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이복부(伊福部; 이호키베)

이복부(伊福部; 이호키베)
 위와 같다.
 
【주석】
1. 이복부(伊福部)
이복부라는 씨명은 오백목부(五百木部)라고도 표기하며 품부(品部)의 하나로 생각되지만 그 역할은 분명하지 않다. 경행천황(景行天皇)의 아들인 오백성입언황자(五百城入彦皇子, 日本武尊과 형제임)에게 봉사하는 집단이었다는 견해부터 관악기를 연주하는 집단이라는 견해, 제철 단야 집단이라는 견해 등이 있다. 본조의 이복부는 품부인 이복부의 후예인지, 그 반조씨족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이복부련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은 보이지 않는다.
이복부라는 씨명을 가진 인물로는 이복부후만려(伊福部厚萬呂, 天平 18년 10월 17일자 「寫金字經所解」, 『대일본고문서』 2-550), 이복부을만려(伊福部乙萬呂, 天平 18년 10월 27일자 「寫疏所解」, 『대일본고문서』 2-551 등), 이복부정월(伊福部正月, 天平勝寶 6년 2월 30일자 「舍人幷雑工等上日申送解」, 『대일본고문서』25-161 등), 이복부장도(伊福部長島, 天平神護 2년 7월 14일자 「奉寫御執經所移」 5-542), 이복부고도(伊福部高島, 天平神護 2년8월 22일자 「奉寫御執經所移」, 『대일본고문서』 16-439), 이복부매녀(伊福部妹女, 『속일본기』寶龜 9년 3월 갑자조) 등이 있다. 다만 이복부씨는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므로, 앞의 사람들이 본조의 이복부씨와 일족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화명명(火明命)의 후손이라고 되어 있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복부(伊福部; 이호키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