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대조련(大鳥連; 오토리노무라지)

대조련(大鳥連; 오토리노무라지)
 위와 같다.
 
【주석】
1. 대조련(大鳥連)
대조(大鳥)라는 씨명은 율령제하 화천국 대조군 대조(大鳥)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대판부 계시(堺市) 봉정(鳳町) 일대로 추정된다.
대조련씨 일족으로는 천평 3년(731) 「황후궁직이(皇后宮職移)」(『대일본고문서』 24-13)의 대조련천족(大鳥連千足), 천평 9년(737) 「화천감정세장(和泉監正稅帳)」(『대일본고문서』 2-77)의 대조련대마려(大鳥連大麻呂), 천평 10년 정월 『행기연보(行基年譜)』 의 대조련사마려(大鳥連史麻呂), 동 연보의 대조련야지구이(大鳥連夜志久爾), 천평 20년(748)8월 「경사등상일장(經師等上日帳)」(『대일본고문서』 10-336)의 대조련고인(大鳥連高人), 천평승보 2년(750) 8월 「경사상일장(經師上日帳)」(『대일본고문서』3-439)의 대조련조족(大鳥連祖足)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조련대마려는 「화천감정세장」 의 수부(首部)로서 각 군(郡)조에 그의 이름이 보이고 있다. 또한 대조련사마려와 야지구이는, 『행기연보』 「행년(行年) 71년」 조에 “화천국 대조군(大鳥郡) 일하부향(日下部鄕) 일하부리(日下部里)의 호주 종7위상 대조련사마려(大鳥連史麻呂)의 호구인 대조련야지구이(大鳥連夜志久爾)”라는 기록을 통해 대조군 일하부향 일하부리 사람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조련천족(大鳥連千足)이 천평 7년(735) 9월 18일자 「경사사지병급시포안(經師寫紙幷給絁布案)」(『대일본고문서』 7-39)에는 대조천족(大鳥千足)으로 나오듯이, 대조련씨의 사람들 가운데는 무성으로 기록된 사례도 있다. 따라서 천평 5년(733) 정월 27일자 「경사소계(經師所啓)」(『대일본고문서』 7-34)의 대조도족(大鳥道足), 천평 7년 9월 18일자 「경사사지병급포시안」(『대일본고문서』 7-41)의 대조국익(大鳥國益), 천평 11년(739) 2월 28일자 「사경사해(寫經司解)」(『대일본고문서』7-225)의 대조풍도(大鳥豐島) 등도 연(連)성일 가능성이 있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대중신조신과 조상이 같다. 천아옥명의 후손이다(大中臣朝臣同祖. 天兒屋命之後也.)”라고 적혀 있었을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조련(大鳥連; 오토리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8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