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

주 001
각주 001)
원문 「신출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仇」로 판독. 종족명 혹은 지명이므로 주문과 『後漢書』를 참고하여 「仇」로 교감.
닫기
池汶주 002
각주 002)
원문 「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汶」으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주문과 『後漢書』를 참고하여 「汶」으로 교감.
닫기
주 003
각주 00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주문의 汶山郡을 가리키므로 문맥에 맞게 「郡」으로 교감.
닫기
, 飡주 004
각주 004)
원문 「飡」. 탕천본 「餐」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닫기
和於元鼎之年주 005
각주 005)
원문은 연문으로, 앞의 교감을 반영하면 「仇池汶郡 飡和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으로 되어 있다. 「仇池汶郡 飡和」이 반복된 셈인데, 4*7의 정문 문장 구조와 앞의 「仇池汶郡 飡和」 이후 줄이 바뀌는 점 등을 고려하여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으로 교감.
닫기
,
後漢書曰: “白馬氐者, 武帝元鼎六年開, 分廣漢西部, 合以爲武都郡. 土地주 006
각주 006)
원문 「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地」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地」로 교감.
닫기
險阻, 有麻田, 出名馬牛·羊·漆주 007
각주 007)
원문 「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漆」로 판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漆」로 교감.
닫기
·蜜. 氐人勇戇주 008
각주 008)
원문 「男贛」.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勇戇」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勇戇」으로 교감.
닫기
抵冒주 009
각주 009)
원문 「牴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抵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抵冒」로 교감.
닫기
, 貪貨死利. 居於河주 010
각주 010)
원문 「何」.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河」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河」로 교감.
닫기
池, 一名仇池주 011
각주 011)
원문 「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池」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池」로 교감.
닫기
. 方百頃주 012
각주 012)
원문 「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頃」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頃」로 교감.
닫기
, 四面斗絶. 數爲邊寇주 013
각주 013)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寇」로 교감.
닫기
. 冉駹夷者, 武帝所開, 元鼎六年, 以爲汶山郡주 014
각주 014)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행정단위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郡」으로 교감.
닫기
. 至地節주 015
각주 015)
원문 「王地至莭」. 죽내본 「王至地節」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至地節」로 교감. 「地節」이 연호이므로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至地節」로 교감.
닫기
三年, 夷人주 016
각주 016)
원문 「人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夷人」으로 교감.
닫기
以立郡賦重, 帝주 017
각주 017)
원문 「帝」. 탕천본·길림본 「宣帝」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宣帝」로 되어 있다.
닫기
乃省, 幷蜀郡爲北部都尉. 其山有六夷·七羌·九氐, 各有部落. 其王주 018
각주 018)
원문 「留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王」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王」으로 교감.
닫기
侯頗知書주 019
각주 019)
원문 「書」. 탕천본·길림본 「文書」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文書」로 되어 있다.
닫기
, 而法俗嚴重. [貴]婦주 020
각주 020)
원문 「婦」. 탕천본·길림본 「貴婦」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貴婦」로 교감.
닫기
人, 黨母族주 021
각주 021)
원문 「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族」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族」으로 교감.
닫기
, 死則燒其尸, 土氣多寒, 夏猶주 022
각주 022)
원문 「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猶」로 판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猶」로 교감.
닫기
주 023
각주 023)
원문 「水」. 길림본 「冰」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夏冰猶不釋」으로 되어 있다.
닫기
凍也.”

  • 각주 001)
    원문 「신출자」.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仇」로 판독. 종족명 혹은 지명이므로 주문과 『後漢書』를 참고하여 「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沒」.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汶」으로 교감. 행정구역명이므로 주문과 『後漢書』를 참고하여 「汶」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주문의 汶山郡을 가리키므로 문맥에 맞게 「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飡」. 탕천본 「餐」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은 연문으로, 앞의 교감을 반영하면 「仇池汶郡 飡和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으로 되어 있다. 「仇池汶郡 飡和」이 반복된 셈인데, 4*7의 정문 문장 구조와 앞의 「仇池汶郡 飡和」 이후 줄이 바뀌는 점 등을 고려하여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地」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地」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涞」.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漆」로 판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漆」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男贛」.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勇戇」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勇戇」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牴置」.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抵冒」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抵冒」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何」.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河」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河」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地」.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池」로 교감. 지명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池」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頃」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頃」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郡」으로 교감. 행정단위이므로 『後漢書』를 참고하여 「郡」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王地至莭」. 죽내본 「王至地節」로 교감, 탕천본·길림본 「至地節」로 교감. 「地節」이 연호이므로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至地節」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6)
    원문 「人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夷人」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夷人」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7)
    원문 「帝」. 탕천본·길림본 「宣帝」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宣帝」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원문 「留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王」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王」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9)
    원문 「書」. 탕천본·길림본 「文書」로 교감. 보입하지 않아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文書」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0)
    원문 「婦」. 탕천본·길림본 「貴婦」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貴婦」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1)
    원문 「施」.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族」으로 교감.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族」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2)
    원문 「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猶」로 판독. 문맥에 맞게 『後漢書』를 참고하여 「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23)
    원문 「水」. 길림본 「冰」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의미가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는다.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夏冰猶不釋」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仇池汶郡, 飡和於元鼎之年, 자료번호 : hw.m_0002_012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