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천합공(川合公; 가하이노키미)

천합공(川合公; 가하이노키미)
 상모야(上毛野; 가미츠케노)와 씨가 같으며 다기파세군(多奇波世君; 다카하세노키미)의 후손이다.
 
【주석】
1. 천합공(川合公)
천합(川合; 가하이)이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4년(675) 4월 계미조의 광뢰(廣瀨; 히로세) 하곡(河曲; 가하와)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화국(大和國) 광뢰군(廣瀨郡) 천합(川合; 가하이)에 해당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북갈성군(北葛城郡) 하합정(河合町) 천합(川合) 지역이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4년(720) 12월 기해조에는 “춘궁방(春宮坊) 소속(少屬) 소초위상(少初位上) 조처금작대세(朝妻金作大歳) 동족(同族) 하마려 두 사람은 아울러 남녀 잡호(雜戸)의 적(籍)을 없애고 대세(大歳)에게 지상군(池上君)이라는 성을, 하마려(河麻呂)에게 하합군(河合君)이라는 성을 내렸다”라고 적혀 있다.
천합공 일족으로는 천평 7년 4월 15일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密多經) 권319발어(拔語)」(『대일본고문서』 24-46)에 천상군구만려(川相君溝万呂)가 보인다. 천평승보 3년12월 18일자 「노비견래장(奴婢見來帳)」(『대일본고문서』 3-535)에 내장료(內匠寮) 번상공(番上工)인 천륜상족(川輪床足)도 일족일 듯하다.
2. 상모야동씨(上毛野同氏)
『신찬성씨록』 완본에서는 ‘상모야(上毛野)’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2글자가 있고, ‘동씨(同氏)’는 ‘동조(同祖)’라고 적혀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동씨는 씨가 같은 것이고 동조는 조상이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천합공씨가 상모야씨와 조상이 같다고 한 것은 여기에만 보인다.
천합공씨도 상모야씨와 동조라고 칭하고 있지만, 하합군하마려(河合君河麻呂)의 옛 성은 조처금작(朝妻金作; 가나츠쿠리)이다. 조처금작은 『동대사요록(東大寺要錄)』에 도래계 기술공으로 기재되어 있다.
3. 다기파세군(多奇波世君)
『일본서기』 인덕 53년 5월조에는 상모야군(上毛野君; 가미츠케노노키미)의 조상 죽엽뢰(竹葉瀨; 다카하세)라고 적혀 있다. 앞의 좌경 황별(하) 「상원공」(105)조 다기파세군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합공(川合公; 가하이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