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하무조신(賀茂朝臣; 가모노아오미)

하무조신(賀茂朝臣; 가모노아오미)
 대신조신(大神朝臣; 오카미노아오미)과 조상이 같고, 대국주신(大國主神; 오쿠니노시노카미)의 후손이다. 대전전녜고명(大田田禰古命; 오타타네코노미코토)의 손자 대하무도미명(大賀茂都美命; 오카코츠미노미코토)[다른 이름은 대하무족니(大賀茂足尼; 오카모노스쿠네)이다.]이 하무신사(賀茂神社; 가모노가미노야시로)의 제사를 받든다.
 
【주석】
1. 하무조신(賀茂朝臣)
하무(賀茂; 가모)라고 하는 씨명은 압(鴨; 가모)이라고도 쓴다. 대화국 갈상군 상부(上鳧; 가미카모), 하부(下鳧; 시모카모)라는 지명과 관련 있다고 추정된다. 현재 이곳은 나량현(奈良縣) 어소시(御所市) 즐라(櫛羅), 소림(小林), 삼실(三室), 죽전(竹田) 주변에 해당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압군(鴨君; 가모노기미)에게 조신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다. ‘가모노기미’는 하무군(賀茂君), 압군(鴨君), ‘가모노아손’은 하무조신(賀茂朝臣), 압조신(鴨朝臣) 등으로 표기된다.
압(하무)군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천무천황 원년(672) 6월 기축조 등의 압군하이(鴨君蝦夷)가 있다.
압(하무)조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지통천황 9년(694) 4월 갑오조에 하무조신하이(賀茂朝臣蝦夷)가 보인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3년(719) 7월 경자조 등 종4위하(극위)압조신길비마려(鴨朝臣吉備麻呂), 양로 원년(717) 정월 정사조 등의 종5위상(극위) 하무조신견마려(賀茂朝臣堅麻呂) 등이 있다.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景雲) 2년(768) 11월 병신조 등의 종5위하(극위) 하무조신전수(賀茂朝臣田守), 종5위상 하무조신제웅(賀茂朝臣諸雄), 종5위하(극위) 하무조신훤초(賀茂朝臣萱草) 등이 고하무조신(高賀茂朝臣)으로 개성하였다. 또 연력 8년(789) 2월 정축조에 정5위하(극위) 고하무조신제웅(高賀茂朝臣諸雄)이 삼하수(參河守)에 보임되었다. 『속일본기』 천평보자 8년(764) 11월 경자조 등에는 중위장감(中衛將監) 종5위하 하무조신전수(賀茂朝臣田守)와 형인 하무조신원흥(賀茂朝臣圓興) 등이 보이고, 신호경운 3년(769) 5월 경진조에는 “대화국 갈상군인 정6위상 하무조신청빈(賀茂朝臣淸濱)에게 고하무조신(高賀茂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후기(日本後紀)』 홍인(弘仁) 2년(811) 윤12월 기묘조에 “대화국인 정6위하 하무숙녜하수(賀茂宿禰河守), 정7위상 하무숙녜관수(賀茂宿禰關守) 등에게 조신 성을 주었다”라고 적혀 있다. 홍인 2년보다 일찍 하무조신을 받은 인물로는 관노(官奴) 근족(根足)이 있다. 『속일본기』 천평승보 4년(752) 5월 병인조에는 관노 겸취(鎌取)에게 무부숙녜(巫部宿禰), 근족에게 하무조신(賀茂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고,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승화(承和) 3년(836) 5월 정사조에는 “하내국인(河內國人) 산위(散位)압부선주(鴨部船主), 무산위(武散位) 씨성(氏成) 등에게 하무조신(賀茂朝臣)이라는 성을 내렸다”라고 적혀 있다.
