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등성(登城)할 때 삼사(三使)의 복식(服飾)

[주요 인물들의 옷차림 묘사]
삼사가 등성할 때 금색 관, 조복(朝服),주 001
각주 001)
전명의례(傳命儀禮)나 하례의식(賀禮儀式)을 행할 때 삼사신(三使臣)이 입었던 복장. 원래는 관원이 조정에 나아가 의식을 거행할 때에 입는 예복을 이르던 말이다. 조근(朝覲)의 의복이라 하여 왕이나 신하가 천자에 나아갈 때에 입는 옷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1426년에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관(冠)·의(衣)·상(裳)·폐슬(蔽膝)·중단(中單)·대대(大帶)·혁대(革帶) ·수(綏)·패옥(佩玉)·옥규(玉圭)·말(襪)·석(潟)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붉은 빛의 비단으로 만들며 소매가 넓고 깃이 곧은 것이 특징이다. 왕과 태자가 착용한 조복과 달리 백관이 착용한 조복을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조복을 입을 때 금관도 함께 썼기 때문이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닫기
옥패(玉佩). 옷은 삼사 모두 홍색.
홀(笏)주 002
각주 002)
조선시대에 관원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공복(公服) 차림을 하였을 때에 손에 쥐는 작은 판(板). 원래는 임금 앞에서 교명(敎命)이 있거나 아뢸 것이 있으면 그 위에 써서 잊지 않기 위해 준비한 것인데 후세에는 다만 의례적인 것이 되었다. 왕은 규(圭)를 잡고 대부(大夫)나 사(士)는 홀을 들었다. 길이 약 60cm, 너비 약 6cm에 얄팍하고 약간 굽고 길쭉한 모양. 『경국대전』 예전(禮典) 의장(儀章)에 의하면 l-4품관은 상아로 만든 상아홀(象牙笏), 5-9품관은 나무로 만든 목홀(木笏)을 사용했고 향리(鄕吏)는 공복에만 목홀을 갖추었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닫기
은 상아(象牙)
금모조(金毛彫)
식물(識物)주 003
각주 003)
의미가 불분명함.
닫기
방울이 허리 안에 있음.
비단 복건(紗幅)주 004
각주 004)
비단 복건(幅巾). 복건은 검은 천으로 만든 관모(冠帽)이다. 만들 때 한 폭의 천을 온전히 사용하기 때문에 복건(幅巾)이라 불렀다. 검정 헝겊으로 위는 둥글고 삐죽하게 만들며, 뒤에 낮은 자락이 길게 늘어지고 양 옆에 끈이 있어서 뒤로 돌려 매도록 되어 있다. 옷감은 겨울에는 흑단(黑緞), 여름에는 흑사(黑紗)로 만들었고, 사계절 흑갑사(黑甲紗)만을 쓰기도 했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닫기
 소 쓰시마노카미(宗對馬守)에게 초청되었을 때는 그림과 같은 관 [차림].
 옷은 복숭아색 또는 황색. 대대(大帶)주 005
각주 005)
남자의 심의(深衣)나 여자의 원삼·활옷 등에 매는 넓은 띠. 좌우 아래로 드리워진 것이 좌우 옆구리에 위치한다. (대일외교용어사전)
닫기
·홀 등은 착용하지 않음.
 5일 부사가 쓴 비단 복건에 늘어뜨린 부분은 없음.
삼사
여정 중의 복장. 옷은 옅은 황색 또는 백색
상상관이 등성할 때의 복장. 색은 불확실함. 연두·옅은 황색의 무명이다.
제술관, 상판사, 학사, 사자관. 각기 등성할 때 당관(唐冠)을 착용. 고산케를 방문하여 곡마(曲馬) 공연을 할 때도 동일하다.
쓰시마노카미가 초청했을 때 상상관 1인이 이것을 착용. 2인은 비단 두건.
상상관, 제술관, 상판사, 학사, 사자관 등은 항상 그림과 같은 관을 착용.
각각 금색 실의 직물이다.
5일 쓰시마노카미가 초청했을 때 제술관 1인이 착용했다.
모두 안에 입은 옷은 그림과 같다. 전부 흰색.
망건주 006
각주 006)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마 부분에 두르는 장식품. 따라서 관모라기보다는 머리장식의 하나로서, 그 위에 정식 관을 쓴다. 망건은 당·편자·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이 높고, 옆쪽이 조금 낮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재료로 말총[馬尾毛]이나 인모(人毛)를 사용하나, 인모는 일반적인 것은 아니고 해진 망건을 수리할 때 쓰인다.
망건으로 표시된 그림은 망건 위에 쓰는 관(冠)으로 보인다.
닫기
치촬주 007
각주 007)
상투를 감싸는 작은 관(冠)으로, 검은색.
닫기
상투를 넣고 막대를 찌른다.
군관이 등성할 때 입은 옷은 옅은 황색인지 백화색인지 명확하지 않다. 소재는 비단인 듯하다.
채찍. 채찍 위에 자석이 있는 것도 있다.
각자 채찍을 들었다.
갓의 겉은 라사(羅紗)주 008
각주 008)
두꺼운 모직물류. 양털 또는 거기에 무명·명주·인조 견사 등을 섞어서 짠 모직물.
닫기
인 듯하다. 속은 비단 종류를 썼다. 갓의 앞에 새김 장식이 있는 것도 있다.
도훈도, 마상재. 형태는 이와 같다. 단 활과 화살은 차지 않았고 큰 칼을 찬다.
[군관은 활과 화살을] 적자색(赤紫色)주 009
각주 009)
원문의 ‘猩猩緋’는 짙은 홍색(紅色)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명칭으로, 붉은색이 강한 적자색(赤紫色).
닫기
또는 라사 주머니에 넣어 그림과 같이 지닌다.
군관. 평소 복장
이와 같이 홍색 털 등을 부착한 것도 있음. 갓 끈에 오색의 옥을 단 것도 있다.
안감은 홍색 혹은 황색
도훈도, 마상재. 항상 그림과 같다.
이 신은 [높이가] 정강이까지 온다. 조이는 끈도 없고, 정강이를 비단으로 휘감아 정강이에 붙인다.
도훈도, 마상재
등성할 때도 그림과 같다. 옷의 색도 다름이 없다.
평상복은 군관의 평소복과 같은 형태이다.
큰 칼을 [등에] 진다. 채찍[을 손에 든다]
소동의 예복 [차림]
색은 명확하지 않음. 옅은 황색·꽃색주 010
각주 010)
꽃색(花色)은 옅은 푸른색.
닫기
또는 백색. 허리띠는 검은색.
신은 비단. 옅은 황색 문양이 있다.
소동의 평상복
취수의 예복. 악공
각각 붉은 삼베 [착용]. 중관
평상복은 도훈도의 평상복과 같은 듯하다.
사령(使令)·흡창(吸唱)·예사(禮事)직·소통사(小通事) 모두 같다.
도척(刀尺). 그림과 같이 어깨에 멘다.
상의는 감색. 각기 새끼줄을 건다.
백포 백색, 옅은 황색
방울이 달려 있다.
하관의 의복. 옅은 쥐색 혹은 백색
중관 이하. 하의는 그림과 같다.
짚신. 와라지주 011
각주 011)
와라지는 일본의 전통 짚신. 한국의 짚신과는 형태가 다르다.

