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慶隆呑雹 方循彈嶺之儀

慶隆呑雹주 001
각주 001)
죽내본 「, 길림본 「雹」. 자형에 따라 「雹」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方循주 002
각주 002)
죽내본 「循」, 길림본 「脩」. 아래의 용례를 통해 「循」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脩
신출자

東晋 洛神賦十三行
닫기
彈嶺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嶺」. 자형에 따라 「嶺」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之儀
後漢書曰 桓帝時 鮮卑檀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檀」. 아래의 용례를 통해 「檀」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昭仁寺碑
닫기
石槐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槐」. 우변 「鬼」의 용례를 통해 「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信行禪師碑
닫기
者 其父投鹿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鹿」. 아래의 용례를 통해 「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鹿신출자

北魏 孫遼浮圖銘記
닫기
侯 初從匈奴軍三年 其妻在家生子 投鹿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鹿」. 자형에 따라 「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侯歸 恠煞之 妻言 甞書行間雷震 仰天視而電入其口 因呑之 遂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遂」. 자형에 따라 「遂」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任女身 十月而産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産」. 아래의 용례를 통해 「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此子必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必」. 아래의 용례를 통해 「必」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有寄異 且宜주 011
각주 011)
죽내본 「冝」, 길림본 「宜」. 아래의 용례를 통해 「宜」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泉男生墓誌
닫기
長視 投鹿侯不聴 逐棄之 妻私주 012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私」. 아래의 용례를 통해 「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神策軍碑
닫기
語家合牧養烏주 013
각주 013)
죽내본 「烏」, 길림본 「焉」. 아래의 용례를 통해 「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泉男生墓誌焉
신출자

北魏 元欽墓誌
닫기
名檀石槐 年十四五 勇健有智略 異部大人抄取其外家牛羊 檀石槐騎單追擊 所向無前 悉주 014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悉」. 아래의 용례를 통해 「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圭峰禪師碑
닫기
還得所亡者 由是部落畏服 乃施法楚 平曲주 015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曲」.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曲」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雁塔聖敎序
닫기
直 無敢犯者遂推以爲大人 檀石槐乃立庭於彈汗山歠주 016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歠」. 자형에 따라 「歠」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仇水止 去高柳北三百餘里 兵馬甚盛 東西部大人皆歸焉 因鈔緣邊 北推丁零 東劫夫餘 西擊孫 書據匈奴故地 東西四千里 納南北七十餘里 納羅山川水澤監池也

  • 각주 001)
    죽내본 「, 길림본 「雹」. 자형에 따라 「雹」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 「循」, 길림본 「脩」. 아래의 용례를 통해 「循」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脩
    신출자

    東晋 洛神賦十三行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嶺」. 자형에 따라 「嶺」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檀」. 아래의 용례를 통해 「檀」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昭仁寺碑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槐」. 우변 「鬼」의 용례를 통해 「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信行禪師碑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鹿」. 아래의 용례를 통해 「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鹿신출자

    北魏 孫遼浮圖銘記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鹿」. 자형에 따라 「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遂」. 자형에 따라 「遂」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産」. 아래의 용례를 통해 「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必」. 아래의 용례를 통해 「必」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 「冝」, 길림본 「宜」. 아래의 용례를 통해 「宜」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泉男生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길림본 「私」. 아래의 용례를 통해 「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神策軍碑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 「烏」, 길림본 「焉」. 아래의 용례를 통해 「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泉男生墓誌焉
    신출자

    北魏 元欽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悉」. 아래의 용례를 통해 「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圭峰禪師碑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曲」. 아래의 용례를 통해 「曲」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雁塔聖敎序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歠」. 자형에 따라 「歠」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慶隆呑雹 方循彈嶺之儀 자료번호 : hw.d_0002_003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