2. 대신조신(大神朝臣)
대신(大神; 오미와)씨는 대삼륜(大三輪; 오미와)씨, 삼륜(三輪; 미와)씨, 신(神; 미와)씨로도 표기된다. 대신이라는 씨명은 대화국 성상군(城上郡; 시키노가미군) 대신(大神)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신사의 제사를 받드는 삼륜씨는 율령제 대화국 기성[磯城; 시키, 뒤에 성상군, 상하군(城下郡; 시키노시모군) 지역에 해당] 지역을 기반으로 한 씨족이다. 기성은 지귀(志貴), 지기(志紀), 사목(師木), 지계(志癸)로도 표기된다. 이 지역은 현재 나량현 기성군(磯城郡)과 천리시(天理市) 남부 및 앵정시 서북부 등을 포함한 지역에 해당된다. 삼륜씨는 처음에는 군성을 가진 씨족이었으며, 천무천황 13년(684)11월에 조신으로 개성하였는데 조신 성을 받은 12씨의 필두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비조(飛鳥; 아스카) 시대 후반기 조정에서는 씨족으로서 최고위에 있었다고 간주된다.
3. 대국주신(大國主神)
대국주신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신이다. 기기(記紀)에는 대물주신(大物主神; 오모노누시노카미), 대기귀신(大己貴神; 오나무치노가미), 국작대기귀명(國作大己貴命; 구니츠쿠리노오나무치노미코토)이라는 이름으로도 기재되어 있다.
앞의 「대신조신(大神朝臣)」 조(566) 대물주신 참조.
4. 대전전녜고명(大田田禰古命)
『일본서기』 에서는 대전전근자(大田田根子)는 대물주신과 도도이명의 딸, 활옥의곤매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다. 『고서기』 에서는 대물주신과 활옥의곤매가 결혼하여 즐어방명(櫛御方命)을 낳았다. 이 즐어방명의 아들이 반견소견명(飯肩巢見命)이고 그 아들이 건옹퇴명(建甕槌命, 鹿島神宮의 제신인 건옹퇴명과는 다른 신), 그 아들이 의부다다니고(意富多多泥古)이다. 숭신천황 때 대물주신이 내린 재화(災禍)로 역병이 유행하였을 때, 천황의 꿈에 대전전근자를 신주로 삼으면 진정될 것이라는 신의 계시가 있었다. 그래서 하내(河內)의 미노촌(美努村)에서 대전전근자를 불러 대물주신을 제사지내게 하였다(『일본서기』 에서는 ‘茅渟縣 陶邑’이라고 기재).
5. 대하무도미명(大賀茂都美命) [일명대하무족니(一名大賀茂足尼).]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에서는 대압적명(大鴨積命)을 대어기지명(大御氣持命)의 아들, 대전전녜고명의 손자라고 한다. 그래서 본조에서 “대전전녜고명(大田田禰古命)의 손자이다.”라고 한 것과 일치한다. 수인천황 때 신축한 가모사(와케츠치궁과 가아히궁)의 재주(齋主)로 임명되었다.
6. 하무신사(賀茂神社)
하무씨의 씨신을 제사하는 신사이다. 예전에는 하무대신(賀茂大神)이라고도 불렀다. 『연희식』 신기(神祇)2 사시제(四時祭) 하(下)조에 ‘갈목압사이좌(葛木鴨社二座)’라고 적혀 있다. 신기3 임시제(臨示祭)조에 ‘압신사이좌’라고 적혀 있다. 또 신명장(神名帳)에는 대화국 갈상군조에 ‘鴨都波八重事代主命神社二座[竝名神大. 月次相嘗新嘗.]’이라고 적혀 있다. 『영집해(令集解)』 신기령(神祇令) 중동상묘상상제(仲冬上卯相嘗祭)조의 「석운(釋云)」 에 ‘葛木鴨[鴨朝臣.]’이라고 적혀 있다. 본 신사의 진좌지는 현재 나량현(奈良縣)어소시(漁所市) 어소궁전정(御所宮前町)이다. 그리고 본조에는 “대전전녜고명의 손자 대하무도미명이 하무신사의 제사를 받든다.”라는 내용만 기재되어 있지만, 『압각가본 신찬성씨록 잔간(鴨脚家本 新撰姓氏錄 殘簡)』 에 수록된 일문인 「신찬성씨록 권제17 하무조신본계(新撰姓氏錄 卷第十七 賀茂朝臣本系)」 에는 “아들 대전전녜고명의 손자 대하무도미명이 하무신사의 제사를 받든다. 그래서 하무라는 성을 지닌다(仍負姓賀茂)”라는 내용이 부가되어 있다. 이 문장은 씨명 유래와 봉사의 근원 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내용이므로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이 내용이 포함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무조신(賀茂朝臣; 가모노아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50_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