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소농 경영의 안정

3-2단원 2차시
  • 저필자
    이동욱(숙지고 역사 교사)

소농 경영의 안정

지주전호제와 소농
소농 경영이란?
소농 경영의 전개

소농 경영의 안정

1. 지주전호제와 소농
  1. 10세기 이후 농업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 → 토지 개간, 매입을 통해 대토지를 소유한 지주 등장
  2. 지주는 일반적으로 소농(‘전호’)에게 소작을 줌
    - 지주전호제
  3. 전호(소작농)는 지주에게 일정한 액수 또는 일정한 비율의 소작료(지대)를 납부

소농 경영의 안정

2. 소농 경영이란?
1. 개념 : 자기 토지나 소작지를 가족의 노동력만으로 경작하는 방식

소농 경영의 안정

2. 소농 경영이란?
2. 형태
- 자작농이 자기 땅을 경작
- 토지가 충분하지 않은 자작농이 대토지 소유자(지주)에게 토지를 빌려 경작
- 지주가 일정 면적의 토지를 경작하고 나머지는 소작농(전호)에게 대여
- 소작농(전호)이 지주에게 토지를 빌려 경작

소농 경영의 안정

3. 소농 경영의 전개 - 송·명

  1. - 강남 지방을 중심으로 대토지를 소유한 지주가 등장 → 강남 지방에 전호(소작농)이 다수 분포
    - 강남의 전호 : 양민 신분이면서 일정한 소작료(지대)를 내고 독립적 경영

  2. - 전호의 경작권이 점차 확립 → 경작권을 다른 전호에게 빌려주어 이익을 취하는 전호 등장

소농 경영의 안정

3. 소농 경영의 전개 - 고려·조선
  1. 고려·조선 전기의 경작방식 : 지주전호제, 노비제
  2. 전호와 외거 노비 :소농 경영
  3. 국가의 보호·육성 정책에도 소농의 지위 불안정
    - 토지 규모 영세
    - 국가와 지배층의 수탈
    - 자연재해 빈발
    -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농장)로 소농 몰락
주 154
각주 154)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
“내가 시골집에 들러 늙은 농부에게 물으니, 늙은 농부 나를 보고 자세히 얘기하네. 요새 세력 있는 사람들이 백성의 토지를 빼앗아 산이며 내로 경계를 짓는 공문서를 만들었네. 혹은 한 토지에 주인이 여럿이어서 지대를 받고 나서 또 받아가느라 쉴 새가 없네. 혹, 홍수와 가뭄을 당해 흉년이 들면 타작마당엔 풀만 나 있네. 살을 긁고 뼈를 쳐도 아무것도 없으니, 나라의 조세는 어지 낼꼬. 장정 몇 천 명은 흩어져 나가고 늙은이와 어린 아이만 남아, 거꾸로 달린 종처럼 빈 집을 지키네. 차마 시궁창에 처박고 죽을 순 없어, 마을을 비우고 산에 올라가 도토리와 밤을 줍네.”
– 윤여형,“상률가”
– 윤여형,“상률가”상률가상률가
닫기

소농 경영의 안정

3. 소농 경영의 전개 - 고려·조선
4. 조선 전기 : 농본주의 정책으로 소농 보호
- 양반의 지나친 토지 소유 금지
- 소농의 토지 개간 장려
- 새로운 농업 기술과 농기구 보급

소농 경영의 안정

3. 소농 경영의 전개 - 일본
1. 장원의 성장
- 헤이안 시대 말기
- 묘슈 : 장원의 실질적 관리자, 소농민에게 토지를 나누어주고 연공(세금) 징수
- 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무사층의 토지 지배력이 강화되면서 묘슈와 장원의 지배력 약화
주 155
각주 155) 연공(세금) 징수
닫기

소농 경영의 안정

3. 소농 경영의 전개 - 일본
2. 촌락 공동체의 형성
- 16세기 말 촌락 단위로 토지와 경작자를 조사하는 토지 조사(검지) 실시 → 소농이 제도적으로 안정되는 기반 마련
- 영주에게 연공을 바치는 조건으로 자치권 획득

소농 경영의 안정

지주전호제 발달
소농경영
각국의 소농경영
  1. 10세기 이후 농업생산력의 비약적 발전 에 따라 대토지를 소유한 지주 등장
  2. 지주는 소농민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소작료 수취(지주전호제)
  1. 농업 생산력의 발전 → 가족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경작이 가능한 소농 성장
  2. 소농 경영의 형태는 토지가 없는 소작농(전호)의 경작에서 지주의 경작까지 다양
  1. 송·명 : 강남 지방을 중심으로 소농 경영 보편화
  2. 고려, 조선 : 고려 후기 농장의 발달로 소농 몰락 → 조선 전기 소농 보호 육성책 추진
  3. 일본 : 16세기 말 토지조사를 통해 소농의 제도적 안정화

  • 각주 154)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내가 시골집에 들러 늙은 농부에게 물으니, 늙은 농부 나를 보고 자세히 얘기하네. 요새 세력 있는 사람들이 백성의 토지를 빼앗아 산이며 내로 경계를 짓는 공문서를 만들었네. 혹은 한 토지에 주인이 여럿이어서 지대를 받고 나서 또 받아가느라 쉴 새가 없네. 혹, 홍수와 가뭄을 당해 흉년이 들면 타작마당엔 풀만 나 있네. 살을 긁고 뼈를 쳐도 아무것도 없으니, 나라의 조세는 어지 낼꼬. 장정 몇 천 명은 흩어져 나가고 늙은이와 어린 아이만 남아, 거꾸로 달린 종처럼 빈 집을 지키네. 차마 시궁창에 처박고 죽을 순 없어, 마을을 비우고 산에 올라가 도토리와 밤을 줍네.”
    – 윤여형,“상률가”
    – 윤여형,“상률가”상률가상률가 바로가기
  • 각주 155)
    연공(세금) 징수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농 경영의 안정 자료번호 : edeao.d_0003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