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등미수(登美首; 도미노오비토)

등미수(登美首; 도미노오비토)
 좌대공(佐代公; 사테노키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의 자식인 왜일향건일향팔강전명(倭日向建日向八綱田命; 야마토히무카타케히무카야츠나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어 있다.
 
【주석】
1. 등미수(登美首)
등미(登美; 도미)라는 씨명은 지미(止美) 또는 적견(迹見)이라고도 쓴다. 지미라는 씨명은 하내국 황별 「지미련(止微連)」 조(297)에 보이는 백제의 지미읍(止美邑)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지미라는 곳은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49년 3월조 및 응신 8년 3월조에 인용된 『백제기』에 보이는 ‘침미다례(忱彌多禮)’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계체 2년(508) 12월조에 보이는 남해의 ‘탐라(耽羅)’와 ‘침미다례’가 음이 비슷하며 ‘남해’라는 방위도 백제에서 침미다례를 ‘남만(南蠻)’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침미다례를 제주도로 비정한다. 한편 침미다례를 고해진(古奚津)의 요충지인 강진으로 보거나, 『삼국지』 위서 동이전 마한조의 신미국(新彌國)으로 보고 영산강 유역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지미련씨 일족에 대해서는 다른 사료에 보이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하내국 황별의 등미수(登美首)가 지미련씨와 동족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2. 왜일향건일향팔강전명(倭日向建日向八綱田命)
『일본서기』 수인천황 5년 10월 기묘삭조에 상모야군의 조상 팔망전(八網田)이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화천국 황별 「경부」 조(329) 및 미정잡성 화천국 「아손공」 조(1167) 참조.
3. 일본기루(日本紀漏)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등미수의 사성 관련 기록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일본서기』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누락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등미수(登美首; 도미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