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高)

고(高)
 고려국(高麗國) 사람 고조근(高助斤)의 후손이다.
 
【주석】
1. 고(高)
고씨(高氏)는 고구려 왕족의 성인 고(高)에서 유래한다. 고씨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백치(白雉) 5년(654) 2월조에 인용된 이길박득(伊吉博得)의 발언 중에 고광금(高黃金)이 나온다.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6년(754) 정월 임자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고복자(高福子),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3년 정월 정유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하고 영입당대사사(迎入唐大使使)」 에 임명된 고원도(高元度)가 있다. 『속일본기』 천평보자 7년(763) 10월 을해조에는 발해에서 일본으로 돌아오는 귀국선에 승선한 유학생 고내궁(高內弓)과 처 고씨, 아들 고광성(高廣成) 등의 이름이 보인다. 그는 동 보귀(寶龜) 4년(773) 6월조에 발해에 음악을 배우기 위해 가족 동반으로 유학했다고 한다.
『정창원문서』 에는 다수의 고씨가 보인다. 천평 7년 12월 7일부 「사경소계안(寫經所啓案)」(『대일본고문서』 7-43)에 고광마(高廣麿), 천평 9년 4월 4일부 「소야비택소(小野備宅所)」(동 2-28)에 고인태(高忍熊), 천평 10년 2월 28일 「경사등행사수실(經師等行事手實)」(동 7-132)에 고풍도(高豐島), 천평 11년 4월 15일부 「사경사소(寫經司所)」(동 2-162)에 고속마려(高束麻呂)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고동인(高東人, 동 2-347), 고정성(高淨成, 동 25-134), 고길인(高吉人, 동 25-134), 고추장(高秋長, 동 12-247), 고익국(高益國, 동 3-567)고대만려(高大萬呂, 동 6-36), 고의족(高礒足, 동 19-271), 고귀주(高龜主, 동 6-315), 고을충(高乙虫, 동 25-161), 고추영(高秋永, 동 13-244), 고진조(高眞鳥, 동 4-453) 등 사경 업무에 종사하는 일족이 많다.
이들 고씨들은 고구려 멸망 이후에 망명한 사람들의 후예로 보인다. 고씨에 대해서는 개성하지 않고 본국에서의 성을 그대로 사용한 사례가 적지 않다.
2. 고조근(高助斤)
이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高)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