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병산동 철기시대 유적

  • 저필자
    오용제
  • 날짜
    1998
  • 시대
    철기시대(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강원도 강릉시 병산동 산 320번지
  • 시대
    상고사
  • 유형
    생활
입지
강릉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97년에 시굴이 실시되었고, 1998년 4월부터 동년 11월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유적개관
유적의 A지구에서는 철기시대 주거지 35기와 신라시대 수혈유구 6기, 그리고 지상가옥으로 추정되는 주혈유구 4기 등 모두 45기의 유구가 발굴조사 되었다. B지구에서는 신라시대 수혈식 석곽묘 33기, 토광묘 3기, 옹관묘 9기 등 45기의 고분유구와 철기시대 유구 1기 등 모두 46기의 유구가 발굴되었다. 9호 주거지에서 발견된 철기 제련장소(단야로)는 병산동 유적에서 철기가 제작되었다는 증거이며, 또한 33호 주거지의 철기제련 용구로 추정되는 철제용구가 출토되었고, 그 주변의 큰 작업대가 많은 타격으로 심하게 갈라져 있는 것은 철기를 주거지 안에서 직접 작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4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철제 삽날은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3호 소형유구에서 출토된 고리손잡이 대도는 우리나라의 이른 시기 무기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유물이다.
출토유물
* 경질무문토기가 가장 많이 출토되었으며, 기형은 호류가 가장 많고, 그 밖에 완,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그 밖에 철기로는 제련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철제 집게와 농사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철제삽날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강릉 병산동 공항대교 접속도로 건설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강릉대학교박물관, 1998
해설
강원도 강릉시 병산동 일대에 위치한 철기시대 유적으로 남대천 하구 남쪽의 해안사구에 입지한다.
1997년 도로공사 도중 철기시대 주거지와 많은 양의 경질무문토기(硬質無文土器)가 확인되어 강릉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시굴조사가 실시되었고, 1998년 4월부터 11월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유적은 A지구와 B지구로 구분되는데, A지구에서는 철기시대 집자리(住居址) 35기, 신라시대 구덩이(竪穴)가 6기, 그리고 지상건물지로 보이는 기둥구멍(柱穴)이 4기 등 총 45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B지구에서는 신라시대 구덩식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墓) 33기, 움무덤(土壙墓) 3기, 독무덤(甕棺墓) 9기 등 모두 45기의 무덤유구와 철기시대 집자리 1기가 조사되었다.
집자리는 총 36기이며 이 중 ‘철(凸)’자형 집자리가 18기, 방형(方形) 집자리가 8기 확인되었다. 영동 해안지방의 다른 유적들과는 달리 ‘여(呂)’자형 주거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부분 남쪽으로 출입구를 놓았고 화덕은 집자리 내부 북쪽에 치우쳐 설치되었다. 화덕은 아무런 시설을 하지 않은 것(無施設式)과 점토띠를 둘러 사용한 것(점토띠式)으로 구분된다. 몇몇 불에 탄 집자리에 남은 나무기둥과 벽체로 사용되었을 나무판자의 흔적을 통해 가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바닥은 모래층 위에 진흙을 평탄하게 다져 사용하였다. 유물 중 토기는 대부분 경질무문토기이나 타날문토기도 소량 확인되었다. 다른 유물로는 토제 가락바퀴(紡錘車)와 소량의 석기도 확인되었다. 철기로는 철제 삽날, 철제 집게, 고리손잡이대도(環頭大刀) 등이 확인되었다. 9호 주거지에서는 주거지 폐기 이후 설치된 것으로 보이는 철기 제련시설(단야로)이 송풍관 조각과 철 부스러기와 함께 확인되었다. 이는 병산동 유적에서 철기가 제작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B지구에 집중된 돌덧널무덤은 유물로 볼 때 거의 시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홑무덤으로 길이 200~300cm의 단순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치아와 정강이뼈 등 일부 유골도 확인되어 대체로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시신을 안치하였음이 확인되었으며, 유물은 동쪽에는 굽다리접시(高杯)와 작은 항아리들, 서쪽에는 큰 항아리들이 주로 안치되었고, 철기는 한 쪽에만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철제 손칼(鐵刀子)은 시신의 오른쪽 중앙부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4호 석곽묘 동쪽에서 뚜껑 있는 굽다리접시(有蓋高杯)와 별도의 유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제사의 흔적으로 추정된다.
그 외 규칙적으로 배치된 기둥구멍의 배열도 발견되었는데, 관련된 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정확한 성격은 파악할 수 없지만, 일부 집모양 토기(家形土器)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지상식 가옥의 흔적으로 생각된다. 규모가 크지 않은 것은 창고와 같은 부속시설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병산동 철기시대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10_002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