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시어사(侍御史) 이범(李範)의 상언과 태종의 조서

  • 날짜
    990년 11월 (음)(淳化 元年(990) 11月 丁丑)
  • 출전
    卷31 淳化 元年(990) 11月 丁丑
知安州·侍御史李範上言, “故殿中丞·通判州事金行成, 本高麗人, 賓貢舉進士中第. 高麗國王表乞放還, 行成自以筮仕中朝, 思有以報, 不願歸本國. 父母垂老, 在海外, 旦暮思念之, 恨祿養弗及, 命畫工圖其像置於正寢, 行成與妻更居旁室, 晨夕定省上食, 未嘗少懈. 行成疾且革, 召臣及州官數人至其臥內, 泣且言曰, ‘外國人仕中朝爲五品官, 佐郡政, 被病且死, 無以報主恩, 瞑目於泉下亦有餘恨. 二子宗敏·宗訥皆幼, 家素貧, 無他親可依, 行委溝壑矣.’ 行成既死, 其妻誓不嫁, 養二子, 織履以自給, 臣竊哀之.” 詔以宗敏爲太廟齋郎, 禮部即與收補, 俾安州月以錢三千·米五石給其家, 長吏常歲時存問, 無令失所.
 
‖ 참고 ‖
· 『高麗史』 卷2, 世家2 景宗 元年(976).
遣金行成如宋, 入學國子監.
· 『高麗史』 卷74, 志28 選擧2 制科(景宗 元年).
遣金行成如宋, 入學國子監, 二年, 行成在宋登第.
· 『高麗史節要』 卷2, 景宗 元年(976)
是歲, 遣金行成如宋, 入學國子監, 遂登第.
· 『宋史』 卷487, 列傳246 外國3 高麗. 宋眞宗 天禧 5年(1021)
詢遣告奏使御事禮部侍郎韓祚等一百七十九人來謝恩, 且言與契丹修好, 又表乞陰陽地理書·『聖惠方』, 並賜之. 金行成者, 累官至殿中丞, 治表乞放還. 行成自以筮仕朝廷, 不願歸本國. 又以父母垂老, 在海外旦暮思念, 恨祿不及, 令工圖其像置正寢, 與妻史氏居旁室, 晨夕定省上食, 未嘗少懈. 淳化初, 通判安州, 被病. 知州李範與僚佐數人省之, 行成病已篤. 泣且言曰, “行成外國人, 爲朝官, 佐郡政, 病且死, 未有以報主恩, 雖瞑目固有遺恨. 二子宗敏·宗訥皆幼, 家素貧, 無他親可依, 旦暮委溝壑矣.” 未幾, 行成死, 其妻養二子, 誓不嫁, 織屨以給. 範表其事, 詔以宗敏補太廟齋郎, 令安州月給其家錢參緡·米五斛, 長吏歲時存問.

색인어
이름
李範, 金行成, 行成, 宗敏, 宗訥, 行成, 宗敏
지명
安州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시어사(侍御史) 이범(李範)의 상언과 태종의 조서 자료번호 : jt.d_0002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