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동이전

물길국(勿吉國)과 중국의 교류

지난 연흥 연간(471~475)에 사신 을력지주 001
번역주 001)
乙力支 : 北魏 孝文帝 太和 年間에 勿吉國의 사신으로 파견된 인물이다. 『太平寰宇記』에서는 ‘勿吉國有乙力氏’라고 하였으니, 乙力이 姓이고 支가 이름인 것 같다. 당시에 勿吉國은 ‘邑落各自有長 不相總一’의 記事로 보아 氏族 單位로 邑落을 形成하고 있었던 단계임을 알 수 있다.
닫기
를 보내 조공하였다.주 002
번역주 002)
乙力支의 구체적인 朝獻 시점과 관련해,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延興五年(475) 十月 蠕蠕國並遣使朝獻 勿吉國遣使朝獻’이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延興 5년(475) 10월 일 것으로 짐작된다.
닫기
태화(477~499) 초에 또 말 500필을 바쳤다. 을력지가 말하기를, “처음 그 나라를 출발하여 배를 타고 난하주 003
번역주 003)
難河 : 지금의 松花江 혹은 嫩江을 말한다.
닫기
를 거슬러 서쪽으로 올라가 태려하주 004
번역주 004)
太 河 : 太 河는 앞에서 언급한 ‘太魯水’인데, 嫩江의 지류인 지금의 洮兒河로 추정된다. 『북사』에는 ‘太沴河’로 되어 있다.
닫기
에 이르러, 배를 물에 숨기고, 남쪽으로 나가 육로로 이동하여, 낙고수주 005
번역주 005)
洛孤水 : 洛孤水는 앞에서 언급한 ‘如洛瓖水’인데, 지금의 시라무렌(西拉木倫)으로 추정된다.
닫기
를 건너 거란의 서쪽 경계를 따라 화룡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스스로 말하기를, “그 나라에서 먼저 고구려의 10락을 함락하고, 몰래 백제와 함께 수로를 따라가 힘을 합쳐 고구려를 취할 것을 도모하려 하니, 을력지를 대국에 사신으로 파견하여 그 가부를 청합니다.”라고 하였다. 조칙을 내리길, “삼국은 모두 [북위의] 번부이니, 마땅히 서로 화목해야 할 것이다. 서로 침범하여 어지럽히지 말라.”라고 하였다. 을력지가 이에 돌아가는데, 그가 온 길을 따라 본래 타고 온 배를 얻어, 그 나라로 배 타고 돌아갔다.
[태화] 9년(485)에 다시 사신 후니지를 보내 조공하였다. 이듬해에 다시 조공하였다. 그 [나라의] 옆에는 대막로국·복종국주 006
번역주 006)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大莫盧國·覆鍾國’이 ‘大莫盧覆鍾國’으로 되어 있다.
닫기
·막다회국·고루국·소화국·구불복국주 007
번역주 007)
具弗伏國 : 契丹 8부 중의 具伏弗部를 말한다(契丹 8部로는 悉萬丹部, 何大何部, 具伏弗部, 郁羽陵部, 日連部, 匹絜部, 黎部, 吐六於部 등이 있다). 『魏書』 顯祖紀의 皇興元年 2月(“高麗·庫莫奚·具伏弗 … 諸國各遣使朝貢”)과 2年 4月條(“高麗·庫莫奚·契丹·具伏弗 … 各遣使朝獻”)에는 모두 ‘具伏弗’로 되어 있다. 『魏書』 契丹傳에는 “伏弗郁部 羽陵部”로 되어 있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其伏弗國’으로 되어 있다.
닫기
·필려이국주 008
번역주 008)
匹黎尒國 : 契丹 8부 중의 匹絜部 혹은 黎部를 지칭할 가능성이 많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延犁小國’으로 되어 있다.
닫기
·발대하국주 009
번역주 009)
拔大何國 : 契丹 8부 중의 何大何部를 말한다. 『魏書』 顯祖紀 皇興2年 4月條에서는 ‘阿大何’라고 되어 있고, 『通典』 邊防 契丹條에는 ‘阿大何部’라고 되어 있다.
닫기
·욱 우릉국주 010
번역주 010)
郁羽陵國 : 契丹 8부 중의 郁羽陵部를 말한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都羽陵國’으로 되어 있다.
닫기
·고복진국·노루국·우진후국이 있는데, 연이어 각각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태화 12년(488)에 물길이 다시 사신을 보내 호시주 011
번역주 011)
楛矢 : 楛木은 곧으며 습기나 건조함에 따라 휘어지지 않아 화살대로 적합하다. 『國語』 卷5, 魯語에는 “仲尼在陳 有隼集於陳侯之庭而死 楛矢貫之 石砮其長尺有咫 陳惠公使人 以隼如仲尼之館問之 仲尼曰 隼之來也 遠矣 此肅愼之矢也”라는 기록이 있다. 『史記』 卷47, 孔子世家17에 같은 내용의 기록이 있다. 또 『三國志』 卷30, 魏書30, 烏丸鮮卑東夷, 挹婁에도 “矢用楛 長尺八寸” 이라고 전한다. 楛矢는 중국에서 石砮와 함께 숙신의 상징인데, 이는 단순한 조공품이 아니라 천자의 성덕에 九夷가 복종하는 의미, 곧 천자의 통치가 四海에 미치는 구체적 상징으로 이해되었다(여호규, 2017).
닫기
와 방물을 경사(낙양)에 바쳤다. [태화] 17년(493)에 다시 사신 파비 등 500여 명을 보내 조공하였다. 경명 4년(503)에 다시 사신 후력귀 등을 보내 조공하였다.주 012
번역주 012)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는 “宣武景明四年八月 勿吉國貢楛矢”라고 되어 있다.
닫기
이때부터 정광 연간(520~525)에 이르기까지 조공 사신이 계속 이어졌다.주 013
번역주 013)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의하면 延興 年間 1회, 太和 年間 4회, 景明 年間 1회, 正始 年間 1회, 永平 年間 4회, 延昌 年間 4회, 熙平 年間 1회, 神龜 年間 1회로 도합 17회이다.
닫기
이후, 중국이 어지러워지면서 한참 동안 오지 않았다. 흥화 2년(540) 6월에 사신 석구운 등을 보내 방물을 바쳤으며, 무정 연간(543~549)에 이르기까지 [사신이] 끊이지 않았다.주 014
번역주 014)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수록된 東魏 시기에 勿吉이 조공을 바친 기록은 天平 年間 1회, 興和 年間 2회, 武定 年間 3회로 총 6회이다.
닫기

