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조련(調連; 츠키노무라지)

조련(調連; 츠키노무라지)
 수해련(水海連; 미즈우미노무라지)과 조상이 같으며, 백제국(百濟國) 노리사주(努理使主)의 후손이다. 예전천황(譽田天皇; 호무다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응신(應神; 오진)이다.]의 치세에 귀화하였다. 손은 아구태(阿久太)의 아들 미화(彌和), 다음은 하야(賀夜), 다음은 마리(麻利)이다. 미화는 홍계천황(弘計天皇; 오케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현종(顯宗; 겐조우)이다.]의 치세에 양잠, 명주, 직조법을 바쳤다. 그래서 조수(調首)의 성을 주었다.
 
【주석】
1. 조련(調連)
조(調)의 씨명은 명주 등의 조물(調物)을 관리하는 직무에서 유래한다. 조련씨에 대해서는 『속일본기』 화동(和銅) 2년(709) 춘정월 병인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조련담해(調連淡海)가 있다, 조련담해의 원래 이름은 조수담해(調首淡海)였다. 조수담해는 『일본서기』 천무(天武) 원년(672) 6월 갑신조의 임신의 난 때 대해인황자(뒤의 천무천황)의 비 노야황후(뒤의 지통천황)을 모신 사인(舍人) 20여 명 중에 이름이 보인다. 『만엽집(萬葉集)』(1-55)에는 대보(大寶) 원년(701) 신축 추9월에 지통태상천황(持統太上天皇)이 기이국(紀伊國)에 행차할 때에 조수담해가 지은 시가가 실려 있다. 따라서 조수담해는 701년에서 709년 사이에 연(連)을 사성받아 조련(調連)의 성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련담해는 화동(和銅) 6년(713) 4월에는 종5위상으로 승진하였고, 양로(養老) 7년(723) 1월에는 정5위상에 올랐다 신귀(神龜) 4년(727) 11월에는 성무천황이 부인(夫人)광명자(光明子)에게서 아들이 태어난 것을 축하하여 명가(名家)의 적자(嫡子)로 5위 이상을 가진 사람에게 시(絁) 10필(疋)을 사여하면서, 나이가 많은 조련담해에게도 시 10필을 내린 기록이 있다.
조련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 12년(740) 12월 병인조에 외종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조련마양(調連馬養)이 있다. 그는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 1월에 종5위하로 승진하였고, 천평보자(天平寶字) 원년(757) 6월에는 비전수(備前守)로 임명되었다. 그런데 그 다음달에 발생한 귤나량마려(橘奈良麻呂)의 반란 모의 사건에 연좌되어 무위(無位)로 강등되었다가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1월에 종5위상을 받아 복위되었다.
조련우양(調連牛養)은 천평 17년(745) 4월 17일 「주전료해(主殿寮解)」(『大日本古文書』 2-404)에 처음으로 이름이 보인다. 그 후 『속일본기』 천평보자 2년(758) 7월조에서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하였다. 그는 천평신호 원년(765) 1월에 무위에서 외종5위상으로 승진한 기록으로부터 조련마양과 마찬가지로 귤나량마려의 반란 사건에 연루되어 무위로 강등된 후 이해에 복위된 것으로 생각된다.
『평안유문(平安遺文)』 에는 조련으로 개성한 후에도 조수라는 씨성을 가진 인명이 나온다. 이들은 근강국(近江國) 애지군(愛智郡) 대국향(大國鄕)과 문야향(蚊野鄕)의 사람들로, 조수신마려(調首新麻呂), 조수세마려(調首歲麻呂), 조수부마려(調首富麻呂), 조수흑마려(調首黑麻呂), 조수정마려(調首淨麻呂), 조수가주녀(調首家主女), 조수을충녀(調首乙虫女), 조수정천(調首淨川), 조수대야(調首大野), 조수풍문(調首豐門), 조련안종(調連安宗) 등이 있다.
2. 수해련(水海連)
수해련(水海連)에 대해서는 하내국(河內國) 제번(諸蕃)의 「수해련(水海連)」 조(1027)참조.
3. 노리사주(努理使主)
『고사기』인덕천황단(仁德天皇段)에서는 노리능미(奴理能美; 누리노미)로 표기하였다. 대후(大后) 석지일매명(石之日賣命)이 목국(木國)으로 행차하였을 때 인덕천황이 팔전약랑녀(八田若郞女)와 결혼하였다. 그러자 석지일매명이 화가 나서 인덕천황에게 돌아가지 않고 좌통목(坐筒目)의 한인(韓人) 노리능미(奴理能美)의 집에 머물렀다고 한다. 좌통목은 율령제의 산성국(山城國) 철희군(綴喜郡) 철희향(綴喜鄕)으로 지금의 경도부(京都府) 철희군(綴喜郡) 전변정(田邊町) 보현사(普賢寺)부근이다.
노리사주라는 이름은 『신찬성씨록』 좌경 제번(하)의 「민수(民首)」 조(923)에도 “수해련(水海連)과 동조(同祖)이고, 백제국 사람 노리사주(努理使主)의 후손이다”라고 보인다.
4. 예전천황어세귀화(譽田天皇御世歸化)
『고사기』, 『일본서기』 에 나오는 응신조 때의 도래 전승은 후대의 많은 도래씨족들이 자신들의 시조 전승에서 시원으로 삼고 있다. 사료상에 나오는 가장 이른 시기의 도래 기사에 부회한 것으로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5. 조수(調首)
조수씨의 동족 인명으로는 『평안유문(平安遺文)』 에 다수의 인명이 보인다. 조수신마려(調首新麻呂, 동 1-8), 조수세마려(調首歲麻呂, 동 1-9), 조수부마려(調首富麻呂, 동 1-29), 조수흑마려(調首黑麻呂, 동 1-29), 조수정마려(調首淨麻呂, 동 1-29), 조수가주여세(調首家主女歲, 동 1-30), 조수을충여려(調首乙虫女呂, 동 1-30), 조수정천(調首淨川, 동 1-32), 조수대야세(調首大野歲, 동 1-32), 조수풍문(調首豐門, 동 1-59) 등이 기록되어 있다.
6. 홍계천황(弘計天皇)
현종천황(顯宗天皇, 485~487 재위)이다. 『고사기』 나 『일본서기』 에는 현종천황 대에 미화(彌和)가 누에를 길러 옷감을 짜서 조(調)로 바쳤다는 기록이 없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련(調連; 츠키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