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송수구산성

松樹溝山城
  • 저필자
    김지영(숙명여자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위치
  • 원소장처
    요녕성 안산시 수암현 황화전진 곽가령촌 소하서둔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2,500m
입지
수암현 황화전진 곽가령촌 소하서둔의 서북 500m 떨어진 산에 위치
유적개관
성이 내성과 외성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성은 둘레 2.5km이다. 석축 성벽이며, 북벽은 길이가 1km가량 남아있으며, 잔고는 1~3m이다. 동벽은 500m가량 남아있으며, 높이는 5~8m이며, 동쪽 계곡부에 문지가 설치되어 있다.
유물개관
* 기와, 토기편
참고문헌
「文物地圖集」
해설
중국 요녕성 안산시 수암현 동북 35km 떨어진 황화전진 곽가령촌(관문산촌) 소하서둔에서 서북쪽 500m 거리의 산 위에 위치한다. 송수구산성은 고동하(古洞河)와 초자하(哨子河)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는데, 고동하는 서쪽과 남쪽, 동쪽을 지나 산성을 감싸면서 북쪽으로 흘러가며, 초자하는 산성의 북쪽을 통과해서 흐르고 있다. 산성의 동북 모서리가 관문산(關門山)과 서로 이어져 있다.
성의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되었는데 내성과 외성이 있으며, 평면은 내성은 다변형, 외성은 타원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세는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성벽은 서남쪽 구간을 산 능선을 이용해 천연 성벽을 만든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전부 인공적으로 축조하였다. 내성의 둘레 길이는 약 2,5km이며 성벽은 돌로 쌓았고 북쪽은 길이가 약 1km, 높이는 1-3m이며, 동벽은 길이가 약 500m, 높이가 5-8m이다. 성 내부에는 골짜기 2개와 언덕이 1개 있으며, 성문은 동쪽과 서쪽 2개가 있다. 외성은 산등성이와 흐르는 물이 천연의 방어가 되고 있으며, 언덕 가장자리에 100m 길이의 돌벽이 있고 돌무지무덤들(적석묘군 積石墓群)이 발견되었다.
성벽은 동서남북 4벽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동벽은 계곡 입구에 위치하며, 성 내부의 물이 밖으로 흘러나가는 곳이며 이곳이 동문이다. 골짜기 입구에 차단벽을 인공적으로 쌓아 만들었으며 너비와 높이가 각각 약 1m 가량 되는 수구가 하나 있다. 동벽 바깥쪽 50m 거리에 한 갈래의 성벽이 남아 있는데 매우 규칙적으로 축조하였고 길이는 약 10m, 높이는 1-1.5m이다. 동벽 바깥쪽을 방어하는 방어선이었을 것이다. 동벽 바깥쪽에는 고동하 연안을 따라 외벽도 축조했다. 북벽 역시 바깥쪽에 외벽을 하나 설치했는데 지세로 볼 때 이 구간이 당시 중점 방어 구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벽에는 성가퀴가 있으며, 서문 서남쪽 185m 떨어진 곳에 트인 곳(활구 豁口)이 한 곳 있다. 이곳으로부터 남쪽으로 산의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천연성벽을 삼았다. 감시초소(요망대 瞭望臺)에서 다량의 기와들과 불에 탄 붉은 돌덩이(용석 熔石)가 나왔으며, 산성 내 거주지에서 붉은색의 기와, 토기 조각, 철기,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
고구려의 후황성(後黃城)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송수구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120_001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