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한왕(漢王)의 후손인 지총(知惣)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전변사(田邊史)
전변사씨는 전변폐사(田邊廢寺)의 사적이 있는 하내국(河內國) 안숙군(安宿郡) 자모향(資母鄕) 지역을 본거지로 하는 백제계 도래씨족이다. 현재 대판부 백원시(栢原市) 국분정(國分町) 전변(田邊) 부근에 해당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전변사백손(田邊史伯孫)이 있다.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9년(465) 7월조에 하내국(河內國) 비조호군(飛鳥戶郡) 사람 전변사백손(田邊史伯孫)이 고시군(古市郡) 사람 서수가룡(書首加龍)에게 시집간 딸이 아이를 낳았다는 소식을 듣고 보러갔다가 예전릉(譽田陵) 아래에서 준마를 얻어 기뻐했는데, 다음날 아침에 붉은 준마가 변하여 흙으로 빚은 말로 변해 있었다는 전승이 있다. 이 설화는 『신찬성씨록』 좌경 황별(하)의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조(098)에도 보인다. 이 사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한다. 웅략조(雄略朝) 때에 노하군(努賀君)의 아들 백존(百尊)의 딸이 아이를 낳아 사위집에 갔다가 밤이 되어 귀가하였다. 응신천황(應神天皇)의 능 주변에서 말을 탄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가 말을 바꾸고 헤어졌다. 다음날 바꾼 말을 보니 흙으로 만든 말이었다. 이로 인하여 성을 능변군(陵邊君)이라 붙였다고 한다. 그리고 황극천황(皇極天皇) 때 하내(河內) 산하(山下)의 토지를 하사하고, 문서를 잘 해독하므로 전변사(田邊史)라는 성을 주었고,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에 상모야공(上毛野公)으로 개성(改姓)하였다는 성의 변천을 기록하고 있다. 본조에서 전변사를 중국계 한(漢)으로 분류한 것은 출자의 개변이다. 좌경 황별(하)의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조(098)에서는 황별로 분류되어 천황가의 후손으로 개변되어 나온다.
한편 『존비분맥(尊卑分脈)』 에 인용된 「등씨대조전(藤氏大祖傳)」 에 따르면 등원불비등(藤原不比等)은 산과(山科)의 전변사대외(田邊史大隈) 집안에서 양육되었다고 한다. 그는 대보율령의 찬정자로서 『속일본기』 문무(文武) 4년(700) 6월조에 등원불비등 등 찬정자에게 녹을 내릴 때, 전변사백지(田邊史百枝), 전변사수명(田邊史首名) 등의 이름이 보인다. 이들이 율령 편찬에 선발된 것은 전변사의 뛰어난 능력이지만, 한편으로는 등원불비등의 영향도 있었다고 보인다. 불비등(不比等)이라는 이름도 전변사의 사(史, 후히토)에서 붙은 이름이다. 전변사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백치(白雉) 5년(654) 2월조에 압사(押使) 고향사현리(高向史玄理), 대사(大使) 하변신마려(河邊臣麻呂)와 함께 판관으로서 견당사로 파견된 전변사조(田邊史鳥)가 있다.
『정창원문서』 에도 전변씨의 인명이 다수 확인된다. 천평 9년 2월 25일 「사경교지병필묵직전주문(寫經校紙幷筆墨直錢注文)」 (『대일본고문서』 7-101)의 전변노마려(田邊老麻呂), 천평 10년 12월 「사경사소(寫經司所)」(동 7-370)에 전변강실(田邊橿實), 천평 13년 8월 「사경교생등수실장(寫經校生等手實帳)」(동 7-558)에 전변성득(田邊成得) 등이 나온다.이외에 『만엽집』(15-3638)에도 전변추정(田邊秋庭)이라는 인물이 보인다.
2. 한왕(漢王)
‘한왕(韓王)’일 가능성이 높다.
3. 지총(知摠)
지총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하)의 「화약사주(和藥使主)」 조에 보이는 오국주(吳國主) 조연(照淵)의 손 지총(智聰)이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속일본기』 연력 9년(790) 7월 신사조에 백제계 씨족인 진련진도(津連眞道)의 상표문에 “진도(眞道) 등은 본계(本系)가 백제국 귀수왕에서 나왔습니다. ……근초고왕 대에 이르러 멀리서 성화를 흠모하여 비로소 귀국에 조공을 바치게 되었는데, 이는 신공황후가 섭정하던 해의 일입니다. 그 후 경도풍명조정에서 천하를 통치하는 응신천황이 상모야씨의 먼 조상인 황전별에게 명하여 백제에 가서 유식자를 찾아오게 하였습니다. 그 나라의 국주 귀수왕은 공경하게 사신의 뜻을 받들어 종족(宗族) 중에서 택하여 그 손인 진손왕(辰孫王, 일명 智宗王)을 보내어 사신을 따라 입조하게 하였습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보이는 진손왕의 일명인 지종왕(智宗王)과 동일 인물이다. 지종왕은 하내국 제번 「강원련(岡原連)」 조(1034)에 “그 출자가 백제국 진사왕의 아들 지종이다.(出自百濟國辰斯王子知宗也.)”라고 기록하고 있듯이 백제 진사왕의 왕자 지종(知宗)에 해당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변사(田邊史; 다나베노후히토)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