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무화숙녜(畝火宿禰; 우네비노스쿠네)

무화숙녜(畝火宿禰; 우네비노스쿠네)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사카노우헤노오스쿠네)와 같은 조상이고, 도하직(都賀直; 츠카노아타이)의 3세손 대부직(大父直; 오치노아타이)의 후손이다.
 
【주석】
1. 무화숙녜(畝火宿禰)
무화(畝火)의 씨명은 운비(雲飛)라고도 쓴다. 『일본서기』 신무(神武) 즉위전기 기미년 3월정미조에 무방산(畝傍山)을 우녜미야마(宇禰縻夜摩; 우네비야마), 『일본서기』 서명기(舒明紀) 즉위전기에 보이는 우네비야마[畝傍山], 『만엽집』 우네비[雲根火, 畝火](1-13), 우네비[畝火](1-52) 등에 보이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무방정(畝傍町) 일대이다.
무화숙녜의 옛 성은 직(直), 기촌(忌寸)을 거쳐 숙녜가 되었을 것이다. 무화숙녜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연력(延曆) 10년(791) 정월조에 무화숙녜청수(畝火宿禰淸水)가 있고, 천평승보(天平勝寶) 7년(755) 9월 28일부 「반전사력명(班田司歷名)」(『大日本古文書』4-81)에 무화풍족(畝火豐足)이 나온다.
2. 도하직(都賀直)
도하직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회원숙녜」 조(813) 참조.
3. 대부직(大父直)
이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무화숙녜(畝火宿禰; 우네비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