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5) 크라스키노 성 출토 포유류 뼈의 비교분석

골학 자료들은 크라스키노 성 이외의 다른 7개 발해유적에서 출토된 것들도 연구되었는데, 바로 고르바뜨까 성, 니꼴라예브까 2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마리야노브까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마을유적, 꼰스딴찌노브까 1 마을유적, 그리고 체르냐찌노 2 마을유적에서 출토된 뼈들이다(알렉세예바, 볼딘 1986, 1989, 1994; 빠나센꼬, 겔만 2008, 2009; 조태섭, 이충민 2008). 중국지역과 북한지역에 위치하는 유적들에서 출토된 자료들은 연구되지 못하였다. 분석된 자료들은 적어도 발해의 동부지역에서의 발해인들에 의한 농촌경제와 야생동물의 사냥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크라스키노 성의 자료들은 한편으로는 이 정보를 보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지역들과는 구분되는 몇몇 특성을 보인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포유류 동물의 뼈가 분석된 발해의 취락지들 중에서 가축의 뼈가 9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다른 발해유적들에서는 포유류 가축의 뼈가 66~81%를 차지한다(표 4).
개별 동물 종들의 뼈의 수량도 차이가 난다. 예를들어,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종은 소(46.7%)이다. 반면에 다른 유적들에는 소의 비율이 5%부터 37.5%까지 변동을 보이며(표 4), 전체 동물의 뼈들 중에서 두 번째 혹은 세 번째로 많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큰 뿔 동물의 뼈가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이 성이 견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는 사실과 잘 부합한다.
다른 발해유적들에서 42~68%를 차지하는 돼지 뼈의 비율은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27.1%로 더 적은데 이곳에서는 돼지의 뼈가 소 뼈 다음으로 두 번째의 자리를 차지한다.
개 뼈의 수량은 다른 발해유적들보다 조금 적지만(표 4),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아직은 개의 사육과 이용에서의 그 어떤 심각한 차이에 대해, 그리고 그 원인에 대해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다.
크라스키노 성의 말 뼈 수량은 다른 발해유적들의 것과 비슷하다.
작은 뿔 동물의 뼈는 크라스키노 성 이외에 발해유적에서는 오직 니꼴라예브까 2 성 한 곳에서만 출토되었다(알렉세예바, 볼딘 1986). 이 사실은 발해의 동부지역에서는 말이 부차적인 의미를 지녔음을 말하는 것이다.
낙타 뼈 유물은 발해유적에 있어 유일하고 매우 귀한 것이지만, 크라스키노 성에서 출토된 청동 낙타상은 이 동물이 이곳에 자주 출현하였음을 말한다(겔만, 아스따쉔꼬바, 부라블레브 2017). 아마도 낙타는 이곳에 중부아시아로부터의 교통 흐름과 함께 왔을 것이다.
크라스키노 성의 가축 동물들(소, 돼지, 말, 개)의 상관관계는 마리야노브까 성의 것과 매우 비슷하다. 이것은 아마도 마리야노브까 성 출토 동물의 뼈들을 발해 문화층과 여진 문화층에서 출토된 것을 한꺼번에 분류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다른 유적 출토 골학 자료들을 통해 볼 때에 여진유적들에는 소의 뼈가 돼지의 뼈에 비해 더 많다.
 
표 4 발해 취락지들 출토 포유류 가축과 야생동물의 뼈 상관관계(%)
동물크라스키노 성(n=498)고르바뜨까 성(n=88)니꼴라예브까 2 성(하층 8~9세기) (n=2811)니꼴라예브까 2 성(상층 9~10세기) (n=1462)꼰스딴찌노브까 1 성(발해층 7~8세기) (n=1583)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n=2539)노보고르제예브까 성(발해층)(n=265)마리야노브까 성
가축93667681717774-
46.7527.522.935.713.87.137.5
돼지27.15942.841.943.267.964.327.5
14.53113.615.66.26.510.222.5
10.8516.019.614.911.818.412.5
작은 뿔 동물0.70<0.1?00000
낙타0.20000000
야생 동물7342419292326-
노루3624483277569-
매화 사슴221755601-
말사슴110211100-
멧돼지163121266028-
여우3031121-
오소리30811071-
토끼3016036-
31421060-
고래2000000-
기타 동물들014101791654-
 
발해의 유적들에서 확인된 포유류 수렵 동물의 종은 모두 26개이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8개 종의 수렵 동물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전체 목록에서 대략 1/3에 해당된다. 크라스키노 성의 동물 뼈 유물은 그 목록에서 또 하나의 수렵 동물을 더하고 있는데 바로 고래이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지상의 수렵 동물 중에서 노루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데 이는 다른 발해유적들에서와 동일한 현상이다(표 4). 이 사실은 이 종 동물이 많이 서식하였고 그리고 쉽게 포획이 가능하였음을 말한다. 크라스키노 성에서 발견된 야생동물의 뼈가 적은 관계로 다른 종의 야생동물을 다른 발해유적들 출토 야생동물들과 비교하는 것은 아직은 적절하지 못하다.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새의 뼈는 오직 8점만 출토되었을 뿐이다. 이 수량은 다른 몇몇 발해유적들에 비하면 극히 적은 것인데, 예를 들어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에서는 318점의 새 뼈가 발견되었고(알렉세예바, 볼딘 1989), 체르냐찌노 2 마을유적에서는 50점의 새 뼈가 발견되었다(조태섭, 이충민 2008). 닭의 뼈는 과거 2곳의 발해유적에서, 다시 말해서 니꼴라예브까 2 성과 꼰스딴찌노브까 1 마을유적에서 각각 출토된 바 있다(알렉세예바, 볼딘 1986, 1994). 이와 관련하여 발해에 조류사육도 존재하였음을 확신할 수 있다 . 다양한 종류의 오리과 새의 뼈는 과거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와 체르냐찌노 2 마을유적에서 발견된 바 있다(알렉세예바, 볼딘 1989; 조태섭, 이충민 2008).
오늘날 연해주지역에서 널리 서식하고 있는 그리고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종인 꿩은 중세시대에도 이와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보이며,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 꼰스딴찌노브까 1 마을유적, 체르냐찌노 2 마을유적 등과 같은 발해의 다른 유적들에서와 같이 크라스키노 성의 주민들에 의해서도 성공적인 사냥의 대상이 되었다(알렉세예바, 볼딘 1989, 1994; 조태섭, 이충민 2008). 문화층에 남아 있는 뼈들의 수량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극적으로 꿩에 대한 사냥이 이루어졌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꿩의 깃은 발해의 수출품 중의 하나였기 때문이다(샤브꾸노프 1968).
크라스키노 성에서 발견된 골학 자료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량에도 불구하고 다른 발해유적 출토 자료들에 비해 풍부함과 희귀함에서 차이가 난다. 포유류 동물의 뼈 유물들이 보이는 여러 특성들은 행정중심지, 교통중심지, 그리고 교역중심지로서의 이 성의 기능에 기인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크라스키노 성 출토 포유류 뼈의 비교분석 자료번호 : kr.d_0015_0050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