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공(山公; 야마노키미)

산공(山公; 야마노키미)
 내신(內臣)과 조상이 같다. 미내숙녜(味內宿禰; 우마시우치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산공(山公)
산군(山君; 야마노키미)이라고도 한다. 산(山; 야마)이라는 씨명은 산수부(山守部)의 반조씨족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하거나, 대화국 첨상군(添上郡) 산군향(山君鄕)이라는 지명에서 왔을 가능성이 있다. 산군향은 보귀 4년(773) 4월 7일자 「조사소공문(造寺所公文)」(『대일본고문서』 6-516)에 산공향으로 나오며, 현재 나량시 전원(田原) 부근으로 산군(공)씨의 본거지였다.
산공씨는 본조의 미내숙녜계 이외에 대언명계, 낙별왕계, 오십일족언별명계로 나누어진다. 미내숙녜계의 산공씨 일족으로는 모년(某年) 「감적역명(勘籍歷名)」(『대일본고문서』 25-93)에 보이는 대화국 첨상군 산군향의 호주 산군기파두(山君岐波豆)와 호구 산군호나미(山君乎奈彌)가 있다. 대언명계로는 『일본서기』 효원 7년 2월조에 협협성산군(狹狹城山君), 동 인덕 40년 시세조에 근강산군치수산(近江山君稚水山), 웅략 즉위전기에 협협산군한대(狹狹山君韓帒), 현종 원년 2월조의 협협성산군조왜대숙녜(狹狹城山君祖倭帒宿禰) 등이 있다. 이들은 근강국 출신이며, 좌경 황별(상) 「좌좌귀산공(佐佐貴山公)」 조(062)와 섭진국 황별 「좌좌귀산군」 조(231)에 의하면 대언명의 후손으로 아배조신과 조상이 같다. 한편 『고사기』 수인천황단에 나오는 소월지산군(小月之山君)은 수인천황의 황자인 낙별왕(落別王)의 후손이며, 춘일산군(春日山君)은 화천국 황별 「산공」 조(335)에 의하면 수인천황의 황자인 오십일족언별명(五十日足彦別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2. 내신동조(內臣同祖)
『고사기』효원천황단에 의하면 내신의 조상인 언태인신명(彦太忍信命)이 무내숙녜의 조부이고, 산공의 조상인 미내숙녜는 무내숙녜의 이모제(異母弟)이다. 언태인신명의 후손이어서 동조라고 칭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내숙녜를 별도의 조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3. 미내숙녜(味內宿禰)
『고사기』효원천황단에는 미사내숙녜(味師內宿禰)로 나오며, 산대내신(山代內臣)의 조상이라고 한다. 『일본서기』 응신 9년 4월조에는 무내숙녜의 동생인 감미내숙녜(甘美內宿禰)로 나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공(山公; 야마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1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