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귀부인2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상단의 출행도에 그려진 인물들 가운데 묘주 부인 바로 뒤에 묘사된 세 번째 귀부인의 상세도로, 묘주부인을 포함한 세 명의 귀부인 가운데 가장 젊어 보인다. 이 귀부인도 역시 앞의 두 귀부인들과 마찬가지로 볼과 이마에 붉은 연지를 찍고 우아하게 틀어 올린 올림머리를 한 채 가벼운 마음으로 나들이에 따라 나서고 있다. 젊은 귀부인의 크기는 바로 앞의 귀부인과 마찬가지로 행렬의 선두에 묘사된 묘주부부, 묘주아들, 묘주부인 보다 더 작게 그려졌는데, 이 역시 미묘한 신분 차이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이 귀부인도 그 크기로 판단할 때 이들 셋 보다는 신분적 지위가 낮은 사람으로, 바로 앞에 선 귀부인과 동일한 크기로 묘사되고 매우 흡사한 몸치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시녀라고 볼 수는 없으며, 행렬의 위치로 보아 묘주의 가장 어린 세 번째 부인으로 추정된다. 당시 고구려 사회는 일부다처제였기 때문에 한 남자가 여러 명의 아내를 둘 수 있었으며, 실제로 무덤 벽화에도 여러 명의 아내와 함께 앉아있는 묘주부부초상의 예가 여럿이 있어 이러한 추측을 가능케 한다.
먼저 이 귀부인의 복식을 살펴보면, 저고리는 앞의 두 귀부인과 동일한 양식 즉 저고리의 목깃과 앞섶, 소매부리, 도련에 붉은 실로 화려하게 수놓인 비단 천을 활용하여 널찍하게 선을 대고, 다시 목깃과 소매부리에 붉은 색의 선을 대어 극도의 화려함을 추구한 형태를 보여주나, 저고리 옷감으로 검은 천 대신에 붉은 색의 천을 사용한 점이 앞의 두 부인과 다르다. 아무래도 가장 젊은 부인이니 만큼 화려한 붉은 색 저고리를 즐겨 입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귀부인들의 복식은 평민이나 시종들의 저고리가 한 겹의 민무늬 선만으로 이루어진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치마는 역시 묘주부인과는 다른 형태로, 앞에 선 귀부인 즉 둘째 부인과 같은 형태의 주름 폭이 촘촘한 민무늬 천으로 제작된 치마를 입고 있다.
저고리 착의법은 옷섶을 오른쪽으로 여며 입는 우임(右袵 : 왼쪽 옷섶을 오른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 방식이다. 고구려의 전통적인 착의법은 좌임(左袵 : 오른쪽 옷섶을 왼쪽 가슴으로 여며서 입는 방식)이었으나 한족의 우임방식이 고구려로 전래됨에 따라 좌임과 함께 우임이 혼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묘주부부가 나란히 쓰고 있던 산개(傘蓋 : 고대에 귀족들이 나들이 할 때 태양을 가리기 위한 도구로, 오늘날의 양산과 같은 것임)는 보이지 않는다.
이 귀부인의 손은 앞 선 두 부인과는 다르게 가슴 앞에 가지런히 모아 잡은 공수(拱手) 형태가 아니라, 묘주와 묘주아들처럼 두 손을 통이 넓은 소매 자락 밖으로 내밀어 마치 부처님의 수인(手印: 부처님의 손가락 모양)을 모방한 듯한 특이한 모습을 보여준다. 인물의 적절한 비례, 화려한 치장, 유려한 옷 주름 선 등에서 고구려 화공의 높은 수준을 엿볼 수 있다. 이 귀부인상도 고구려의 상류층 귀부인들의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차림새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회화자료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묘주부부출행도(상단)_상세_귀부인2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