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淪碑尚在, 耿夔播美於遼城,

淪碑尚在, 耿夔주 001
각주 001)
원문 「夔」.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지 못하나 「夔」로 교감했다는 표시를 해둠. 탕천본은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에 교감 표시를 해둠.
닫기
播美於遼城주 002
각주 002)
漢代 遼東郡의 郡治인 襄平城을 가리킨다. 오늘날 중국 遼寧省 遼陽 소재 舊城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닫기
,
范曄後漢書曰: “耿夔遷遼주 003
각주 003)
원문 「遼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遷遼」로 교감. 문맥상 「遷遼」로 교감.
닫기
東太守, [元興]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元興」을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후한서』를 참조하여 「元興」을 보입.
닫기
元年, 貊人寇주 005
각주 005)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한원』에서는 「寇」를 「冠」으로 쓴 사례가 다수 확인되며, 문장의 내용을 고려해 「寇」로 교감.
닫기
郡界, 夔追擊, 斬其渠帥주 006
각주 006)
원문 「帥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渠帥」로 교감. 거수를 가리키는 표현이므로 「渠帥」로 교감.
닫기
.” 案髙驪記云: “故城南門有碑, 年久淪沒. 出土數尺, 即耿夔碑之者也주 007
각주 007)
원문 「之者也」. 탕천본 「者也」를, 길림본 「之者」를 생략함.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닫기
.”

  • 각주 001)
    원문 「夔」. 탕천본 판독한 글자를 알지 못하나 「夔」로 교감했다는 표시를 해둠. 탕천본은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에 교감 표시를 해둠. 바로가기
  • 각주 002)
    漢代 遼東郡의 郡治인 襄平城을 가리킨다. 오늘날 중국 遼寧省 遼陽 소재 舊城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遼遷」.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遷遼」로 교감. 문맥상 「遷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 「元興」을 보입.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후한서』를 참조하여 「元興」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寇」로 교감. 『한원』에서는 「寇」를 「冠」으로 쓴 사례가 다수 확인되며, 문장의 내용을 고려해 「寇」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帥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渠帥」로 교감. 거수를 가리키는 표현이므로 「渠帥」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之者也」. 탕천본 「者也」를, 길림본 「之者」를 생략함. 그러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생략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淪碑尚在, 耿夔播美於遼城,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