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涿耶懷疑, 龐奮之功攸著.

涿주 001
각주 001)
원문 「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涿」로 교감. 涿耶는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涿」으로 교감.
닫기
주 002
각주 002)
원문 「耶」. 죽내본·탕천본 「耶」, 길림본 「邪」로 교감. 涿耶는 고유명사이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懷疑, 龐奮之功攸著.
後漢書[曰]: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보입. 일반적인 문장 구조를 따라 「曰」을 보입.
닫기
“永元[七]주 004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七」을 보입. 『후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시점을 가리키는 「七」을 보입.
닫기
年, 以鴈門太[守]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守」 보입. 太守라는 관명이므로 「守」를 보입.
닫기
龐奮行度遼將軍.주 006
각주 006)
원문 「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軍」으로 교감. 문맥상 「軍」으로 교감.
닫기
주 007
각주 007)
원문 「逄」. 길림본 「逢」으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逢」으로 교감.
닫기
侯於塞外, 分爲二部, 自領右部屯涿耶주 008
각주 008)
원문 「綠耶」. 죽내본·탕천본 「涿耶」, 길림본 「涿邪」로 교감. 정문의 내용을 참조해 「涿耶」로 교감.
닫기
山下, 左部屯朔方西北, 相去數百[里].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里」를 보입.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 정확한 의미를 위해 보입.
닫기
八年冬, 左部胡自相疑叛주 010
각주 010)
원문 「叛」. 길림본은 「畔」으로 교감. 그러나 글자를 바꾸지 않아도 뜻이 통함. 따라서 원문대로 둠.
닫기
, 還入朔方塞. 龐奮迎주 011
각주 011)
원문 「近」.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으로 교감. 문맥상 「迎」으로 교감.
닫기
受慰納之, 其勝兵四千人, 弱小萬餘口悉降. 以分處北邊也.”

  • 각주 001)
    원문 「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涿」로 교감. 涿耶는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涿」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耶」. 죽내본·탕천본 「耶」, 길림본 「邪」로 교감. 涿耶는 고유명사이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보입. 일반적인 문장 구조를 따라 「曰」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七」을 보입. 『후한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시점을 가리키는 「七」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守」 보입. 太守라는 관명이므로 「守」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軍」으로 교감. 문맥상 「軍」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逄」. 길림본 「逢」으로 교감. 고유명사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逢」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綠耶」. 죽내본·탕천본 「涿耶」, 길림본 「涿邪」로 교감. 정문의 내용을 참조해 「涿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里」를 보입.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로, 정확한 의미를 위해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叛」. 길림본은 「畔」으로 교감. 그러나 글자를 바꾸지 않아도 뜻이 통함. 따라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近」.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迎」으로 교감. 문맥상 「迎」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涿耶懷疑, 龐奮之功攸著.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