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남원 세전리 유적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84~1986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전라남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
  • 시대
    상고사
  • 유형
    생활
입지
1984년에 발견되어 1985년과 1986년에 전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시행.
유적개관
수지천과 요천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의 평지에서 30여 곳의 주거지가 발견되었음. 원형·타원형·말각방형이며 주공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노지는 발견됨. 유적이 있는 곳은 현재 밭으로 경작중임.
출토유물
* 점토대토기, 주구토기, 우각형 파수, 시루, 독, 개배, 고배, 단경호, 대옹, 발형 토기, 소형 토기, 철도자, 방추차, 어망추, 유구석부, 석착, 관옥, 다면옥, 곡옥, 수정옥 등
참고문헌
「남원세전리유적지표수습유물보고」
해설
전라남도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 위치하는 원삼국시대의 취락유적이다. 이 유적은 세전리 부락의 남쪽 들판인 수지천과 요천이 합류하며 이루는 삼각형 대지상에 위치한다.
1984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1985년 초~1986년 5월까지 전북대학교박물관에서 3차에 걸쳐 발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30여기의 주거지가 확인되었는데, 실제 유적은 더 큰 규모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타원형 내지 장방형(長方形)이며, 면적은 25~35㎡ 내외이다. 주거지의 바닥은 생토(生土)를 그대로 이용하기도 하였으며, 점토와 모래를 주재료로 삼아 단단하게 굳힌 경우도 있다. 주거지 내부에는 진흙으로 축조된 화덕자리[노지(爐址)]가 한쪽 벽 가까이에 위치해 있었고, 그 주변에는 대형 독[옹(甕)]이 놓인 경우가 많다. 한편, 기둥구멍[주공(柱孔)]은 확인되지 않았다. 유물은 덧띠토기[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를 포함한 민무늬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 계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접시, 바리모양토기[발형토기(鉢形土器)], 독, 귀때토기[주구토기(注口土器)], 항아리[호(壺)], 시루 등이 있다. 5cm미만의 소형(小形)토기는 단단한[경질(硬質)] 계통의 민무늬토기로, 실생활 용도가 아닌 실생활 토기를 모방해서 만든 특수한 용도의 것으로 보인다. 토기들은 형태상 한반도 내의 같은 시기의 다른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들을 거의 모두 포괄할 정도로 종류가 다양하고 출토량도 많다.
그 밖에 쇠손칼[철도자(鐵刀子)]을 포함한 철기류는 여러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다. 또한 주거지 주변 흙에서 불에 탄 쌀, 보리, 팥 등의 곡물과 각종 뼈가 검출되었고, 한국식동검[세형동검(細形銅劍)]도 발견되었다. 이외에 가락바퀴[방추차(紡錘車)], 그물추[어망추(漁網錘)]를 비롯한 흙으로 만든 도구와 홈자귀[유구수부(有溝手斧)], 돌끌[석착(石鑿)], 돌칼[석도(石刀)] 등의 석기도 출토되었다. 또한 각종 구슬이 출토되었는데, 흙으로 만든 굽은옥[토제곡옥(土製曲玉)], 대롱옥[관옥(管玉)], 흙으로 만든 작은옥[토제소옥(土製小玉)]은 주로 적갈색과 흑갈색을 띠고 있으며 세트로 발견된 것도 있다. 또한 수정을 잘라낸 원석(原石)이 발견되었으며, 이것은 수정옥을 제작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 굽다리접시[고배(高杯)]는 그 양식이 가야계통과 연결되며, 큰독[대옹(大甕)] 등은 일본 야요이시대(彌生時代)의 것과 유사한 면이 있다.
세전리 주거지는 출토유물로 보아 민무늬토기 말인 2세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대략 4세기 정도까지 존속했던 취락으로 보인다. 다량 출토된 구슬들은 『삼국지』에 기록된 “마한(馬韓)지역에서 구슬을 중히 여긴다”는 사실과도 부합된다. 이 유적은 원삼국시대의 문화상과 교류관계를 구명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원 세전리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2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