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포류숙녜(布留宿禰; 후루노스쿠네)

포류숙녜(布留宿禰; 후루노스쿠네)
 시본조신(柿本朝臣; 가키노모토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아메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의 7세손인 미병도대사주명(米餠搗大使主命; 다가네츠키노오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목사명(木㕝命; 고고토노미코토)과 시천신(市川臣; 이치카하노오미)이 아들이다. 대초료천황(大鷦鷯天皇; 오사자키노스메라미코토) 치세 때 (천황이) 왜(倭; 야마토)로 행차해서 신사를 석상(石上; 이소노카미)의 어포류촌(御布瑠村; 미후루노무라) 고정(高庭; 타카니하)의 땅에 모시고 시천신을 신주로 삼았다 포도노사신사(布都努斯神社; 후츠누시노카미노야시로)에 제사지내고 신주(神主)가 되었다. 액전신(額田臣; 누카타노오미)과 무장신(武藏臣; 무사시노오미)이 4세손이다. 제명천황(齊明天皇; 사이메이텐노) 치세 때 종아하이대신(宗我蝦夷大臣; 소가노에미시노오미)이 무장신을 물부수(物部首; 모노노베노오비토) 및 신주수(神主首; 가무누시노오비토)라고 이름하였다. 이로 인해 신(臣) 성을 잃고 물부수가 되었다. 아들인 정5위상 일향(日向; 히무카)이 천무천황(天武天皇; 덴무텐노) 치세 때 신사가 있는 곳의 이름을 따라 포류숙녜(布瑠宿禰; 후루노스쿠네)로 개성되었다. 일향의 3세손은 읍지(邑智; 오호치) 등이다.
 
【주석】
1. 포류숙녜(布留宿禰)
포류(布留)라는 씨명은 포류(布瑠)라고도 하며, 석상(石上)의 어포류촌(御布留村; 미후루노무라)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나량현 천리시(天理市) 포류정(布留町) 지역에 해당한다.
포류숙녜의 옛 씨성은 물부수(物部首)이다. 물부수는 석상신궁에 봉사한 씨족으로 고분 시대 이래 대련(大連)을 배출한 물부련(物部連)과는 별개의 씨족이다. 그런데 『일본서기』 천무 12년(684) 9월 정미조에 의하면 물부수가 연(連) 성을 사성받는 기록이 보인다. 이후 천무천황 13년 12월 기묘조에는 포류련이 숙녜(宿禰)로 개성되고 있다. 즉 ‘물부수-물부련-포류련-포류숙녜’로 변천 과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물부에서 포류로 씨명이 바뀐 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아마도 천무천황 12년 9월에 연을 사성받을 때 씨명도 함께 바뀐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포류숙녜씨의 일족으로는 먼저 물부수씨 시대의 물부수일향(物部首日向)이 있다. 물부수일향은 임신의 난(672년) 때 대우황자 측의 병사를 모으기 위해서 왜경(倭京)에 파견되었지만 이후 대해인황자[天武] 측의 포로가 된 인물이다. 본조에서는 일향의 위계를 정5위상이라고 하였지만, 정5위상은 대보 원년(701) 이후의 위계이다. 따라서 일향이 대보 원년 이후까지 살았고, 『신찬성씨록』 편찬 때 일향이 받은 위계를 그대로 적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
포류숙녜로 개성된 이후의 일족으로는 『일본후기』 연력(延曆) 24년(805) 2월 경술조에 문장생(文章生)이었던 종8위상 포류숙녜고정(布留宿禰高庭)이 있다. 그는 『유취국사』 권194 천장(天長) 2년(825) 12월 을사조에 의하면 대내기(大內記)로서 정6위상으로 승진하여 발해 사신을 영접하는 영객사에 임명되었다. 이후 천장 3년 정월에는 종5위하로 또 승진하였고, 종5위하 행대내기(行大內記) 산전숙녜고사(山田宿禰古嗣)와 함께 『일본후기』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이 밖에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0년(843) 정월 신축조에서 이하수(伊賀守)로 임명된 종5위하 포류숙녜고정(布留宿禰高貞), 『일본삼대실록』 천안(天安) 2년(858) 11월 7일 갑자조에 직강(直講) 종5위하로 승진된 포류숙녜정야(布留宿禰淨野),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원년(859) 12월 27일 무신조의 대록(大錄)종7위상 포류숙녜도영(布留宿禰道永), 정관 3년 3월 14일 무자조에 동대사 법회를 관리·감독한 산위(散位) 외종5위하 포류숙녜청정(布留宿禰淸貞), 원경(元慶) 6년(882) 정월 7일 경술조의 포류숙녜금도(布留宿禰今道) 등이 있다.
