.
知杭州蘇軾不納, 具言, “熙寧以來, 高麗屢入貢, 至元豐末十六七年間, 館待賜予之費, 不可勝數. 兩浙·淮南·京東三路築城造船, 建立亭館, 調發農工, 侵漁商賈, 所在騷然, 公私告病. 朝廷無絲毫之益, 而遠夷獲不貲之利. 使者所至, 圖畫山川, 購買書籍. 議者以爲所得賜予, 大半歸之契丹, 雖虛實不可明, 而契丹之彊足以禍福高麗, 若不陰相計搆, 則高麗豈敢公然入朝. 中國有識之士, 以爲深憂. 自二聖嗣位, 高麗數年不至, 淮·浙·京東吏民有息肩之喜, 惟福建一路多以海商爲業, 其間凶險之人, 猶敢交通引惹, 以希厚利. 臣稍聞其事, 方欲覺察行遣, 而壽介等實附泉州商人徐戩海舶至此. 且高麗久不入貢, 失賜予厚利, 意欲來朝久矣, 未測朝廷所以待之厚薄, 故因祭亡僧而行祝壽禮, 禮儀渺薄, 抑亦可見. 若受而不答, 則遠夷或以怨怒;因而厚賜之, 正墮其計. 臣謂朝廷宜勿與知, 而使州郡卻之. 然庸僧·猾商擅招誘外夷, 邀求厚利, 爲國生事, 其漸不可長, 宜痛加懲創.”주 001
각주 001)
소식의 이런 언급은 『蘇軾文集』 권30에 「論高麗進奉第二狀」에 자세히 실려 있다.
닫기
詔皆從之.
未幾, 高麗使果至, 軾按舊例, 使之所至, 吳越七州實費二萬四千餘緡, 而民間之費不在此數, 乃令諸郡量事裁損. 比至, 民獲交易之利, 而無侵撓之害.

  • 각주 001)
    소식의 이런 언급은 『蘇軾文集』 권30에 「論高麗進奉第二狀」에 자세히 실려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凈源, 義天, 壽介, 蘇軾, 壽介, 徐戩
지명
高麗, 高麗, 兩浙, 淮南, 京東, 福建, 泉州, 高麗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의 조공이 빈번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는 지항주(知杭州) 소식(蘇軾)의 상언 자료번호 : jt.d_0006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