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당종기촌(當宗忌寸; 마사무네노이미키)

당종기촌(當宗忌寸; 마사무네노이미키)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4세손 산양공(山陽公)의 후손이다.
 
【주석】
1. 당종기촌(當宗忌寸)
당종기촌의 본거지는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에 하내국(河內國) 지기군(志紀郡)조에 보이는 당종신사(當宗神社)의 진좌지이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우예야시(羽曳野市) 고시정(古市町) 예전(譽田) 일대이다.
당종기촌의 일족으로는 『일본후기』 홍인(弘仁) 2년(811) 4월조에 이하국(伊賀國)의 국수(國守)에 보임된 외종5위하 당종기촌가주(當宗忌寸家主)가 있다. 동 홍인 3년(812)정월조에는 당종기촌가주(當宗忌寸家主)가 아파개(阿波介)에 보임된 사실이 있고, 동 홍인 6년(815) 7월조에는 하내국인 당종기촌가주 등 16인을 좌경으로 편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속일본후기』 천장(天長) 10년(833) 5월조에는 개종5위하(介從五位下) 당종기촌가주로 나오고, 동 승화(承和) 2년(835) 정월조에는 당종숙녜가주(當宗宿禰家主)라 하여 숙녜(宿禰)의 성을 받았으며 정5위하로 승진하고 있다.
2. 헌제(獻帝)
후한의 마지막 황제로, 재위 기간은 189~220년까지이다.
3. 산양공(山陽公)
위(魏)의 세력하에 들어간 후한은 헌제의 재위 중인 건안(建安) 25년(220)에 선양의 형식으로 위왕 조비(曹丕)에게 황제의 자리를 내주었다. 『후한서』 헌제기에서 조비는 위 문제에 의해 산양공(山陽公)에 봉해졌고(奉帝爲山陽公), 그의 자손들이 대대로 산양공을 계승하였다. 동 헌제기에는 헌제로부터 4세손 추(秋)라는 인물이 있는데, 당종기촌(當宗忌寸)은 추(秋)의 자손으로 그가 살해당해 나라가 망하자 일본으로 귀화했다는 설이 있다.
한편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6월조에는 동한씨(東漢氏) 조상인 아지왕(阿智王)이 후한 영제의 증손으로 대방군으로부터 7성의 민을 이끌고 왔다는 도래 전승이 있다. 아지왕의 후예라고 주장하는 동한씨의 후예인 하총수(下總守) 판상예전마려(坂上苅田麻呂)가 상표한 내용이다. 또 동 씨족이 만든 〈판상계도〉의 별본에는 후한 광무제로부터 12세손으로 산양공이 기재되어 있는데, 주기로 당종기촌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서기』 응신기 37년조에 아지사주와 도가사주를 오(吳)에 파견하여 봉공녀(縫工女)를 구했는데 오왕이 형원(兄媛), 제원(弟媛), 오직(吳織), 혈직(穴織)의 4부녀를 주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동 웅략기 14년(470)조의 신협촌주청(身狹村主靑)과 회외민사박덕(檜隈民使博德)이 오에서 모말재기(毛末才伎), 한직공(漢織工), 오직공(吳織工), 의봉(衣縫)의 형원, 제원을 데리고 왔다는 전승과 일치한다. 이 전승에서 특히 도가사주라는 인물은 웅략기 7년(473) 시세조에 신래한인(新來漢人), 금래재기(今來才伎)인 신한도부고귀(新漢陶部高貴), 안부견귀(鞍部堅貴), 화부인사라아(畫部因斯羅我), 금부안정나금(錦部定安那錦), 역어묘안나(譯語卯安那) 등을 상모원(上桃原), 하모원(下桃原), 진신원(眞神原) 3곳에 안치시켰다는 동한직국(東漢直掬)과 동일인이다. 원래 이 전승은 5세기 후반의 기록에는 사실성이 있고, 응신기의 기록은 후대에 추가된 내용이다. 『신찬성씨록』 의 후한 헌제 4세손인 산양공 전승도 후대 동한씨의 후예씨족인 판상씨(坂上氏) 일족이 만들어 낸 것으로 역사적 사실과는 관계가 없다. 8세기 후반 대에 도래인의 후손들이 높은 성을 하사받기 위해 원래 출자의 개변을 시도하는 사례가 많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당종기촌(當宗忌寸; 마사무네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