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료로 보는 독도

무릉도 입항 때 파선되어 죽은 강원도 수군의 초혼제를 지내고 치제·치부케 하다

  • 저필자
    장순순(전북대학교 교수)
  • 날짜
    1425년 11월 20일(음)
  • 출전
사료해설
정부의 쇄환정책으로 우산도(于山島; 독도)와 무릉도(武陵島; 울릉도) 주민의 쇄환을 위해 울릉도와 독도로 향한 안무사(按撫使) 김인우(金麟雨) 일행의 바닷길이 험난했음을 엿볼 수 있는 사료이다. 조정에서는 김인우 일행이 울릉도에 갔다가 돌아오던 중 배가 파손되어 사망한 강원도 수군(水軍)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게 하고, 재물과 제문을 보내게 하였다.
원문
○傳旨禮曹、戶曹: “茂陵入歸時, 敗船物故江原道船軍, 招魂致祭致賻。” 金麟雨云: “漂向日本。” 上以謂敗船, 故有是命。
번역문
예조와 호조에 전지(傳旨)하여, 무릉도(茂陵島)에 들어갈 때 배가 깨어져서 사망한 강원도 수군(水軍)의 초혼제(招魂祭)를 지내게 하고, 치제(致祭)하고 치부(致賻)하게 하였다. 김인우(金麟雨)가 일본으로 표류(漂流)하였다고 말하였는데, 임금이 배가 깨어진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 명령이 있은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무릉도 입항 때 파선되어 죽은 강원도 수군의 초혼제를 지내고 치제·치부케 하다 자료번호 : sd.d_0149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