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종형조신(宗形朝臣; 무나카타노아오미)

#지기(地祇)
종형조신(宗形朝臣; 무나카타노아오미)
 대신조신(大神朝臣; 오미와노아오미)과 조상이 같다.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 아타카타스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종형조신(宗形朝臣)
종형(宗形; 무나가타)은 종상(宗像; 무나가타)·흉형(胸形; 무나가타)이라고도 쓴다. 종형(宗形)이라는 씨명은 축전군(筑前國) 종상군(宗像郡)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복강현(福岡縣) 종상군(宗像郡) 지역이다.
『일본서기』 천무(天武) 13년(684) 11월 무신조에 흉방군(胸方君, 무나가타노키미)에게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하사하였다는 내용이 보이므로, 종형조신(宗形朝臣)의 원래 성은 군(君)이었음을 알 수 있다.
군(君)이라는 성을 가진 인물로는 흉형군덕선(胸形君德善, 『일본서기』 天武 2년 2월 계미조), 흉형군니자낭(胸形君尼子娘, 『일본서기』天武 2년 2월 계미조)이 있으며,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가진 인물로는 종형조신등저(宗形朝臣等杼, 『속일본기』 和銅 2년 5월 경신조), 흉형조신적마려(胸形朝臣赤麻呂, 『속일본기』 養老 5년 정월 갑술조 등), 종형조신조마려(宗形朝臣鳥麻呂, 『속일본기』 天平 원년 4월 을축조 등), 종형조신여려지(宗形朝臣與呂志, 『속일본기』 天平 17년 6월 경자조), 종형조신인군(宗形朝臣人君, 天平勝寶 4년 11월 17일자 「승법영해(僧法榮解)」, 『대일본고문서』3-590), 종형조신심진(宗形朝臣深津, 『속일본기』 神護景雲 원년 8월 신사조), 종형조신대덕(宗形朝臣大德, 『속일본기』 寶龜 9년 4월 경인조), 종상조신지작(宗像朝臣池作, 延曆 19년 12월 4일자 「太政官符」, 『類聚三代格』 7), 종형조신승마(宗形朝臣勝麿, 『類聚國史』 99 叙位, 弘仁 8년 정월 정묘조 등), 종형조신추족(宗形朝臣秋足, 『類聚國史』 54 節婦 天長 5년 3월 갑신조), 종형조신풍자(宗形朝臣豐子, 『일본문덕천황실록』 嘉祥 3년 7월 신축조) 등이 있다.
그들 중에서 종형조신등저, 조마려, 여려지, 심진, 대덕, 지작, 추족 등은 모두 종형군(宗形郡) 대령(大領)이었다. 연력(延曆) 19년(800) 12월 4일자 태정관부(太政官符)를 통해서 축전국(筑前國) 종상군(宗像郡)의 대령(大領)이 종상신주(宗像神主), 즉 종상신사(宗像神社)의 신직(神職)을 겸직하던 관행을 정지시켰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종상조신씨로서 대령에 임명되면 동시에 신직을 겸직하고 외5위의 관위를 수여받았다. 그러나 신직은 6년 임기제이고 대령은 종신직이었기 때문에 두 일을 겸임하는 것을 옳지 않다고 하여 대령이 신직을 겸직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한편 하내국(河內國) 신별(神別)에 종형군(宗形君)의 본종이 실려 있고, 종형군과 연관이 있는 종형군족(宗形君族) 및 종형부(宗形部)에 대해서는 하내국 신별 「종형군」 조(677) 참조.
2. 대신조신(大神朝臣)
대신조신에 대해서는 대화국(大和國) 신별(神別) 「대신조신」 조(566) 참조.
3.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
오전편우명은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지기본기(地祇本紀)에 아전하전수명(阿田賀田須命, 아타가타스노미코토)으로 되어 있으며 대기귀신(大己貴神, 또는 大國主神)의 7세손으로 화이군(和邇君) 등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대화국(大和國) 신별(神別)의 「화인고(和仁古)」 조에서는 대국주(大國主)의 6세손인 아태하전수명(阿太賀田須命, 아타가타스노미코토)이라고 하였다. 하내국(河內國) 신별(神別)의 「종형군(宗形君)」 조에서도 대국주명(大國主命)의 6세손인 오전편우명(吾田片隅命)이라고 하였다.
종형씨가 제사지내는 신과 관련된 신화는 『고사기(古事記)』 천안하서약단(天安河誓約段)에 실려 있다. 천조대신과 남동생인 수좌지남명(須佐之男命, 스사노오노미코토)가 천안하(天安河)에서 서로의 결백함을 맹세하였는데, 수좌지남명이 차고 있던 십권검(十拳劍)을 부러뜨린 다음 씹어서 뿜자 태어난 신이 다기리비매명(多紀理毘賣命, 奧津島比賣命), 시촌도비매명(市寸島比賣命, 狹依毘賣命), 다기도비매명(多岐都比賣命)이고 이 여신들이 각각 흉형(胸形, 무나카타)의 오진궁(奥津宮), 중진궁(中津宮), 변진궁(邊津宮)에 진좌하였고, 흉형군(胸形君) 등이 제사지낸다고 하였다. 여신들의 이름은 전심희(田心姬), 단진희(湍津姬), 시저도희(市杵島姬)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 신대(神代) 상에서는 세 여신을 위원중국(葦原中國)의 우좌도(宇佐島)에 살도록 하였으므로, 해북도중(海北道中)에 있게 되었는데 이들을 도주귀(道主貴, 물길을 관장하는 존귀한 신)라고 하고 수소군(水沼君) 등이 제사지낸다고 하였다. 또한 『종상대보살어연기(宗像大菩薩御緣起)』 에 인용된 『서해도풍토기(西海道風土記)』 에서는 “종상대신(宗像大神)이 하늘에서 내려와 기문산(埼門山)에 머물고 있을 때 청유옥(靑蕤玉)을 오진궁에 두고, 팔척유자옥(八尺蕤紫玉)을 중진궁에 두고, 팔지경(八咫鏡)을 변진궁에 두었다. 원래 신체(神体)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으나 곧 사라져버리므로 그 지역을 신형군(身形郡)이라고 하였다. 천조대신(天照大神)의 자식은 네 분이었는데, 그중 막내인 대해명(大海命)에게 우리들의 형상을 위하여 이곳에 살라고 하였다. 그래서 오궁(奥宮)과 해중(海中)과 심전촌(深田村) 고미산변(高尾山邊)에 모시므로, 신상군(身像郡)이라고 하였는데, 후에 사람들이 종상군(宗像郡)이라고 하였고, 대해명의 자손이 지금의 종상조신이다”라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종형조신(宗形朝臣; 무나카타노아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30_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