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길미후부(吉彌侯部; 기미코베)

길미후부(吉彌侯部; 기미코베)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6세손 나량군(奈良君; 나라노키미)의 후손이다.
 
【주석】
1. 길미후부(吉彌侯部)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원년(757) 3월 을해조에는 “이제부터 등원부(藤原部)라는 성을 고쳐 구수파량부(久須波良部)로 하고, 군자부(君子部)를 길미후부(吉美侯部)로 하라고 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이 길미후부(吉美侯部)가 길미후부(吉彌侯部)라고 쓰이게 된 것은 『속일본기』 천평보자 3년(759) 10월 신축조에 천하의 여러 성에 군(君)이라는 글자가 붙은 것은 바꾸어 공(公)이라는 글자로 쓰게 하고, 이미길(伊美吉)은 기촌(忌寸)이라는 성을 쓰게 하라는 명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이 명령은 중국의 피명(避名) 지식에 기초하여 실시된 것으로 이에 의거하여 혜미압승(惠美押勝)의 미(美) 자를 피하여 길미후부(吉美侯部)가 길미후부(吉彌侯部)라고 쓰이게 된 것이다.
군자부(君子部; 기미코베), 길미후부(吉彌侯部; 기미코베)는 지명이나 직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씨명 유래에 관해 다양한 설이 제기되어 있다. 자대부(子代部)의 일종이라고 보는 설, 모야씨(毛野氏)의 부곡(部曲)과 같은 존재로 보는 설, 복수의 황자의 생활비와 경비 마련을 위해 설정된 부로 임생부(壬生部)의 선례가 된 부라는 설, 천황의 경제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두고 설정된 부라는 설 등이 제시되어 있다. 길미후부는 군자부의 후손 혹은 그 반조씨족의 후손으로 원강(遠江), 상모(相模), 상륙(常陸), 하야(下野) 등의 제국에 분포되어 있다.
좌경과 관계된 길미후부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4) 3월 정미조에 외종5위하(극위) 길미후근마려(吉彌候根麻呂) 등 4인이 하모야공(下毛野公)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고, 보귀 5년(774) 4월 임진조에는 외종5위하 하모야조신근마려(下毛野朝臣根麻呂)가 하야개(下野介)에 임명된 기록이 보인다. 또 『속일본기』 연력(延曆)2년(783) 정월 정유조에는 외종5위하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길미후횡도(吉彌侯横刀)가 보인다. 또 연력 2년(783) 3월 무술조에는 종5위하 길미후횡도, 정8위하 길미후야수마려(吉彌侯夜須麻呂)와 외정8위상 길미후간인(吉彌候間人), 길미후총마려(吉彌候總麻呂) 등이 하모야공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2. 상모야조신동조(上毛野朝臣同祖)
『속일본기(續日本紀)』 신호경운(神護景雲) 원년(767) 7월 병인조 및 신호경운 3년(769)3월 신사조에서 길미후부석마려(吉彌候部石麻呂)와 길미후부문지(吉彌候部文知)가 상모야육오공(上毛野陸奧公)이라는 씨성을 받았고, 『일본후기(日本後紀)』 연력(延曆) 15년(796) 12월 병술조에서 길미후부선마려(吉彌候部善麻呂)가 상모야육오공이라는 씨성을 받았다. 더구나 『속일본기』 신호경운 3년 3월 신사조에서 길미후부로인(吉彌候部老人)과 길미후부대성(吉彌候部大成)은 상모야명취조신(上毛野名取朝臣), 길비후부족산수(吉彌候部足山守)는 상모야추산공(上毛野鰍山公), 길비후부풍정(吉彌候部豐庭)은 상모야중촌공(上毛野中村公)이라는 씨성을 받았다. 따라서 상모야조신과 조상이 같다고 칭한 길미후부씨가 존재한 것이 확인된다. 길비후부는 나량군의 후손이라 주장함에 따라 하모야조신과 동조관계를 칭하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숭신천황(崇神天皇)의 아들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풍성입언명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하)의 「하모야조신」 조(097) 풍성입언명 참조.
4. 나량군(奈良君)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국조본기(國造本紀) 하모야국조조에 풍성명(豐城命)의 4세손으로 국조가 된 나량별(奈良別)이 보인다. 좌경 황별(하) 「대망공(大網公)」 조에는 “상모야조신과 조상이 같으며 풍성입언명의 6세손 하모군나량(下毛君奈良)의 아우 진약군(眞若君)의 후손이다”라고 적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길미후부(吉彌侯部; 기미코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