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채녀조신(采女朝臣; 우네메노아오미)

#천신(天神)
채녀조신(采女朝臣; 우네메노아오미)
 석상조신(石上朝臣; 이소노카미노아오미)과 조상이 같으며,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비노미코토)의 6세손 대수구숙녜(大水口宿禰; 오미나구치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채녀조신(采女朝臣)
채녀(采女; 우네메)라는 씨명은 궁중의 하급 여관인 채녀를 관할하는 반조씨족(伴造氏族)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채녀조신의 옛 씨성은 채녀신으로 천무천황 13년(684) 11월에서 채녀신이 조신을 사성받았다.
채녀신은 『일본서기』 에 모두 세 명 보이는데, 최초는 서명(舒明) 즉위전기에 보이는 채녀신마례지(采女臣摩禮志)이다. 628년 3월에 추고(推古)가 죽고, 그해 9월에 장례를 끝낸 후 후사를 결정하는 대부 회의에서 전촌황자(田村皇子, 서명천황)를 추대하는 대반련경(大伴連鯨)의 의견에 동조하고 있다. 그 후 채녀신사주마려(采女臣使主麻呂)가 효덕 대인 649년 3월에 소아신일향(蘇我臣日向)이 무고하여 우대신 소아창산전석천마려(蘇我倉山田石川麻呂)가 산전사(山田寺)에서 자살하였을 때, 그 사실을 알리고 있다. 그 후 천무 대인 681년 7월에는 소금하(小錦下, 율령제의 종5위) 채녀신죽라(采女臣竹羅)가 신라에 대사로 파견되었다. 채녀신죽라는 684년 11월에 조신을 사성받아, 685년 9월에는 천무천황에게 옷을 받았고, 686년 9월 천무의 빈궁(殯宮) 의례에서 내명부(內命婦)에 관해 애도사를 하였다.
이후 『속일본기』 에 채녀조신죽라(采女朝臣竹羅)의 일족인 채녀조신씨가 보인다. 최초는 채녀조신매부(采女朝臣枚夫, 比良夫로도 표기)로서 704년에 종5위하로 승서되고, 710년에 근강국(近江國)의 장관이 되었으며, 711년에 정5위하로 승서되었다. 『상륙국풍토기(常陸國風土記)』 향도군(香島郡) 고송빈(高松濱)조에서는 704년에 상륙국의 국사였다고 한다. 채녀조신매부 이후의 채녀조신씨로는, 739년에 여관으로 종5위하로 승서된 채녀조신수명(采女朝臣首名)과 채녀조신약(采女朝臣若), 746년에 종5위하로 승서된 채녀조신인(采女朝臣人), 765년 축자국(筑紫國)의 소이(少貳)로 종5위였던 채녀조신정정(采女朝臣淨庭)이 있다.
765년 2월에는 섭진직(攝津直) 도하군(島下郡) 사람 우대사인(右大舍人) 채녀신가마려(采女臣家麻呂)와 채녀사(采女司)의 채부(采部) 채녀신가족(采女臣家足) 등 4명에게 조신을 사성하였다고 한다. 이후 채녀조신씨로 779년에 종5위하로 승서되고 787년에 일향국(日向國)의 장관[守]이 된 채녀조신택수(采女朝臣宅守)가 있다. 이후 『일본후기』에는 810년에 종5위하로 승서된 채녀조신매마려(采女朝臣枚麻呂)가 보인다.
채녀조신인(采女朝臣人)에 대해서는 천평 17년(745) 4월 17일부 「내선사해(內膳司解)」(『대일본고문서』 2-406)에 ‘봉선정육위상겸행채녀조신비등(奉膳正六位上兼行采女朝臣比等)’이라고 적고 있다. 인(人; 히토)을 비등(比等; 히토)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그가 내선사(內膳司)의 봉선(奉膳)이며 채녀사(采女司)의 장관인 채녀정(采女正)이었음을 알 수 있다.
채녀신에 대해서는 화천국 신별 「채녀신」 조(692) 참조.
2. 석상조신(石上朝臣)
대화국(大和國) 산변군(山邊郡) 석상향(石上鄕)에 거점을 가지고 있었던 물부련씨가 천무천황에게 조신을 사성받아 물부조신씨가 되고 석상조신씨가 되었다. 좌경 신별(상)「석상조신」 조(346) 참조.
3.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신요속일명은 물부련(석상조신)씨의 조상이다.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 조(346) 신요속일명 참조.
4. 대수구숙녜(大水口宿禰)
대수구숙녜는 『일본서기』 와 『선대구사본기』, 『신찬성씨록』 좌경 신별(상) 「수적신」 조(354)에서 수적신(穗積臣)의 조상으로 등장한다. 앞의 「수적신」 조에서 대수구숙녜는 신요속일명의 6세손 이향색웅의 아들이다. 따라서 신요속일명의 7세손이 된다. 본조 「채녀조신」 조에서 대수구숙녜를 신요속일명의 6세손으로 놓고 있으므로, 수적신과는 다른 대수구숙녜의 계보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선대구사본기』 에서는 대수구숙녜가 수적신, 채녀신 등의 조상이라고 하면서 출석심명(出石心命)의 아들이라고 적고 있다. 좌경 신별(상) 「수적조신」 조(354) 이향색웅, 대수구숙녜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채녀조신(采女朝臣; 우네메노아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