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수공(守公; 모리노키미)

수공(守公; 모리노키미)
 모의공(牟義公; 무게노키미)과 같은 씨이며 대대명(大碓命; 오우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수공(守公)
수공이라는 씨명의 유래는 지명이나 직명과 관련된 것을 찾기가 어렵다. 수공은 수군(守君; 모리노키미)과 같다.
수공 일족으로는 『일본서기』에 제명(齊明) 4년(658) 11월 무자조의 수군대석(守君大石), 지통천황(持統天皇) 원년(687) 정월 갑신조의 수군예전(守君苅田)이 보인다. 신귀 3년(726) 「산배국애탕군운하리계장(山背國愛宕郡雲下里計帳)」(『대일본고문서』1-366) 수군의유매(守君義由賣), 천평승보 2년(750) 8월 28일자 「조동대사사해(造東大寺司解)」(25-133)의 수군사마려(守君簑麻呂) 등도 있다. 수공(수군)씨 외에 무성의 수씨도 존재한다. 천평 16년(744) 7월 13일자 「중궁직이안(中宮職移案)」(8-220)에 수마양(守馬養), 천평보자 6년(762) 「작금당소해(作金堂所解)」(『대일본고문서』16-309)에 수소사(守小簑)라는 이름이 보이고, 천평신호 2년(766) 10월 11일자 「월전국사해(越前國司解)」(『대일본고문서』5-593)에 월전국 판정군(坂井郡) 황백향(荒伯鄕)의 호주로 수흑충(守黑虫)이 보인다.
2. 모의공동씨(牟義公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동조(同祖)’라는 2글자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동씨(同氏)는 씨가 같은 것이고 동조(同祖)는 조상이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본서기』 경행천황 40년 7월 무술조에는 대대황자가 봉지인 미농국에 가서 신모진군(身毛津君; 무게츠노키미)과 수군(守君; 모리노키미)의 시조가 되었다고 적혀 있다.
3. 대대명(大碓命)
『일본서기』와 『고사기』 등에 경행천황(景行天皇)의 아들이라 전해지는 고대 일본의 황족이다. 『일본서기』에는 대대황자(大碓皇子) 또는 대대명(大碓命)으로 『고사기』에는 대대명(大碓命)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앞의 「모의공」 조(114) 대대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공(守公; 모리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