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아보조신(阿保朝臣; 아호노아소미)

아보조신(阿保朝臣; 아호노아소미)
 수인천황(垂仁天皇; 스이닌텐노)의 황자 식속별명(息速別命; 이코하야와케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식속별명이 유약할 때 천황이 황자를 위해 궁을 이하국(伊賀國) 아보촌(阿保村; 아호노무라)에 짓고 봉읍(封邑)으로 주었다. 자손에 의해 가를 이루었다. 윤공천황(允恭天皇) 때에 거주지 명으로 아보군(阿保君; 아호노키미)이라는 성을 주었다. 폐제(廢帝)천평보자(天平寶字) 8년에 공(公; 기미) 성을 고쳐 조신(朝臣; 아소미)이라는 성을 주었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아보조신(阿保朝臣)
아보(阿保; 아호)라는 씨명은 율령제 이하국(伊賀國) 이하군(伊賀郡)의 아보향(阿保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784) 11월 무오조에는 무장개(武藏介) 종5위상 건부조신인상(建部朝臣人上) 등이 개성을 요청하면서 “신 등의 시조 식속별황자(息速別皇子)가 이하국 아보촌에 거주하였으므로 원명일향조정(遠明日香朝廷, 允恭朝) 때 황자 4세손 수니도두왕(須祢都斗王)에게 아보군(阿保君)이라는 성을 주었고, 후손 의보하사(意保賀斯)는 장곡단창조정(長谷旦倉朝廷, 雄略朝) 때 건부군(健部君)으로 개성하였다. 본래 아보조신의 성으로 돌아가기를 청하여 허락받았다. 그래서 인상 등에게는 아보조신, 건부군흑마려(健部君黑麻呂) 등에게는 아보공(阿保公)이라는 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건부군 일족으로는 천평승보(天平勝寶) 8년경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대일본고문서』 25-133)의 건부군문만려(建部君文萬呂), 『속일본기』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10월 경오조의 정6위상(극위) 건부공인상(建部公人上), 연력 3년(784) 11월 무오조의 건부군흑마려(健部君黑麻呂) 등이 있다. 또 『속일본기』 천평보자 8년(764) 10월 신묘조에서 인번연(因幡掾) 외종5위하 건부공인상(健部公人上) 등 15인에게 조신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이것이 폐제 천평보자 8년에 공 성에서 조신 성으로 개성된 것에 해당된다. 다만 우경 황별(하) 「건부공」 조가 게재되어 있으므로 건부군풍족 및 만려가 아보조신이 된 건부군씨와 동족이라고 확정짓기는 어렵다.
아보조신 일족으로는 『일본후기』 연력 15년(796) 9월 계사조의 아보조신인상 외에 연력 18년(799) 5월 기사조의 아보조신광성, 『평안유문(平安遺文)』(1-308)에 수록된 대동(大同) 2년(807) 9월 14일 「월중국관창납곡교체장(越中國官倉納穀交替帳)」의 아보조신씨환(阿保朝臣氏丸),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11년(844) 2월 신유조의 외종5위하에서 종5위하(極位)로 승진한 아보조신영선(阿保朝臣永善)이 있으며, 『일본삼대실록』 원경(元慶) 3년(879) 11월 25일 경진조에 감해유차관(勘解由次官) 겸 행산박사(行算博士)단마개(但馬介) 아보조신금웅(阿保朝臣今雄)이 외종5위하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기록이 보인다.
2. 수인천황(垂仁天皇)
『일본서기』에는 수인천황이 제11대 천황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존 여부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고사기(古事記)』 숭신천황단에는 이구미입일자이사지명(伊玖米入日子伊沙知命; 이쿠메이리히코이사치노미코토), 수인천황단에는 이구미이리비고이좌지명(伊玖米伊理毗古伊佐知命; 이쿠메이리비코이사치노미코토)이라고 적혀 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수인’ 앞에 ‘활목입언오십협모천황시(活目入彦五十狹茅天皇諡)’라는 11글자가 있고, ‘수인’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3. 식속별명(息速別命)
수인천황의 황자이다. 식속별명(息速別命; 이코하야와케노미코토)은 『일본서기』에는 지속별명(池速別命; 이케하야와케노미코토), 『고사기』에는 이허파야화기명(伊許婆夜和氣命; 이코바야와케노미코토)이라 적혀 있고, 이허파야화기명의 분주에는 사본(沙本; 사호)의 혈태부지별(穴太部之別; 아나호베노와케)의 조상이라고 적혀 있다.
4. 이하국(伊賀國) 아보촌(阿保村)
『화명유취초(和名類聚抄)』 의 이하국(伊賀國) 이하군 아보향이다. 현재 삼중현(三重縣)이하시(伊賀市) 아보(阿保) 일대에 해당된다. 『속일본기(續日本紀)』 연력(延曆) 3년(784)11월 무오조에는 건부조신인상(建部朝臣人上) 등이 개성을 요청할 때에 시조 식속별황자(息速別皇子; 이코하야와케노미코)가 이하국 아보촌(阿保村)에 거주했다고 주장하였다. 『평안유문(平安遺文)』(1-359)에 수록된 승평(承平) 4년(934) 11월 19일자 「이하국하견향도녜해안(伊賀國夏見鄕刀禰解案)」 에는 이하군 아보촌주(阿保村主)가 보인다.
5. 윤공천황(允恭天皇)
제19대 천황이다. 인덕천황(仁德天皇)의 아들로 어머니는 반지원(磐之媛)이다. 니중(履中), 반정(反正)과 동모제(同母弟)이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완본에는 ‘윤공’ 앞에 ‘웅조진간치자숙녜천황시(雄朝津間稚子宿禰天皇諡)’ 혹은 ‘원명일향조정어우천황시(遠明日香朝廷御宇天皇諡)’가 있고, ‘윤공’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6. 폐제(廢帝) 천평보자팔년(天平寶字八年)
폐제는 순인천황(淳仁天皇)을 가리킨다. 733년에서 765년까지 재위한 일본 제47대 천황이다. 폐제 휘는 대취왕(大炊王)이다. 명치천황(明治天皇)에 의해 담로폐제(淡路廃帝)라고 추호(追號)되기 전까지 폐제라고 불렸다. 등원중마려(藤原仲麻呂)의 난 이후 효겸상황(孝謙上皇)에게 제위를 빼앗기고 담로국(淡路國)에 유폐되었기 때문에 칭해진 이름이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10월 신묘조에서 인번연(因幡掾) 외종5위하 건부공인상(健部公人上) 등 15인에게 조신(朝臣)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이것이 폐제 천평보자 8년 공 성에서 조신 성으로 개성된 것에 해당된다.
7.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와 합치된다.”는 것은 첫째,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10월 신묘조에 인번연(因幡掾) 외종5위하 건부공인상(健部公人上) 등 15인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내려주었다는 기사, 둘째, 『속일본기』 연력(延曆) 3년 11월 무오조에 “무장개(武藏介) 종5위상 건부조신인상(建部朝臣人上)이 개성을 청원하면서 ‘신 등의 시조 식속별황자(息速別皇子)가 이하국 아보촌에 거주하였으므로 원명일향조정(遠明日香朝廷, 윤공조[允恭朝])에 아보군(阿保君)이라는 성을 받았다.’라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이 받아들여져 건부조신인상 등의 씨명이 아보로 복귀되어 아보조신(阿保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라는 기사에 등장하는 2가지 조신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보조신(阿保朝臣; 아호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