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반사(頒賜)한 관은(官銀)을 호궤(犒饋)하고 상으로 주는 내용에 관한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의 자문(咨文)

7. 都司查給各兵犒銀布花
  • 발신자
    遼東都指揮使司
  • 발송일
    1594년 12월 20일(음)(萬曆二十二年十二月二十日)
  • 출전
    『事大文軌』 卷12: 11b-15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24~31쪽
7. 都司查給各兵犒銀布花
 
遼東都指揮使司,
爲 請查頒賞官銀, 均霑㤙典 事.
 
准欽差分守遼海東寧道兼理邊備屯田山東布政使司右參議楊咨.
蒙欽差緫督兵部左侍郞孫批, 該本道呈, 蒙本部院批, 據兵馬遊擊吳惟忠呈, 前事. 蒙批, “仰遼陽分守道, 嚴行査報.” 蒙此. 隨備倭副緫兵劉綎會查. 去後, 今催准本官手本回稱.
查得, 吳惟忠呈稱.
原差抄錄, 張掛告示, 一張內開, 剩銀四千六百六十五兩一錢告示. 又云, 各官兵中, 倘有未領者, 許赴張主事, 告明類報, 本部追發給料, 解劉綎犒賞留守官兵一萬六千名之用.
及查先奉軍門顧批, 據吳惟忠所呈山海關告示, 內開.
見在剩銀四千六百六十五兩一錢, 銀少軍多, 零星難散, 今議解發劉綎, 爲犒賞留守官兵一萬六千名之用.
本職竊詳, 一示所云, 一官所呈, 中間語句, 先後不一, 事屬影響. 據呈, 再賜行文山海關, 一查的有明據, 則非惟南兵獲賞, 而本職標下五千之衆, 亦得沾惠. 但前項銀兩, 委未觧發到營, 已經具由呈明外, 其布花一節, 案查, 先奉經略侍郞宋明文, 內開.
藍白布四萬八千匹·綿花二萬八千斤, 於二十一年閏十一月并十二月, 不等日期, 准朝鮮國王咨, 差宣傳官高曦·尹忠男二起, 共運到藍白布五千六百九十五匹·綿花七千九百七十五斤半, 到營.
本職, 行委參軍經略張忠·旗牌彭士俊·同標下掌號官傅朝政, 備將前項布花, 均派, 參遊駱尙志·吳惟忠·戚金·宋大斌·谷燧·葛逢夏·胡尙忠·劉崇政, 千総鄧求和·王祚長·方銳·陸承恩等員下官兵, 各俱領訖. 惟參遊駱尙志·吳惟忠官兵, 一聞放粮, 自圖輕便, 稟稱, 願至王亰支領. 時本職戍守大丘, 相去王京, 千有餘里, 本營官兵應得布花, 至今本年九月內, 順至王京, 方纔補足. 隨准該國咨稱, 尙存藍布一萬七千二百五十一匹·白布三千三百四十九匹·綿花八千二百八十八斤一十二兩, 收貯王京庫內. 是彼之花布猶存, 本營豈得冒越. 續該, 本職, 據本營官兵訴稱, 天氣漸冷, 綿絮未備, 請借前貯冬花應用縁由, 具呈本部院孫詳批, “冬花准借給, 仍於月粮內, 照數扣還. 繳.” 遵照, 借用前貯冬花五千二十斤, 各兵用訖, 已經扣還價銀三百三十四兩六錢三分三釐二毫, 送貯定遼前庫外, 又卷查二十年起節, 奉經略侍郞宋八次憲牌.
發下兀喇주 001
각주 001)
兀喇: 원문에는 𠮾喇로 되어 있으나, 𠮾은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글자이다. 따라서 ‘兀喇’로 표기한다.
닫기
各五百雙, 俱行本職, 即將前項兀喇, 收給本營各軍具散過縁由, 呈報査考.
並無“開載轉發吳惟忠官兵字樣.” 等因. 在卷可查. 今應子龍告稱, 係伊原領兀喇五百雙, 又不明開是何月. 乃指稱, 患病交付中, 軍官劉天佑收訖. 若旣係給發吳惟忠營內兀喇, 又該應子龍親領, 彼時, 豈不分散焉. 肯交付別營, 在子龍故稱患病. 豈彼兵二千餘名, 一一皆病耶. 爲照, 吳惟忠所呈三事, 除布花見貯王亰, 聽彼自行支領, 但犒賞銀兩, 盖因彼兵鼓噪撫慰無由, 乃爾捕風捉影, 而不顧上司之批詳可據, 徒知移沙抵水, 而不思千里之耳目難支. 况本職亦有東征之寄, 若果有前項銀兩, 本職亦當請討矣. 豈彼兵獨有而我兵獨無耶. 此惟忠狂逞之名, 上下昭如也. 縁由.
回復到道. 看得, 南兵遊擊吳惟忠所呈, 犒賞銀兩·布花·兀喇, 旣經劉副將查稱, 原無犒賞銀兩, 亦無彼營兀喇, 盖因營兵鼓噪, 本官妄呈. 並無的據, 難以追求其應該布花見貯王京. 各兵入關已久, 長途難以取給, 合候詳示移咨都司, 轉咨朝鮮國王, 將王京庫貯前項藍布一萬七千二百五十一匹·白布三千三百四十九匹·綿花三千二百七十八斤一十二兩, 仍照, 如法收貯, 候倭事定息, 另議希將行收過縁由取具, 回咨過照. 蒙此.주 002
각주 002)
蒙此 앞에는 ‘緣由. 具呈本部院, 蒙批,’와 같이 손광의 답신과 관련한 어구가 들어갈 것이나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닫기
備咨.
到司. 准此. 擬合就行. 爲此, 合咨前去, 煩將庫貯前項藍布一萬七千二百五十一匹·白布三千三百四十九匹·綿花三千二百七十八斤一十二兩, 仍照, 如法收貯, 候倭事定息, 另議速將收過縁由, 希復囬司, 以憑緊等咨道轉報施行. 請勿未便. 須至咨者.
右咨朝鮮國王.
 
萬曆二十二年十二月二十日.

  • 각주 001)
    兀喇: 원문에는 𠮾喇로 되어 있으나, 𠮾은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글자이다. 따라서 ‘兀喇’로 표기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蒙此 앞에는 ‘緣由. 具呈本部院, 蒙批,’와 같이 손광의 답신과 관련한 어구가 들어갈 것이나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사(頒賜)한 관은(官銀)을 호궤(犒饋)하고 상으로 주는 내용에 관한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의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3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