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궁삭숙녜(弓削宿禰; 유게노스쿠네)

궁삭숙녜(弓削宿禰; 유게노스쿠네)
 천고어혼내명(天高御魂乃命; 아메노타카미무스비노미코토)의 손인 천비화지가기류야명(天毗和志可氣流夜命; 아메노히와시카케루야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궁삭숙녜(弓削宿禰)
궁삭(弓削; 유게)이라는 씨명은 활을 제작하는 집단인 궁삭부(弓削部) 또는 궁부(弓部)의 반조씨족이라는 것에서 유래하거나 하내국(河內國) 약강군(若江郡) 궁삭향(弓削鄕)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팔미시(八尾市)궁삭(弓削)이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2월 기묘조에는 궁삭련(弓削連) 등 여러 씨족이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고 기록되어 있어 궁삭숙녜의 옛 씨성이 궁삭련임을 알 수 있다. 궁삭련(弓削連)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웅략 9년 2월 갑자삭조에 궁삭련풍수(弓削連豐穗)가 보인다. 범하내직향사(凡河內直香賜)와 채녀(采女)로 하여금 흉방신(胸方神)을 제사 지내도록 파견하였는데 향사가 채녀를 강간하였으므로 궁삭련풍수를 파견하여 향사를 베었다고 적고 있다.
궁삭숙녜씨 일족으로는 천평보자 6년(762) 8월자 「조석산원소로극장(造石山院所勞劇帳)」(『대일본고문서』 5-275)의 약강군(若江郡) 사람인 궁삭숙녜백만려(弓削宿禰伯萬呂)가 있고, 천평보자 8년 12월 11일자 「사인공진문(舍人貢進文)」(『대일본고문서』 5-510)의 삽천군(澁川郡) 사람인 궁삭숙녜광족(弓削宿禰廣足)이 있다.
한편 『속일본기』 천평보자 8년(764) 7월 신축조에는 수도소지(授刀少志) 종8위상 궁삭련정인(弓削連淨人)에게 궁삭숙녜(弓削宿禰)을 사성하였고, 동 9월 을사조에서는 궁삭숙녜정인에게 궁삭어정조신(弓削御淨朝臣)를 사성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동 보귀 6년(775) 2월 신미조에는 궁삭숙녜에게 사성한 어청조신(御淸朝臣)을 본래의 성(姓)인 연(連)으로 되돌리고 있다. 궁삭련정인은 효겸상황의 총애를 받아 칭덕천황 대에 권력자가 된 도경(道鏡)의 동생이다. 도경의 세력이 커지면서 궁삭련에서 궁삭숙녜, 궁삭어정조신으로 높은 성을 받았으나, 도경이 몰락하면서 본래의 궁삭련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따라서 『신찬성씨록』 에 보이는 궁삭숙녜는 궁삭련정인(弓削連淨人)과는 관련이 없는 사람들이다. 『속일본기』 보귀 8년(777) 9월 병인조에는 우대사인(右大舍人) 궁삭숙녜남광(弓削宿禰男廣)이 보이는데, 그가 바로 석상씨와 같은 조상을 가진 좌경의 궁삭숙녜 일족이다. 이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궁삭숙녜」 조(398) 참조.
2. 천고어혼내명(天高御魂乃命)
고혼명(高魂命;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 또는고황산령존(高皇産靈尊; 다카미무스비노미코토)이라고도 표기한다. 이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대반숙녜(大伴宿禰)」 조(374) 참조.
3. 천비화지가기류야명(天毘和志可氣流夜命)
천일취상시명(天日鷲翔矢命; 아메노히와시카케루야노미코토)이라고도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궁삭숙녜(弓削宿禰; 유게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7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