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보란점 후원대 유적

普蘭店 後元臺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날짜
    1974
  • 시대
    초기철기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대련시 보란점시 원대진 후원대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유적개관
* 유적은 요녕성(遼寧省) 대련시(大連市) 보란점시(普蘭店市) 철서가도(鐵西街道) 장점촌(張店村) 장점둔(張店屯)에 위치함
* 신금현 대사하 상류에 위치해 있으며, 현 경계에 있는 대사하교(橋)에서 동북쪽으로 약 1.5km, 서쪽으로는 대사하안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하촌-팔가자도로에 이르며, 남으로는 고대 무덤에 이름.
* 1974년 겨울, 신금현 원대공사 후원대 대대 제2생산대에서 토지를 정돈하는 시기에 전국시대의 동과, 창, 검, 한 대의 동화(銅貨)가 발견되었음
* 석곽묘가 발굴되었으며, 그 밖의 잔여 무덤이 정리되었음
* 초기철기시대, 한대 유적임
유구개관
* 석곽묘 1기.
유물개관
* 청동기, 철기, 주식(珠飾) 등
참고문헌
許明綱·于臨祥, 「遼寧新金縣後元臺發現銅器」, 『考古』 第1期, 1980
해설
유적은 와방점시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5㎞ 떨어진 후원대촌의 충적대지에 위치한다. 유적이 자리한 곳은 사하(沙河)의 중상류가 남쪽으로 회절하는 구간의 동변 대지에 해당한다. 1974년 마을 경지 정비 과정에서 지표 아래 약 1.0m 깊이에서 강돌들과 함께 동검(銅劍), 동과(銅戈, 청동으로 만든 무기), 동모(銅鉾) 등의 전국시대 청동무기가 수습되고, 그 주변에서 한대의 놋주전자[동화(銅盉)]와 허리띠고리[청동대구(靑銅帶鉤)], 오수전(五銖錢)화천(貨泉) 등의 한대 화폐가 차례로 수습됨에 따라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후 여순박물관에 의해 파괴된 돌덧널무덤[석곽묘(石槨墓)] 1기 등이 조사되었다.
돌덧널무덤[石槨墓]은 무덤구덩이의 가장자리와 널[관(棺)]의 주위를 돌로 채운 후에 다시 그 위에 흙을 채워 넣은 구조여서 윤가촌 12호묘와 같은 구조라고 생각된다. 무덤구덩이의 규모는 동서 길이 380㎝, 남북 잔존 너비 200㎝, 깊이 120㎝이다. 부장유물은 이미 조사 전에 수습되어 있는 세형동검(細形銅劍) 1점, 중원식동과(中原式銅戈) 1점, 중원식동모(中原式銅鉾) 1점 외에 조사 과정에서 추가로 수습된 쇠괭이[철곽(鐵钁)] 1점, 항아리[단경호(短頸壺)] 3점, 돌대롱옥[석제관옥(石製管玉)] 105점, 장식구슬 55점, 비취구슬 1점, 진주 2점 등을 모두 포함한다.
중원식동과는 전국 후기 위나라의 동과이다. 앞부분과 뒷부분의 꼬다리가 길고 그 양면에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앞면의 명문은 “입일년계봉령옹금야자(卄一年啓封令廱金冶者)”로 판독되고, 뒷면의 명문은 “계봉(啓封)”으로 판독되고 있다. 명문에서 확인되는 지명을 고려하여 일명 ‘계봉과’로 부르기도 한다. 명문으로 보아 위나라 안리왕(安釐王) 21년, 즉 기원전 256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나 글씨체는 진나라의 전서체로 볼 수도 있어 진나라가 전국시대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요동지역까지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동과의 길이는 24.0㎝이다. 중원식동모는 전국 후기 연나라의 동모이다. 투겁 위아래에 고정 구멍이 뚫려 있고 명문 두 글자가 새겨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명문 중의 한 글자는 ‘王’자와 비슷한데, ‘연왕희(燕王喜)’의 명문 동모와 가장 유사한 형태여서 제작연대는 기원전 3세기 중후반대일 가능성이 높다. 동모의 길이는 12.3㎝이다.
무덤의 축조시기는 동과와 동모의 제작시기로 보아 진통일기나 진한교체기의 기원전 3세기 말엽으로 판단된다. 세형동검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부장유물이 중원계통으로 변화되어 있어 요남지역 세형동검문화의 최후 단계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보란점 후원대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20_003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