2. 시본조신동조(柿本朝臣同祖)
대화국 황별 「시하조신」 조에는 시본조신이 천족언국압인명의 후손이라고 적고 있다.
3. 천족언국압인명(天足彦國押人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의하면, 효소천황의 첫째 황자로서 『고사기』 효소천황단에는 천압대일자명(天押帶日子命)으로 나온다. 좌경 황별(하) 「대춘일조신」 조(087) 참조.
4. 미병도대사주명(米餠搗大使主命)
효소천황의 장남인 천족언국압인명의 6세손으로 소야신사(小野神社) 전승에 의하면 응신천황에게 시토기(달걀 모양의 떡)를 바쳤다고 한다. 소야씨(小野氏), 춘일씨(春日氏), 시본씨(柿本氏) 등의 조상이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보이지 않는다. 좌경 황별(하) 「소야조신」 조(088) 참조.
5. 목사명(木㕝命)
『고사기』 반정천황단에는 환이지허기등신(丸邇之許碁登臣)으로 나오며, 『일본서기』 반정천황 원년 8월조에는 대택신(大宅臣)의 선조인 목사(木事)로 나온다. 대택신은 『고사기』 효소천황단에 의하면 천압대일자명(天押帯日子命), 즉 천족언국압인명의 후손으로 춘일신(春日臣)과도 동족이라고 한다. 『석상진신궁략초(石上振神宮略抄)』에 인용된 『신주포류숙녜계보(神主布留宿禰系譜)』에는 미병도대사주명의 자식인 목사명(木事命)이 대택신, 시본신의 조상이라고 나온다. 또한 『속일본후기』 천장 10년(833) 2월 정해조에는 대택수취신계주(大宅水取臣繼主)가 신팔복목사명(臣八腹木事命), 즉 목사의 후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류숙녜씨, 시본숙녜씨, 대택신씨, 춘일신씨는 효소천황의 계통이다.
6. 시천신(市川臣)
『일본서기』 수인 39년 10월조에 인용된 ‘일운(一云)’에는 시하(市河; 이치카하)라고 나온다. 여기에서 시하는 석상신궁을 관리하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춘일신과 동족이며 물부수의 조상이라고 한다. 「화이계도」 에도 시하신으로 나오며 미병도대사주명의 아들이자 팔복목사신(八腹木事臣)의 동생이라고 한다. 또한 시하신의 자식들로 즐사신(櫛事臣)이 있으며 물부수와 포류숙녜의 조상이라고 한다.
7. 대초료천황어세(大鷦鷯天皇御世)
완본에는 ‘대초료천황’ 다음에 ‘시인덕(諡仁德)’이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이다. 대초료천황은 『고사기』와 『일본서기』 의 제16대 천황인 인덕천황을 가리킨다. 응신천황의 자식이자 이중, 반정, 윤공천황이 아버지이다. 인덕천황은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요순(堯舜)과 같은 성스러운 군주로 묘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사망한 나이를 기록하지 않고 재위 87년에 죽었다고만 하였는데, 『고사기』에는 83세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능묘인 백설조이원중릉(百舌鳥耳原中陵)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계시(堺市) 대선정(大仙町)의 대산고분(大仙古墳)으로 비정되고 있다.
한편 『일본서기』 인덕기에는 시천 또는 시하신과 관련된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수인 39년 동10월조에 후대의 일을 소급해서 분주로 인용한 ‘일운(一云)’에 의하면 석상신궁의 신이 춘일신과 동족인 시하(市河)에게 1천 자루의 큰 칼을 관리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대초료천왕어세 이하의 내용은 이와 관련된 내용일 것으로 추정된다.
8. 왜(倭)
야마토, 즉 대화(大和) 지역을 일컫는다.
9. 포도노사신사(布都努斯神社)
『연희식』 신명장(神名帳)의 비전국(備前國) 적판군(赤坂郡)조에 보이는 석상포도지혼신사(石上布都之魂神社)를 가리킨다. 현재의 강산현(岡山縣) 적반시(赤盤市)에 있다. 이곳의 주제신(主祭神)인 포도어혼신(布都御魂神)은 신대에 무옹뢰신(武甕雷神)이 차고 있던 영검(靈劍)으로 신무천황 동정 때 악신을 물리치고 나라를 평정하였다고 전한다. 물부씨의 조상인 우마지마치명(宇摩志麻治命)이 궁중에서 제사를 지내다가 숭신천황 대에 이르러 또한 물부씨의 이색향웅명(伊香色雄命)이 지금의 석상신궁으로 옮겨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10. 석상어포류촌고정(石上御布瑠村高庭)
석상의 어포류촌은 율령제에서의 대화국 산변군(山邊郡) 석상향(石上鄕) 지역이다. 현재 나량현 천리시(天理市) 포류정(布留町) 지역에 해당한다. 고정(高庭)은 포도대신(布都大神)이나 포류어혼신(布留御魂神) 등의 제신들을 제사지낼 수 있는 신성한 곳을 가리킨다.
