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4) 도로 제4생활면

제9인공층 상면에서는 도로의 방향이 북동-남서 방향으로 바뀐다(도면 572; 573). 다만 제4생활면 도로의 형태가 분명하게 노출된 것은 제9인공층을 조사하고 난 다음인 제10인공층 상면에서이다. 이 레벨에서는 도로가 너비 3.8~4m인 회갈색 사질토층에 의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도면 2018-179~181)(도면 574; 575; 576). 도로 내에 도로의 방향과 동일하게 너비1 0~20㎝의 갈색 부드러운 모래 띠와 너비1 5~50㎝인 암갈색 사질토 띠가 형성되어 있다(도면 2018-182). 도로의 남서쪽 부분(베-붸-8-9방안)에는 크기가 186×50㎝인 긴 암갈색 사질토 얼룩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얼룩에서 숯, 동물 뼈, 슬래그 등이 발견되었다. 제4생활면 도로는 남서쪽과 가운데 부분이 가장 잘 남아 있다. 이곳에서 도로는 중간 및 작은 크기의 돌들, 작은 토기편들, 와편들, 놀이 알들, 동물의 뼈와 이빨들, 슬래그들, 다른 건축 및 생활 폐기물들 등이 깔려 있는 형태로 확인되었다(도면 2018-186; 187).
도면 572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9인공층 상면 도로 제4생활면 윗부분 평면도(2018)
도면 573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9인공층 상면 도로 제4생활면 윗부분 모습(위에서)(2018)
도면 574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10인공층 상면 도로 제4생활면 평면도(2018)
도면 575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10인공층 상면 도로 제4생활면 모습(남서쪽에서)(2018)
도면 576 | 크라스키노성 제51구역 제10인공층 상면 도로 제4생활면 모습(위에서)(2018)
제9인공층에서는 토제 향로편(도면 2018-190; 191)(도면 963, 6), “장화” 모양 토제 유물편(도면 2018-192; 193)(도면 667, 4), 와당편들(도면 2018-195~197; 199~207; 212~215; 218~220)(도면 649, 3), 문양이 있는 와편들(도면 2018-208; 209; 221; 222)(도면 634, 7, 8), 토제 장식편들(도면 2018-210; 211; 216; 217), 철제 칼편(도면 2018-223), 철제 유물편들(도면 2018-224), 가공 흔적이 있는 구상의 석제 유물, 42점의 놀이 알 등이 출토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 도로 제4생활면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6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