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풍국진인(豐國眞人; 도요쿠니노마히토)

풍국진인(豐國眞人; 도요쿠니노마히토)
 대원진인(大原眞人; 오하라노마히토)과 같은 조상이다. 『속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풍국진인(豐國眞人)
풍국(豐國; 도요쿠니)이라는 씨명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풍국이라는 지명은 『화명유취초』에 원강국(遠江國) 반전군(磐田郡) 풍국향(豐國鄕)이 보인다. 그런데 『속일본기』천평 12년 9월 기유조에는 풍전국 사람 풍국추산(豐國秋山)이 보이고, 『속일본기』 경운 2년 3월 병술조에는 풍국여왕(豐國女王)이 보인다. 따라서 풍국진인이라는 씨명이 지명에 따른 것인지, 풍국추산이나 풍국여왕과 관련이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6년(754) 윤10월 경술조에서 종5위하 추소왕(秋篠王)과아들 계성왕(繼成王) 및 질녀 빈명왕(濱名王), 선성왕(船城王), 애지왕(愛智王) 등 5명에게 구기진인(丘基眞人) 성을 사성하였다고 적고, 다시 천평승보 7년(755) 4월 정미조에서 종5위하 구기진인추소 등 21인에게 다시 풍국진인 성을 사여하였다고 적고 있다. 추소왕 등이 754년에 구기진인 성을 사성받았다가 다시 다음 해에 풍국진인 성을 사성받았음을 알 수 있다.
풍국진인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에 풍국진인추소 이외에 풍국진인선성(豐國眞人船城)이 보이고 『제목대성초(除目大成抄)』 연희(延喜) 6년(906)조에 풍국진인춘죽(豐國眞人春竹)이 보인다.
2. 대원진인(大原眞人)
민달천황의 손자 백제왕의 후손이다. 앞의 「대원진인」 조(012) 참조.
3.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앞에서 언급한 『속일본기』 천평승보 6년(754) 윤10월 경술조에서 종5위하 추소왕(秋篠王)과 아들 계성왕(繼成王) 및 질녀 빈명왕(濱名王), 선성왕(船城王), 애지왕(愛智王) 등 5명에게 구기진인(丘基眞人) 성을 사성하였다고 적고, 다시 천평승보 7년(755) 4월 정미조에서 종5위하 구기진인추소 등 21인에게 다시 풍국진인 성을 사여하였다고 적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 『제목대성초(除目大成抄; 지모쿠다이세이쇼우)』
『대문대성초(大問大成抄)』 라고도 한다. 임관(任官) 행사인 제목(除目)을 집행하는 공경(公卿)을 위한 참고서이다. 겸창(鎌倉) 시대 초기에 섭정(攝政) 등원양경(藤原良經, 1169~1206)이 편찬하였으며 전체 10권이다. 매년 결원이 생긴 관직을 기록하여 제목을 집행할 때에, 임관자를 기입하는 문서인 대문서(大問書; 오마가키)를 모아서 연급(年給), 성공(成功; 조우고우), 관사(官司) 등의 거주(擧奏), 순임(巡任), 겸국(兼國) 등 임관의 사유에 따라 상세히 분류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풍국진인(豐國眞人; 도요쿠니노마히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1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