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복당련(福當連; 후타기노무라지)

복당련(福當連; 후타기노무라지)
 고려국(高麗國) 사람 전부(前部) 능루(能婁)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복당련(福當連)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3월 경자조에 전부고문신(前部高文信)이 복당련(福當連)의 씨성을 받았다고 한다. 복당련의 옛 성은 전부고(前部高)이다.
복당련씨 일족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무성(無姓)인 복당련씨의 일족으로는 천평보자 8년(764) 8월부 「대반야경료정의하장(大般若經料淨衣下帳)」(『大日本古文書』 16-522)에 복당창주(福當倉主)가 있는데, 천평보자 2년 6월 19일 「경사묵필직충장(經師墨筆直充帳)」(『大日本古文書』 13-239)에 나오는 전부창주(前部倉主)와 동일 인물로 보인다.
2. 전부능루(前部能婁)
전부(前部)는 고구려 5부족의 하나이다. 『위서』 고구려전, 『후한서』 고구려전에 “四曰, 南部, 一名前部, 卽灌奴部也.”라고 하여 남부, 관노부라고 칭한다. 전부는 『일본서기』천지(天智) 5년(666) 정월조에 고구려가 전부능루(前部能婁) 등을 파견한 기사가 나오고, 동 5년 6월조에는 귀국한 기사가 있다. 또 천무(天武) 원년 5월조에는 고구려에서 전부(前部) 부가변(富加抃)을 보냈고, 동 천무 2년(673) 8월조에 전부대형석간(前部大兄碩干), 동 천무 5년 11월조에도 전부대형덕부(前部大兄德富) 등이 나온다.
전부씨(前部氏)의 사례로는 『속일본기』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31) 3월 경자조에 고려인 전부백공(前部白公)과 전부선리(前部選理)가 자정조(姊井造)의 씨성을 받았고, 전부안인(前部安人)은 어판조(御坂造)의 씨성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전부우족(前部友足, 天平神護 2년경 「악구결실물주문(樂具欠失物注文)」(『大日本古文書』5-541)이 있고, 전부충마려(前部虫麻呂)는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3월조에 광조련(廣蓧連)의 씨성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복당련(福當連; 후타기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