  • 번역주 001)
    乙力支 : 北魏 孝文帝 太和 年間에 勿吉國의 사신으로 파견된 인물이다. 『太平寰宇記』에서는 ‘勿吉國有乙力氏’라고 하였으니, 乙力이 姓이고 支가 이름인 것 같다. 당시에 勿吉國은 ‘邑落各自有長 不相總一’의 記事로 보아 氏族 單位로 邑落을 形成하고 있었던 단계임을 알 수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乙力支의 구체적인 朝獻 시점과 관련해,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延興五年(475) 十月 蠕蠕國並遣使朝獻 勿吉國遣使朝獻’이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延興 5년(475) 10월 일 것으로 짐작된다. 바로가기
  • 번역주 003)
    難河 : 지금의 松花江 혹은 嫩江을 말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太 河 : 太 河는 앞에서 언급한 ‘太魯水’인데, 嫩江의 지류인 지금의 洮兒河로 추정된다. 『북사』에는 ‘太沴河’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洛孤水 : 洛孤水는 앞에서 언급한 ‘如洛瓖水’인데, 지금의 시라무렌(西拉木倫)으로 추정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大莫盧國·覆鍾國’이 ‘大莫盧覆鍾國’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具弗伏國 : 契丹 8부 중의 具伏弗部를 말한다(契丹 8部로는 悉萬丹部, 何大何部, 具伏弗部, 郁羽陵部, 日連部, 匹絜部, 黎部, 吐六於部 등이 있다). 『魏書』 顯祖紀의 皇興元年 2月(“高麗·庫莫奚·具伏弗 … 諸國各遣使朝貢”)과 2年 4月條(“高麗·庫莫奚·契丹·具伏弗 … 各遣使朝獻”)에는 모두 ‘具伏弗’로 되어 있다. 『魏書』 契丹傳에는 “伏弗郁部 羽陵部”로 되어 있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其伏弗國’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匹黎尒國 : 契丹 8부 중의 匹絜部 혹은 黎部를 지칭할 가능성이 많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延犁小國’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拔大何國 : 契丹 8부 중의 何大何部를 말한다. 『魏書』 顯祖紀 皇興2年 4月條에서는 ‘阿大何’라고 되어 있고, 『通典』 邊防 契丹條에는 ‘阿大何部’라고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郁羽陵國 : 契丹 8부 중의 郁羽陵部를 말한다. 『太平御覽』 卷784 四夷部5 所引 『後魏書』에는 ‘都羽陵國’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楛矢 : 楛木은 곧으며 습기나 건조함에 따라 휘어지지 않아 화살대로 적합하다. 『國語』 卷5, 魯語에는 “仲尼在陳 有隼集於陳侯之庭而死 楛矢貫之 石砮其長尺有咫 陳惠公使人 以隼如仲尼之館問之 仲尼曰 隼之來也 遠矣 此肅愼之矢也”라는 기록이 있다. 『史記』 卷47, 孔子世家17에 같은 내용의 기록이 있다. 또 『三國志』 卷30, 魏書30, 烏丸鮮卑東夷, 挹婁에도 “矢用楛 長尺八寸” 이라고 전한다. 楛矢는 중국에서 石砮와 함께 숙신의 상징인데, 이는 단순한 조공품이 아니라 천자의 성덕에 九夷가 복종하는 의미, 곧 천자의 통치가 四海에 미치는 구체적 상징으로 이해되었다(여호규, 2017).바로가기
  • 번역주 012)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는 “宣武景明四年八月 勿吉國貢楛矢”라고 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3)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의하면 延興 年間 1회, 太和 年間 4회, 景明 年間 1회, 正始 年間 1회, 永平 年間 4회, 延昌 年間 4회, 熙平 年間 1회, 神龜 年間 1회로 도합 17회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14)
    『册府元龜』 外臣部 朝貢條에 수록된 東魏 시기에 勿吉이 조공을 바친 기록은 天平 年間 1회, 興和 年間 2회, 武定 年間 3회로 총 6회이다.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물길국(勿吉國)과 중국의 교류 자료번호 : jd.k_0010_0100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