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료로 보는 독도

삼봉도 초무사의 직책을 면하려고 꾀한 정석희의 고신을 빼앗고 창원에 부처하다

  • 저필자
    장순순(전북대학교 교수)
  • 날짜
    1480년 2월 24일(음)
  • 출전
사료해설
삼봉도 초무사(招撫使)로 선발된 상호군(上護軍) 정석희(鄭錫禧)가 뱃길이 위험하다는 이유로 초무사의 직책을 면하려고 하였다. 이에 정부는 장(杖) 1백 대를 때려 파직(罷職)하고 고신(告身)을 빼앗고 창원(昌原)에 부처(付處)시키라고 명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정부가 동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국민 관리에 적극적이었음을 시사해준다.
원문
○義禁府啓: “上護軍鄭錫禧, 以三峯島招撫使, 憚於水路, 謀欲改差, 使妻上言規免罪, 律該杖一百罷職。” 命贖杖、奪告身, 付處于昌原。
번역문
의금부(義禁府)에서 아뢰기를,
“상호군(上護軍) 정석희(鄭錫禧)가 삼봉도 초무사(三峯島招撫使)로서 물길[水路]을 꺼려하여 개차(改差)되기를 꾀하고는, 처(妻)로 하여금 상언(上言)하게 하여 면할 것을 도모한 죄는, 율(律)이 장(杖) 1백 대를 때려 파직(罷職)하는 데 해당합니다.”
하니, 장(杖)은 속(贖)바치되, 고신(告身)을 빼앗고 창원(昌原)에 부처(付處)시키라고 명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봉도 초무사의 직책을 면하려고 꾀한 정석희의 고신을 빼앗고 창원에 부처하다 자료번호 : sd.d_0149_0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