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출운국에서 작어에 대해 보고하고, 아담련협수가 백제가 신라를 치고 돌아왔다고 보고함

출운국(出雲國;이즈모노쿠니)에서 “북해(北海) 해안에 죽은 물고기가 쌓여 있습니다. 그 높이가 3척 정도 됩니다. 그 크기는 복어주 001
번역주 001)
鮐皮는 山陰郡 諸國에서 中男作物로 수납되었다. 『延喜式』 主計式 山陰道 但馬國條에는 「中男作物. 黃蘗…雜腊. 鮐皮. 海藻」, 因幡國條에는 「…中男作物. 紙. 席. 紅花. 胡麻油. 黒葛. 漆. 海石榴油. 平栗子. 火乾年魚. 鮐皮. 雜腊. 海藻.」라 적혀 있고, 同 伯耆國條에는 「中男作物. 紙. 紅花. 席. 椎子. 鮐皮. 煮乾年魚. 雜腊.」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닫기
와 비슷하고 입은 참새부리와 같고, 바늘과 같은 비늘이 있습니다. 비늘의 길이는 수촌(數寸)주 002
번역주 002)
寸은 尺의 십분의 일이며, 寸의 십분의 일은 分에 해당된다.
닫기
입니다. 그 지역 사람들이 ‘참새가 바다에 들어가 물고기가 되었다. 작어(雀魚)주 003
번역주 003)
雀河豚(스즈메후구)류의 복어를 가리킨다.
닫기
라고 부른다.’고 합니다.”라고 보고하였다[어떤 책(或本)에는 경신년주 004
번역주 004)
백제의 사신 파견 기사는 7월이 아니라, 9월조에 보인다.
닫기
7월에 이르러 백제가 사신을 파견하여 “당주 005
번역주 005)
제명천황 6년 7월조에는 도현의 『일본세기』를 인용하여 7월에 신라가 당의 힘을 빌려 백제를 멸망시켰다 한다. 10월조에서는 或本을 인용하여 7월 23일에 백제 의자왕 등이 당으로 호송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닫기
과 신라가 힘을 합해 우리를 쳤습니다. 이미 의자왕 주 006
번역주 006)
의자왕은 백제 제31대 왕으로 무왕의 아들이다. 641~660년까지 재위하였다. 660년에 신라와 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된 뒤 당에 포로로 잡혀가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日本書紀』 서명천황 3년 3월조 百濟王 義慈 참조.
닫기
, 왕후주 007
번역주 007)
제명천황 6년 10월조 분주에는 恩古라고 적고 있다.
닫기
, 태자주 008
번역주 008)
이름은 隆이다. 제명천황 6년 7월조에는 太子隆이라 적고 있다.
닫기
를 포로로 잡아 돌아갔습니다.”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나라에서는 병졸을 서북 해안에 배치하고 성책을 수리하였다주 009
번역주 009)
西日本에는 神籠石系山城과 백제 멸망을 직접적인 계기로 하여 축성된 朝鮮式山城이라 불리는 고대산성이 존재한다.
닫기
. 이와 같이 산천을 방어하는 일의 전조라고 한다.]. 또 서해사 소화하(小花下) 아담련협수 주 010
번역주 010)
제명천황 3년에 귀국하여 보고한 내용이다. 백제 멸망의 전조로 기술된 雀魚 사건에 연이어 기재된 듯하다.
닫기
가 백제에서 돌아와주 011
번역주 011)
제명천황 2년과 3년 시세조와 이 기사의 西海使 小花下 阿曇連頰垂의 귀국 기사에 이르기까지 백제에 연달아 사신이 파견된 기사가 나온다. 이것은 백제의 왜국에 대한 접근에 대해 왜국도 적극적으로 백제와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
닫기
“백제가 신라를 치고주 012
번역주 012)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15년(655) 8월조에서는 「新羅王金春秋遣使入唐. 表稱. 百濟與高句麗靺鞨侵我北界. 沒三十餘城.」이라고 적고 있고,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2년(655) 정월조에서는 「王遣使入唐求援高句麗與百濟靺鞨連兵 侵軼我北境 取三十三城 王遣使入唐求援.」이라고 적고 있다.
