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고정성촌고성

古井城村古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요금
  • 원소장처
    黑龍江省 寧安市 沙蘭鎭 井城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685m
입지
고성에서 북쪽으로 향하면, 해림현(海林縣) 신안분지(新安盆地)로 통하며, 구공리산성(九公里山城)과 서로 마주하고 있다. 현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고력성(高力城)”이라고 하며, 부근에는 지하수가 매우 풍부하며, 약간의 작은 하천들이 남쪽으로 흘러 목단강(牧丹江)으로 들어간다.
유적개관
성안의 지세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평면은 대체로 불규칙한 형태이다. 고성 안에서 남쪽으로 치우친 곳에 깊이 5m, 너비 8m의 동서성벽을 관통하는 구덩이가 있다. 동쪽 성벽에는 성문이 있고, 성문에는 옹성구조가 있다.
유물개관
* 고성 안에서 일찍이 구첩전서(九疊篆書)의 관인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고구려발해고성지연구휘편
해설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시(寧安市) 사란진(沙蘭鎭) 정성촌(井城村) 북쪽 2.5㎞ 지점의 구릉에 있다. 성에서 북쪽으로 향하면, 해림현(海林縣) 신안(新安) 분지로 통하며, 구공리(九公里) 산성과 서로 마주하고 있다. 현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고력성(高力城)”이라고 하며, 부근에는 지하수가 매우 풍부하며, 약간의 작은 하천들이 남쪽으로 흘러 목단강(牧丹江)으로 들어간다.
성 안의 지세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평면은 대체로 불규칙한 형태이고 둘레는 685m이다. 성 안에서 남쪽으로 치우친 곳에 깊이 5m, 너비 8m의 동쪽과 서쪽의 성벽을 관통하는 구덩이가 있다. 동쪽 성벽에는 옹성(甕城) 구조의 성문이 있다. 이 성은 영안(寧安) 분지와 신안(新安) 분지를 연결하는 요충지에 있고, 발해 시기에 축조되어 요(遼)·금(金) 시기(907∼1234)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성 안에서 일찍이 금대(金代 : 1115∼1234) 구첩전서(九疊篆書)의 관인이 출토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정성촌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110_004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