11. 액전신(額田臣)
『석상진신궁략초(石上振神宮略抄)』에 인용된 『신주포류숙녜계보(神主布留宿禰系譜)』에도 “시천신(市川臣)의 4세손 신주(神主) 물부수액전신(物部首額田臣)”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성국 신별 액전신조에 의하면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의 후손인 액전신씨도 있다. 이향아색웅명은 물부씨의 조상으로 포도어혼신을 지금의 석상신궁으로 옮겼다는 전승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액전신씨가 물부씨, 수적신(穗積臣)씨와 동족임을 알 수 있다. 액전신의 일족에 대해서 다른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12. 무장신(武藏臣)
『석상진신궁략초』에 인용된 『축부화기촌략계보(祝部火忌寸略系譜)』에도 무장신이 시천신의 4세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무장신은 여기에만 보인다.
13. 제명천황어세(齊明天皇御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천풍재중일족희천황시황극어세(天豐財重日足姬天皇諡皇極御世)’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본조에 등장하는 종아하이대신(宗我蝦夷大臣)이 추고조와 황극조에 대신이던 소아하이(蘇我蝦夷)를 가리키기 때문에 제명이 아닌 황극으로 보아야 한다. 황극은 『일본서기』 의 제35대 천황으로 추고 2년(594)에 태어나 661년에 사망하였다. 아버지는 모정왕(茅渟王)이고 어머니는 길비희왕(吉備姬王)이다. 서명과 결혼하여 천지와 천무 등을 낳았다. 재위 기간은 642년부터 645년까지이다. 후일에 중조(重祚)하여 제명천황이 되었다.
14. 종아하이대신(宗我蝦夷大臣)
소아마자(蘇我馬子)의 자식이자 입록(入鹿)의 아버지인 소아하이(蘇我蝦夷)이다. 그는 추고에서 황극조에 걸쳐 대신으로서 권세를 누렸다. 황극 4년(645) 6월에 을사의 변이라고 불리는 정변에서 죽음을 당하였다.
『일본서기』 황극 2년 10월 임자조에 의하면 소아대신하이(蘇我大臣蝦夷)가 병에 들어 마음대로 자관(紫冠)을 아들 입록에게 주어 대신의 자리에 준하게 하고, 또 입록의 동생을 물부대신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한 『기씨가첩』에는 소아하이가 물부수옥대련가의 멸망 후 물부씨 일족과 신주가(神主家) 등을 종으로 삼고 물부수 또는 신주수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석상진신궁략초(石上振神宮略抄)』에 인용된 『신주포류숙녜계보(神主布留宿禰系譜)』에도 이와 비슷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본조에서 하이대신이 무장신과 물부수를 신주수로 불렀다는 것은 이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15. 물부수(物部首)
물부수에 대해서는 앞의 포류숙녜 항목 참조. 물부수가 원래의 신(臣) 성을 잃고 물부수가 되었다는 내용은 『석상진신궁략초』에 인용된 『신주포류숙녜계보』에도 보인다.
16. 신주수(神主首)
여기에만 보인다.
17. 일향(日向)
『일본서기』 천무천황 원년(673) 6월 신유삭조에 보이는 물부수일향(物部首日向)을 가리킨다. 일향에 대해서는 앞의 포류숙녜 항목 참조. 다만 『석상신궁구기(石上神宮舊記)』와 『석상진신궁략초(石上振神宮略抄)』에 인용된 『신주포류숙녜계보(神主布留宿禰系譜)』에서도 일향이 천무천황 대에 신사가 있는 지역명에 의거하여 포류련을 하사받았다고 하였지만, 일향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전자는 무장신으로 후자는 액전신으로 기록하고 있다.
18. 천무천황어세(天武天皇御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천정중원영진인천황시천무어세(天渟中原灜眞人天皇諡天武御世)’로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19. 읍지(邑智)
여기에만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포류숙녜(布留宿禰; 후루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1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