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진현주(珍縣主; 치누노아가타타누시)

진현주(珍縣主; 치누노아가타타누시)
 좌대공(佐代公; 사테노키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3세손인 어제별명(御諸別命; 미모로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에는 누락되어 있다.
 
【주석】
1. 진현주(珍縣主)
진(珍; 치누)이라는 씨명은 진노(珍努), 혈소(血沼)라고도 쓰며, 『일본서기』 숭신 7년 8월 기유조와 숭준 즉위전기에 보이는 모정현(茅渟縣)의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주는 현주(縣主)라는 직장명이 성으로 된 것이다.
진현주씨의 일족으로는 천평 10년 4월 5일자 「화천감정세장(和泉監正稅帳)」(『대일본고문서』 218)의 진현주왜마려(珍縣主倭麻呂), 진현주심마려(珍縣主深麻呂)가 있고, 천평승보(天平勝宝) 2년 8월 28일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25-133)의 진현주제인만려(珍縣主弟人萬呂)가 나온다.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 3월 무진조에 진노현주제상(珍努縣主諸上), 『일본삼대실록』 원경(元慶) 5년 4월 28일 을사조에 진현주삼진웅(珍縣主三津雄)이 있다.
2. 좌대공(佐代公)
좌대라는 씨명은 좌태(佐太)라고도 하며 하내국 자전군(茨田郡) 좌태향(佐太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대판부 매방시(枚方市) 차타(蹉跎) 일대이다. 좌경 황별(하)「지전조신」 조 및 「상모야판본조신」 조에 보이는 좌태공(佐太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좌대를 ‘사타’라고 읽는다면 천평 5년(733) 「산배국애탕군계장(山背國愛宕郡計帳)」(『대일본고문서』 1-511)에 보이는 협전군도자매(狹田郡刀自賣), 협전군이비매(狹田郡爾比賣) 등의 협전군씨는 좌대공씨와 동족일 것이다.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에 대해서는 하천국 황별 「좌대공(佐代公)」 조(323)
4. 어제별명(御諸別命)
『일본서기』 경행 56년 8월조에는 동국(東國) 지방의 하이를 정벌하여 다스린 어제별왕(御諸別王; 미모로와케노미코)으로 나온다. 본조에는 ‘풍성입언명삼세손어제별명(豐城入彦命三世孫御諸別命)’이라고 나온다.
5. 일본기루(日本紀漏)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진현주의 사성과 관련된 기록이 있었을 것인데 『일본서기』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진현주(珍縣主; 치누노아가타타누시)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