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박수(狛首; 고마노오비토)

박수(狛首; 고마노오비토)
 고려(高麗) 사람 안강상왕(安岡上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박수(狛首)
박(狛)의 씨명은 고구려의 종족명, 국명으로부터 나왔다. ‘고마’라고 읽어 고구려를 의미한다. 평성궁 출토 목간에도 일족으로 보이는 박수다수마려(狛首多須麻呂)(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89,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21), 박수을산(狛首乙山)(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81,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14) 등의 인명이 나온다.
2. 안강상왕(安岡上王)
고구려 제23대 안원왕(재위 531~545)으로, 이름은 보연(寶延)이다
고구려의 왕명 중에 고국원왕(故國原王)을 국강상왕(國岡上王), 양원왕(陽原王)을 양강상호왕(陽崗上好王), 평원왕(平原王)을 평강상호왕(平崗上好王)이라고도 기록하고 있다. 요컨대 왕호의 ‘원(原)’ 자를 ‘강(岡, 崗)’으로 사용하고 있듯이 안원왕은 안강왕, 즉 안강상왕(安岡上王)을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박수(狛首; 고마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