닫기
이다.

  • 각주 001)
    전명의례(傳命儀禮)나 하례의식(賀禮儀式)을 행할 때 삼사신(三使臣)이 입었던 복장. 원래는 관원이 조정에 나아가 의식을 거행할 때에 입는 예복을 이르던 말이다. 조근(朝覲)의 의복이라 하여 왕이나 신하가 천자에 나아갈 때에 입는 옷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1426년에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관(冠)·의(衣)·상(裳)·폐슬(蔽膝)·중단(中單)·대대(大帶)·혁대(革帶) ·수(綏)·패옥(佩玉)·옥규(玉圭)·말(襪)·석(潟)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붉은 빛의 비단으로 만들며 소매가 넓고 깃이 곧은 것이 특징이다. 왕과 태자가 착용한 조복과 달리 백관이 착용한 조복을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조복을 입을 때 금관도 함께 썼기 때문이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2)
    조선시대에 관원이 조복(朝服), 제복(祭服), 공복(公服) 차림을 하였을 때에 손에 쥐는 작은 판(板). 원래는 임금 앞에서 교명(敎命)이 있거나 아뢸 것이 있으면 그 위에 써서 잊지 않기 위해 준비한 것인데 후세에는 다만 의례적인 것이 되었다. 왕은 규(圭)를 잡고 대부(大夫)나 사(士)는 홀을 들었다. 길이 약 60cm, 너비 약 6cm에 얄팍하고 약간 굽고 길쭉한 모양. 『경국대전』 예전(禮典) 의장(儀章)에 의하면 l-4품관은 상아로 만든 상아홀(象牙笏), 5-9품관은 나무로 만든 목홀(木笏)을 사용했고 향리(鄕吏)는 공복에만 목홀을 갖추었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3)
    의미가 불분명함. 바로가기
  • 각주 004)
    비단 복건(幅巾). 복건은 검은 천으로 만든 관모(冠帽)이다. 만들 때 한 폭의 천을 온전히 사용하기 때문에 복건(幅巾)이라 불렀다. 검정 헝겊으로 위는 둥글고 삐죽하게 만들며, 뒤에 낮은 자락이 길게 늘어지고 양 옆에 끈이 있어서 뒤로 돌려 매도록 되어 있다. 옷감은 겨울에는 흑단(黑緞), 여름에는 흑사(黑紗)로 만들었고, 사계절 흑갑사(黑甲紗)만을 쓰기도 했다. (대일외교 용어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5)
    남자의 심의(深衣)나 여자의 원삼·활옷 등에 매는 넓은 띠. 좌우 아래로 드리워진 것이 좌우 옆구리에 위치한다. (대일외교용어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6)
    상투를 틀고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마 부분에 두르는 장식품. 따라서 관모라기보다는 머리장식의 하나로서, 그 위에 정식 관을 쓴다. 망건은 당·편자·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앞이 높고, 옆쪽이 조금 낮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재료로 말총[馬尾毛]이나 인모(人毛)를 사용하나, 인모는 일반적인 것은 아니고 해진 망건을 수리할 때 쓰인다.
    망건으로 표시된 그림은 망건 위에 쓰는 관(冠)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상투를 감싸는 작은 관(冠)으로, 검은색. 바로가기
  • 각주 008)
    두꺼운 모직물류. 양털 또는 거기에 무명·명주·인조 견사 등을 섞어서 짠 모직물.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의 ‘猩猩緋’는 짙은 홍색(紅色)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명칭으로, 붉은색이 강한 적자색(赤紫色). 바로가기
  • 각주 010)
    꽃색(花色)은 옅은 푸른색. 바로가기
  • 각주 011)
    와라지는 일본의 전통 짚신. 한국의 짚신과는 형태가 다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등성(登城)할 때 삼사(三使)의 복식(服飾) 자료번호 : kn.k_0006_0210