닫기
돌아왔습니다. 그때 말이 스스로 절의 금당 주위를 걸었습니다주 013
번역주 013)
원문은 行道이다. 본래 승려들이 內陣이나 本堂 주위를 돌면서 경을 읽는 의식을 말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15년 5월조에는 ‘騂馬가 오함사로 들어가 절에서 울다가 며칠 만에 죽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
닫기
. 주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다만 풀을 먹을 때만 멈추었습니다.”라고 하였다[어떤 책(或本)에는 경신년에 적에게 멸망하는 일의 징조라고 한다.]주 014
번역주 014)
백제 사신이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義慈王과 王后, 太子 등이 포로가 된 사실 등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제명천황 6년 9월조에는 ‘9월에 백제의 멸망을 알게 된 것’으로 되어있다. 이것은 ‘庚申(660)’이라는 간지에서 알 수 있듯이 660년의 백제 멸망 사실을 전하는 내용이 착오로 4년(658) 시세조에 들어간 것이다.
닫기
.

  • 번역주 001)
    鮐皮는 山陰郡 諸國에서 中男作物로 수납되었다. 『延喜式』 主計式 山陰道 但馬國條에는 「中男作物. 黃蘗…雜腊. 鮐皮. 海藻」, 因幡國條에는 「…中男作物. 紙. 席. 紅花. 胡麻油. 黒葛. 漆. 海石榴油. 平栗子. 火乾年魚. 鮐皮. 雜腊. 海藻.」라 적혀 있고, 同 伯耆國條에는 「中男作物. 紙. 紅花. 席. 椎子. 鮐皮. 煮乾年魚. 雜腊.」이라고 기재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寸은 尺의 십분의 일이며, 寸의 십분의 일은 分에 해당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雀河豚(스즈메후구)류의 복어를 가리킨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백제의 사신 파견 기사는 7월이 아니라, 9월조에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제명천황 6년 7월조에는 도현의 『일본세기』를 인용하여 7월에 신라가 당의 힘을 빌려 백제를 멸망시켰다 한다. 10월조에서는 或本을 인용하여 7월 23일에 백제 의자왕 등이 당으로 호송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의자왕은 백제 제31대 왕으로 무왕의 아들이다. 641~660년까지 재위하였다. 660년에 신라와 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된 뒤 당에 포로로 잡혀가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日本書紀』 서명천황 3년 3월조 百濟王 義慈 참조.바로가기
  • 번역주 007)
    제명천황 6년 10월조 분주에는 恩古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이름은 隆이다. 제명천황 6년 7월조에는 太子隆이라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西日本에는 神籠石系山城과 백제 멸망을 직접적인 계기로 하여 축성된 朝鮮式山城이라 불리는 고대산성이 존재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제명천황 3년에 귀국하여 보고한 내용이다. 백제 멸망의 전조로 기술된 雀魚 사건에 연이어 기재된 듯하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제명천황 2년과 3년 시세조와 이 기사의 西海使 小花下 阿曇連頰垂의 귀국 기사에 이르기까지 백제에 연달아 사신이 파견된 기사가 나온다. 이것은 백제의 왜국에 대한 접근에 대해 왜국도 적극적으로 백제와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의미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2)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15년(655) 8월조에서는 「新羅王金春秋遣使入唐. 表稱. 百濟與高句麗靺鞨侵我北界. 沒三十餘城.」이라고 적고 있고,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2년(655) 정월조에서는 「王遣使入唐求援高句麗與百濟靺鞨連兵 侵軼我北境 取三十三城 王遣使入唐求援.」이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3)
    원문은 行道이다. 본래 승려들이 內陣이나 本堂 주위를 돌면서 경을 읽는 의식을 말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15년 5월조에는 ‘騂馬가 오함사로 들어가 절에서 울다가 며칠 만에 죽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어 참고가 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4)
    백제 사신이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義慈王과 王后, 太子 등이 포로가 된 사실 등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제명천황 6년 9월조에는 ‘9월에 백제의 멸망을 알게 된 것’으로 되어있다. 이것은 ‘庚申(660)’이라는 간지에서 알 수 있듯이 660년의 백제 멸망 사실을 전하는 내용이 착오로 4년(658) 시세조에 들어간 것이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의자왕, 아담련협수
지명
출운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출운국에서 작어에 대해 보고하고, 아담련협수가 백제가 신라를 치고 돌아왔다고 보고함 자료번호 : ns.k_0040_0050_007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