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삼선숙녜(三善宿禰; 미요시노스쿠네)

삼선숙녜(三善宿禰; 미요시노스쿠네)
 백제국(百濟國) 사람 속고대왕(速古大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삼선숙녜(三善宿禰)
삼선숙녜의 옛 성은 금부수(錦部首)에서 금부련(錦部連), 그리고 삼선숙녜(三善宿禰)로 바뀌었고, 연희(延喜) 초년에는 삼선조신(三善朝臣)으로 개성되었다.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12월 을사조에 하내국(河內國) 금부군(錦部郡) 사람인 종8위상 금부비등석차(錦部毗登石次), 정8위하 금부비등대도(錦部毗登大島), 대초위하 금부비등진공(錦部毗登眞公), 금부비등고마려(錦部毗登高麻呂) 등 26인에게 금부련(錦部連)의 씨성을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삼선숙녜의 씨성으로 바뀐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연력(延曆) 16년(788)에서 대동(大同) 2년(807)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삼선숙녜 씨성을 갖는 인물로는 『일본후기』 대동(大同) 3년(808) 11월조에 종5위상에서 정5위하로 승진한 삼선숙녜자계(三善宿禰姊繼), 동 홍인(弘仁) 원년(810) 11월조에 무위에서 종5위하의 관위를 받은 삼선숙녜제매(三善宿禰弟姊)가 있다. 또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2년(859) 정월 경오조에 담로수(淡路守)에 보임된 외종5위하 삼선숙녜씨길(三善宿禰氏吉), 『일본삼대실록』 인화(仁和) 3년(887) 2월 병오조에 대내기(大內記)에 보임된 종5위하 삼선숙녜청행(三善宿禰淸行) 등이 있다. 삼선숙녜청행의 아들인 삼선조신정장(三善朝臣淨藏)은 『명장약전(明匠略傳)』 에 “정장(淨藏)은 대법사이고 속성은 삼선조신이고, 우경인(右京人)이다. 부는 참의 정4위상 궁내경 청행(淸行)의 제8자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 『대법사정장전(大法師淨藏傳)』 에는 “석(釋) 정장(淨藏)의 속성은 삼선(三善)이고 우경 3방인이다. 그 선조는 백제국 속고왕(速古王)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2. 속고대왕(速古大王)
백제 제13대 근초고왕(346~375)으로 『일본서기』 신공기(神功紀) 46년, 49년, 55년조에는 초고왕(肖古王), 동 흠명기(欽明紀) 2년 4월조에는 속고왕(速古王)으로, 『고사기』 응신천황단(應神天皇段)에는 조고왕(照古王)으로 표기되어 있고, 또 『속일본기』연력(延曆) 9년 7월 신사조에는 근초고왕(近肖古王)으로 표기되어 있다. 다른 기록과는 달리 속고대왕(速古大王)이라 하여 ‘대왕’이라고 표기한 점이 주목된다. 근초고왕에 대한 특별한 인식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선숙녜(三善宿禰; 미요시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