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크라스키노 발해성 - 발굴 40년의 성과 -

크라스키노발해성

2) 생활면 구분과 유구들의 상대편년

서북지역 남부 주거구역, 서북지역 사찰구역 동쪽 일대, 중북지역 제53구역, 그리고 서북지역 제51구역 도로구간은 층위 발굴을 통해 5개 혹은 6개의 생활면이 구분되었다. 때문에 각 생활면에 속하는 주거지나 저장구덩이 혹은 기타 유구들은 상대적인 축조 혹은 사용시기가 파악이 된다. 또한 서북지역 제51구역은 도로와 성벽 그리고 사찰담장의 상대적인 조영 순서를 밝힐 수 있게 하였다.
서북지역 제51구역에서는 모두 도로 생활면이 5개가 확인되었다. 제51구역은 사찰구역 석축담장 및 성 서벽과 바로 인접하여 설정되었기 때문에 도로와 석축 담장 그리고 도로와 성 서벽의 상대적인 축조순서가 파악되었다. 가장 아래의 도로 제5생활면과 바로 위의 제4생활면에서는 도로가 북동-남서 방향으로 곧게 석축담장 아래를 지나 곧장 “중간 생활면” 금당지를 향해 나있었다. 다시 말해서 도로 제5생활면과 제4생활면에서는 아직 석축담장이 축조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 위로 제3생활면에서는 도로가 동-서 방향으로 사찰구역을 구분하는 석축담장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나있다. 이것은 석축담장이 도로 제4생활면과 제3생활면 사이의 어느 순간에 축조되었음을 말한다. 이후 도로 제2생활면과 제1생활면의 방향은 모두 바뀌지 않았다.
도로 생활면들과 성벽과의 조영 순서도 파악이 되었다. 제51구역의 서벽은 성벽에 바로 잇대어 위치하는데 제51구역의 도로를 조사할 때에 성벽의 내측에 쌓은 면석이 함께 노출되었다. 그런데 도로의 생활면들은 성벽 내측의 면석 기단보다 더 깊은 곳까지 계속 발견되었다. 도로 제5생활면은 성벽 면석의 기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였고, 도로 제4생활면은 성벽 기단과 동일한 깊이에 위치였다. 이 사실은 도로 제4생활면에서 성벽을 쌓았음을 의미한다.
서북지역 사찰구역 석축담장과 도로 그리고 성벽은 도로 생활면에 의해 상대적인 축조시기가 확인되었다. 가장 이른 단계에 도로 제5생활면이 존재하였고, 그다음에 도로 제4생활면에서 성벽을 축조하였으며, 그다음 일정 기간의 시차를 두고 도로 제4생활면과 제3생활면 사이에 사찰구역 석축담장을 축조하였다.
서북지역 남부 주거구역에서 층위 조사가 이루어진 곳은 제34구역, 제40구역, 제44구역, 그리고 제48구역 동쪽섹터이다. 제1생활면에서는 제34구역의 1호 주거지, 2호 주거지, 제34호와 제40구역에 걸쳐 위치하는 ‘3호 주거지’(2009년 (1호) 폐기물 구덩이), 제40구역의 1호 (돌기초벽) 건물지, 제44구역과 제48구역에 걸쳐 위치하는 2호 건물지, 제44구역의 1호 건물지, 1호, 2호, 3호, 4호 유구, 1호, 2호, 3호 구덩이, 제48구역의 추정 토축기단, 대형 돌무지, 석열, (열주유형) 추정 건물지, 1호(48구), 2호(48구), 3호(48구) 유구, 폐기물 구덩이(48구)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제2생활면에서는 제40구역의 9호 주거지, 제44구역의 20-21호 주거지, 1호 (말각방형), 2호 (돌무지), 3호 (추정 적심), 4호 (석열) 유구, 추정 건물지, 23호 주거지, 제48구역의 22호 주거지, 1호 수혈구덩이, 토기편무지, 적심초석, 1호와 2호 구덩이, 경제건축 수혈구덩이, 돌 사용 구조물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제3생활면에서는 제34구역의 4호 주거지, 제40구역의 10호, 11호, 14호, 15호 주거지와 2호, 3호, 11호 구덩이, 제44구역의 추정 건물지(기둥 구조물 유구), 노지 유구, 1호와 2호 수혈구덩이, 1b호 노지, 배수도랑, 1호~8호 구덩이, 10호, 11호 구덩이, 제48구역의 슬래그 집중 분포지, 6호~13호 구덩이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서북지역 남부 주거구역의 제4생활면에서는 제34구역에서 5호 주거지, 제40구역의 ‘13호 주거지’, 16호 저장구덩이, 21호, 22호, 23호, 24호, 25호 구덩이, 24호 주거지, 1호와 2호 돌무지, 제48구역의 2호, 3호, 4호, 5호 수혈구덩이, 14호, 15호, 16호 구덩이, 18호~32호 구덩이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제5생활면에서는 제34구역의 6호 주거지, 제34구역과 제40구역에 걸쳐 위치하는 12호 주거지, 제40구역의 수혈구덩이, 34호 구덩이(저장 구덩이) 및 기타 구덩이들, 제44구역의 19호, 20호, 24호 구덩이가 포함된 13호 주거지, 12호, 13호, 14호, 17호, 18호구덩이, 수혈구덩이, 제48구역의 4호 수혈구덩이, 28호 주거지, 5호 수혈구덩이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제6생활면에서는 제44구역의 추정 건축물 벽체 잔존물, 재무지, 3호, 5호 구덩이, 12호~14호 구덩이, 재 및 그을음 얼룩들, 숯-그을음 얼룩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서북지역 사찰구역 동쪽 일대에서는 제37구역, 제41구역, 그리고 제45구역이 위치한다. 가장 위의 제1생활면에서는 석열, 석축구조물, 장방형 초석, 적석유구, 돌무지, 7호 주거지, 16호 주거지, 6호 구덩이, 2호 유구, 3호 유구, 4호 유구, 7호 구덩이가 각각 조사되었다. 그 아래의 제2생활면에서는 수혈구덩이, 8호 주거지, (2011) 1호 유구, (2011) 2호 유구가, 그 아래의 제3생활면에서는 17호주거지, 4호 구덩이가 각각 조사되었다. 그 아래의 제4생활면에서는 (2011) 4호 유구, (2011) 5호 유구(3호 노지), (2011) 7호 구덩이가, 그 아래의 제5생활면에서는 (2011-45) 4호 유구(수혈 구덩이), 저장구덩이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중북지역 제53구역에서는 제1생활면에서 26호 주거지, 1호 구덩이, 2호 구덩이, 석열유구가, 제2생활면에서 25호 주거지, 3호 구덩이, 4호 구덩이가, 제3생활면에서 2018-남서섹터 2호 구덩이, 27호 주거지, 제4생활면에서 석벽구조물과 석축구조물이 각각 조사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 생활면 구분과 유구들의 상대편년 자료번호 : kr.d_0016_0040_00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