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朔方列隊, 溫禺之氛自解.

朔方列주 001
각주 001)
원문 「刊」. 죽내본 「刋」으로 판독하고 교감하지 않음. 탕천본·길림본 「列」로 교감. 문맥상 「列」로 교감.
닫기
隊, 溫禺주 002
각주 002)
원문 「愚」.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길림본 「禺」로 교감. 문맥상 「禺」로 교감.
닫기
之氛주 003
각주 003)
원문 「氣氛」,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氛」으로 교감. 문맥상 「氣」를 생략하고 「氛」으로 교감.
닫기
自解.
後漢書曰: “明帝永平十六年, 乃太주 004
각주 004)
원문 「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大」로 교감. 『후한서』에는 「大」로 되어 있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發緣邊兵, [遣]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遣」을 보입. 문맥상 동사에 해당하는 글자가 필요하며 『후한서』를 참조해 「遣」을 보입.
닫기
諸將四道出塞주 006
각주 006)
원문 「塞」.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塞」로 교감.
닫기
, 北征匈奴. 南單于遣左賢王信, 隨太僕祭주 007
각주 007)
원문 「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祭」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祭」로 교감.
닫기
肜及吳棠주 008
각주 008)
원문 「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棠」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棠」으로 교감.
닫기
, 出朔方高주 009
각주 009)
원문 「高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方高」로 교감. 문맥상 「方高」로 교감.
닫기
闕, 攻주 010
각주 010)
원문 「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닫기
주 011
각주 011)
원문 「衆」. 죽내본 「皐」로, 탕천본·길림본 「皋」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皋」로 교감.
닫기
林溫禺犢王於涿耶山. 虜聞주 012
각주 012)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닫기
漢兵來, 悉度[漠]주 013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漠」을 보입. 『後漢書』에 의거해 「漠」을 보입.
닫기
去之者也주 014
각주 014)
원문 「之者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衍文으로 간주하고 생략. 『후한서』에는 해당 부분이 없지만 원문대로 두어도 해석상 무리가 없으므로 생략하지 않음.
닫기
.”

  • 각주 001)
    원문 「刊」. 죽내본 「刋」으로 판독하고 교감하지 않음. 탕천본·길림본 「列」로 교감. 문맥상 「列」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愚」. 탕천본 원문대로, 죽내본·길림본 「禺」로 교감. 문맥상 「禺」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氣氛」,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氛」으로 교감. 문맥상 「氣」를 생략하고 「氛」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太」.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大」로 교감. 『후한서』에는 「大」로 되어 있으나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遣」을 보입. 문맥상 동사에 해당하는 글자가 필요하며 『후한서』를 참조해 「遣」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塞」.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塞」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奈」. 죽내본·탕천본·길림본 「祭」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祭」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棠」으로 교감. 인명이므로 『후한서』를 참조해 「棠」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高方」.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方高」로 교감. 문맥상 「方高」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汶」.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攻」으로 교감. 문맥상 「攻」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衆」. 죽내본 「皐」로, 탕천본·길림본 「皋」로 교감. 『후한서』를 참조해 「皋」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漠」을 보입. 『後漢書』에 의거해 「漠」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之者也」.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衍文으로 간주하고 생략. 『후한서』에는 해당 부분이 없지만 원문대로 두어도 해석상 무리가 없으므로 생략하지 않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朔方列隊, 溫禺之氛自解. 자료번호 : hw.m_0002_001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